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e스포츠

WCG 내 게임부스, e스포츠와 게임을 동시에 즐긴다

/ 1


▲ WCG 2012 현장에는 다수의 게임 부스가 운영 중에 있었다

 

지난 해보다 확충된 전시 공간을 확보한 WCG 2012는 올해 독특한 프로모션을 도입했다. 현장에 공식 종목으로 선정된 게임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부스를 마련하는 것이다.

 

실제로 대회가 열린 중국 쿤산 컨벤션 센터 내에 마련된 각 부스는 현장에 방문한 참가자들로 붐볐다. WCG 이수은 대표는 “사실 WCG 그랜드파이널에 종목사가 직접 참가한 적은 처음이다”라며 “올해는 운 좋게도 넥슨과 워게이밍, 밸브 등의 종목사들이 부스 운영에 대해 과감한 결정을 내려줘서 이러한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실제로 각 부스에 대한 참가자들의 열의는 뜨거웠다.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부스에는 게임 시연을 기다리는 참가자들이 줄을 서서 입장을 기다렸으며, ‘도타2’ 부스 역시 피크 타임 시에 체험 공간이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로 붐빌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대형 이벤트 무대가 자리한 ‘월드 오브 탱크’ 역시 현지 팬들로부터 유의미한 반응을 이끌어냈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시연존

 


▲ 차례를 기다리며, 줄을 서서 대기 중인 참가자들

 


▲ '도타2' 부스 메인 무대

 


▲ '도타2'에 대한 열의가 뜨거웠다

 

넥슨 관계자는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부스 운영에 대해 “넥슨은 물론 행사를 직접 준비한 중국 퍼블리셔 세기천성 역시 큰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라며 “무엇보다 선수들이 대결을 펼치던 게임을 현장에서 바로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이 팬들에게 가장 큰 매력으로 다가가는 것 같다”라고 전했다. 넥슨 측은 기회만 된다면 내년 WCG에도 이러한 형태의 부스를 열고 싶다는 입장을 전했다.

 

WCG 이수은 대표 역시 e스포츠와 게임을 한 장소에서 동시에 즐기는 올해의 플롯이 대회의 주최 측과 종목사 간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 대표는 “단순히 토너먼트만 열리는 것이 아니라 e스포츠를 즐기며, WCG의 공식 종목을 현장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이 대회와 종목, 그리고 리그 주최와 퍼블리셔를 더욱 단단하게 결집시켜주는 연결고리가 되리라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사실 이전에도 행사장 내에 하드웨어 업체를 위주로 부대행사를 진행한 바 있으나, 기업의 특성 상 부스의 형태가 ‘기업 전시’로 가는 경향이 강해 친숙하게 다가가기에 약간 딱딱한 감이 없지 않았다”라며 “그러나 게임 부스의 경우, 보다 유연하게 참가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어 좋은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내년 대회에도 여건이 된다면 가능한 많은 종목사의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라 덧붙였다.

 

따라서 행사의 주요 내용 역시 e스포츠와 게임을 연계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춘 것이 많았다. 우선 넥슨은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에 출전한 중국 선수를 초청해, 일반 참가들과 대결을 펼치는 이벤트를 진행했으며, ‘월드 오브 탱크’는 각국 대표팀을 팬들에게 소개하고 토너먼트 존에서 진행 중인 경기 화면을 대형 스크린을 통해 송출에 외부에 지속적으로 노출했다.

 


▲ 대형 스크린을 통해 토너먼트 존 경기를 송출 중인 '월드 오브 탱크' 부스

 


▲ 게임 시연은 물론

 


▲ 선수들과 팬들이 직접 교감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대회의 메인 스폰서인 삼성 역시 한중 양국 선수들이 노트북으로 ‘스타2’ 대결을 펼치는 삼성 노트북 슈퍼 매치를 진행했다. 이에 대해 WCG 관계자는 “그랜드 파이널에 앞서, 각 종목사 및 스폰서 측에 행사 내용을 e스포츠에 부합하게 구성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