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문화부-미래부, 콘텐츠 해외진출 활성화 집중 지원한다

/ 1

 

문화부와 미래부는 25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제 4차 콘텐츠 창의생태계 협의회를 개최했다.

 

국내 대표 유통, 플랫폼 기업과 콘텐츠 기업, 유관단체 대표 등 20여 명이 참석한 이날 회의에서는 콘텐츠 산업의 중국 및 신흥 시장 진출 방안과 글로벌 프로젝트 투자활성화에 대한 협력 방인이 논의됐다.

 

지난 협의회의 안건이었던 '중국 콘텐츠 시장진출 확대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정부는 유관기관 간 특별 전담팀을 구성, 운영했다. 특별 전담팀에서는 콘텐츠 종합포털(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비즈니스센터(영화진흥위원회)를 통해 시장정보를 제공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관광공사, 재외공관을 콘텐츠 진출 거점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한중 펑요우 프로젝트, 한중 문화산업 협력 양해각서 등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어서 문화부와 미래부는 국내 업체의 세계시장 점유 확대를 위해 글로벌 프로젝트에 대한 전략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 하고, 글로벌 프로젝트 발굴과 투자 활성화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올해에는 문화부의 '위풍당당 콘텐츠 코리아 펀드(글로벌 콘텐츠 코리아 펀드 포함 2,000억 원 규모)'와 미래부의 디지털콘텐츠코리아펀드(1,000억 원 규모)가 신규로 조성됨에 따라,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프로젝트가 보다 많은 투자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운용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유진룡 문화부 장관은 "지난해 콘텐츠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50억 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되는 등, 최근 우리 콘텐츠의 해외시장 진출 성공사례를 확신시키고 콘텐츠 산업의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투자지원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겠다"라며 "이 협의체를 콘텐츠 산업의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논의의 장으로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2월에 개관한 K-POP 홀로그램 공연장이나 중국 등지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우리 스마트콘텐츠와 같이 세계 시장을 겨냥한 창의적 프로젝트가 세계적 기업의 콘텐츠와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펀드 등을 활용해 아낌없이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