뉴스 > 산업

정부지원 VR사업에 '카카오'가 선정된 배경은?

/ 3

▲ 논란에 휩싸인 한국콘텐츠진흥원(상)과 카카오(하) CI (사진출처: 공식 홈페이지)

최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추진한 ‘2017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콘텐츠 체험존 구축 지원사업’에 카카오가 선정되며 업계 일각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소기업 혹은 스타트업에 힘을 실어주어야 할 국비 지원사업을 자산총액 5조가 넘는 카카오가 따가는 것이 온당하냐는 것. 과연 카카오가 선정된 배경은 무엇일까?

해당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올해 초 발표한 VR산업 육성 계획의 일환이다. 추진 목적은 일반에 VR 체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유통 및 수요를 확산하고, 나아가 홍보와 사업화 기회를 촉진하여 산업 성장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것. 과제당 지원규모는 최대 15억 원이며 총 3개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

신청자격은 VR개발 및 체험존 구축 능력을 보유한 법인사업자로, 중소 기업은 물론 대기업 및 기관(단체) 등이 참여하는 컨소시엄도 지원 가능하다. 중견/대기업을 포함한 이유는 선정된 사업자가 총 비용의 50% 이상을 부담해야 하며 향후 2년간 VR 체험존을 운영할 여력을 갖춰야 하기 때문. 간단히 말해 15억 원을 그냥 받는 것이 아니라 최소 그 비용만큼 사업자도 출자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사업의 목적 자체가 중소기업 지원이 아닌 초기 생태계 구축에 있으며, 그에 적합한 사업자를 선정하겠다는 것. 실제로 현재 한국콘텐츠진흥원의 VR산업 지원사업은 ▲ VR콘텐츠 프런티어 프로젝트 ▲ VR콘텐츠 제작지원 ▲ VR콘텐츠 체험존 구축 ▲ 지역활용형 VR·AR콘텐츠 제작지원까지 총 4개이며, 이 가운데 중소기업만 신청하도록 제한된 분야는 콘텐츠 제작지원뿐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북미와 일본의 사례를 보면 VR콘텐츠 유통망을 구축하는데 100억 원대 비용이 든다. 공간 확보부터 운영 및 마케팅까지 고려하면 중소기업 단독으로는 힘든 상황”이라며 “다소간의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초기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사업자가 필요하다. 물론 재무구조 외에도 다른 평가기준까지 모두 따져보고 선정했다”고 전했다.

카카오는 “제출한 과제는 제주도를 근거지로 한 ‘프런티어 체험관 구축’으로, 여러 중소기업이 협력한 컨소시엄에 주관사로 참여한 것”이라고 답했다. 항간에 떠도는 얘기처럼 중견기업이 단독으로 정부지원을 따낸 것이 아니라 대표로 이름을 올렸을 뿐이라는 해명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과 선정된 사업자의 협약체결은 6월 중 이루어지며, 오는 10월 31일까지 체험존 구축 완료 후 운영을 개시하여야 한다. 최종적인 사업 평가는 2018년 1월로 예정됐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김영훈 기자 기사 제보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4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