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스마트콘텐츠 상용화, 사업기획, 비즈니스 모델 구축 등 국내 중소 스마트콘텐츠 기업의 사업화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컨설팅 지원을 실시한다.
이번 교육과 컨설팅 지원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한국 스마트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강화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기존 콘텐츠 개발 및 제작에 초점을 맞춘 타 교육/자문 지원과는 달리 △신제품 기획 △마케팅 △비즈니스 모델 구축 등의 사업화 부분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스마트콘텐츠 사업화 컨설팅의 경우 △‘간지 카메라’ △‘편한 가계부’ △‘비오는 날’ 등의 국내외 앱스토어에서 성공한 콘텐츠 기획/개발을 담당한 현직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전문가 풀을 구성해 현장 친화적인 자문서비스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마트콘텐츠 전문 교육 프로그램 역시 스마트콘텐츠 시장에서의 원활한 비즈니스 수행을 위한 UX(User Experience)/UI(User Interface), BM(Business Model), 홍보/마케팅 분야 중심의 교육 과정을 마련해 지속적으로 스마트콘텐츠 기업의 역량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스마트콘텐츠센터는 교육/컨설팅 이외에도 국내 유망 스마트콘텐츠 개발사의 입주 지원, 멘토링 및 네트워킹, 국내외 스마트콘텐츠 시장 정보 제공 등 다양한 지원 사업들을 펼치고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콘텐츠진흥원 공식 홈페이지(www.kocca.kr)에서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한국콘텐츠진흥원 홍상표 원장은 “세계 스마트콘텐츠 시장에서 한국 스마트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도 미미한 수준”이라며, “지속적인 스마트콘텐츠 제작 저변 확대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스타 콘텐츠가 나올 수 있도록 지원의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 팰월드 저격 실패, 닌텐도 ‘몬스터 포획’ 특허권 기각
- 단간론파 느낌, 마법소녀의 마녀재판 제작진 신작 공개
- 프로그래밍 언어 입력해 조작, 스크립스: 아레나 출시
- 연말연시 목표, 테라리아에 공식 한국어 자막이 추가된다
- [기자수첩] 엔씨소프트의 ‘내로남불’ 저작권 인식
- 채널당 수용 인원 1,000명으로, 메이플랜드 2.0 만든다
- 함장 중심으로 전개, 카제나 메인 스토리 전면 개편한다
- ‘쌀먹세’ 생기나? 국세청 아이템 거래 업종코드 신설한다
- 닌텐도 게임 불법 복제해 미리 방송한 스트리머, 배상 판결
- [매장탐방] 포켓몬 레전드 Z-A 열풍, 스위치1에 더 몰렸다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