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NDC 13] 배재현 부사장 '한국 개발자, 도대체 여유가 없다'

/ 1

[NDC 13] 배재현 부사장 '모바일시장, 결국 레드오션 될 것'
[NDC 13] 배재현 부사장 '한국 개발자, 도대체 여유가 없다' <<


▲ NDC 2013의 세 번째 기조강연자로 나선 엔씨소프트 배재현 부사장


엔씨소프트 배재현 부사장이 NDC 2013을 통해 국내 개발자들의 근무환경이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온라인게임의 미래'라는 주제로 넥슨 개발자 컨퍼런스 2013 기조강연에 나선 배재현 본부장은 게임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개인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이들의 '근무환경'이 먼저 개선되야 한다고 말해 공감을 이끌어냈다.

현재 온라인게임 개발자들은 여러 어려움이 있다. 이미 시장은 레드오션이 돼 있고, 경영진은 '게임개발'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양산형 게임이 무분별하게 쏟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이어지니 개발자-개발자 간 노하우 전수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고, 돌릴 수 있는 인력 풀 역시 한계가 있다. 모바일 시장이 커지면서 기존 캐주얼 이용자도 떠나고 있어, 현재 업체나 개발자들에게는 가장 힘든 시기다.

그렇다면 이런 힘든 상황을 어떻게 해소해 나가야 할까. 이에 배재현 부사장은 세 가지 대안을 냈다.

우선 배재현 부사장은 해외 시장 개척이 무척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진부한 내용일 수 있지만, 그가 제시한 내용은 성격이 아예 다르다. 지금까지 업체는 국내 서비스 이후 해외로 눈을 돌리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해외시장을 더 확실히 공략하기 위해서는 그 반대가 돼야 한다고 전했다. 즉, 게임의 전체적인 디자인, 연출, 그리고 비주얼까지 '글로벌화'로 제작해 메이저 시장(북미, 유럽 등)을 노려야 한다는 의미다.

배재현 부사장은 "글로벌하다는 것은 결국 '무국적'이라는 의미"라면서 "블리자드난 디즈니픽사의 비주얼 스타일 등이 이에 속하며, 우리도 이에 맞춰 글로벌하게 발걸음을 돌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대안은 국내 개발자들의 근무환경 개선이다. 여기서 근무환경은 국내 게임조직문화와도 연관돼 있는데, 이는 개인뿐 아니라 조직과 상호연계해 해결해야 한다. 특히 배재현 부사장은 '게임'은 결국 사람이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인센티브 같은 부분에 너무 아까워하지 말고 사람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재현 부사장은 개발자들의 근무환경이 많이 개선됐지만, 여전히 '재충전'에 대해서는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패키지 게임 개발자들은 약 3년 간 개발기간이 있다면, 게임 발매 이후 약 4~6주 정도 휴식시간을 취한다. 그러나 PC온라인 게임 개발자들은 게임개발 이후 서비스가 그대로 그대로 이어지기 때문에 '재충전'의 시간이 아예 없다. 이를 합쳐 9년 동안 매달리는 개발자도 있을 정도다. 


이에 그는 "현재 온라인게임 개발자들은 개발 이후 서비스로 바로 이어져, 여기서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구조"라면서 "이렇게 매달리면 결국 소모성 인력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때문에 배재현 부사장은 특정 제도나 시스템을 구축해 '재충전'에 대한 부분 역시 뒷받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배재현 부사장은 '근성 개발론'을 내세웠다. 이는 주변 상황이 암울해도, 지금 개발자들이 할 수 있는 것은 결국 더 열심히 뛰어야 한다는 의미다. 이에 대해 배재현 부사장은 '붉은여왕이론'을 내세웠다. 이 이론은 '이상한나라의앨리스'에 나오는 것으로, 주변 환경이 빠른 속도로 진화할 때 천천히 뛰면 뒤쳐지고 빠르게 뛰면 제자리에 있을 수 있다는 의미다. 결국 빠르게 뛰어야 '생존'이 가능하다는 것.

배재현 본부장은 "붉은여왕이론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더 열심히 달려야 생존이 가능하다는 것"이라면서 "우리도 당장 상황이 어렵지만, 더 열심히 하면 생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이런 센스 있는 이미지 역시 강연에 의미를 줬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