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10점 만점에 9,3점, 한콘진 중소개발사 교육 만족도 조사 실시

/ 1

▲ 글로벌허브센터 맞춤형 교육 현장 (사진제공: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글로벌게임허브센터는 지난 2014년 하반기에 총 41회, 230여건의 컨설팅을 진행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기업경영, 마케팅, 사업화 부분에 취약한 게임벤처와 중소 게임기업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진행됐다.

‘맞춤형 교육’의 경우, ▲주제 ▲커리큘럼 ▲전문성 ▲진행방식 등 5가지에 대해 실시한 만족도 조사결과 10점 만점에 평균 9.3점을 기록했다. 이는 커리큘럼이 사업에 실제 도움이 되고 강의가 센터 내에서 이뤄져 교육생들이 쉽게 참석할 수 있었던 점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한 교육 참가자는 “내용이 식상하지 않고 실질적이고 도움이 되는 내용이 많아 회사 운영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7월부터 세무/회계ㆍ인사/노무ㆍ마케팅 등 분야에서 컨설팅을 진행한 결과, 최근 관련 기업들이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북미, 유럽, 러시아 등 10여 개국과 수출상담을 진행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맞춤형 교육’은 온라인 및 대면 조사에서 파악된 선호도를 고려해 경영ㆍ재무/투자ㆍ회계ㆍ제도/법률ㆍ마케팅/홍보ㆍ품질관리(QA)ㆍ운영ㆍ서비스 등 11개 분야로 구성했고, 이에 따라 매주 1, 2회 글로벌게임허브센터 교육실에서 분야별 수업이 이뤄졌다. 

게임분야의 특성을 고려해 주제를 선정했고 게임분야 전문가를 강사로 구성해 국내외 게임 퍼블리셔 또는 게임운영관련 기업들에 대한 유용한 정보제공을 위한 설명회와 세미나를 마련하기도 했다.

‘맞춤형 컨설팅’은 이메일, 유선 및 관련페이지 운영 등을 통해 상시적으로 문의된 사항을 해결해주는 ‘온라인’ 방식과 매주 목요일 맞춤형 교육을 진행했던 전문가가 센터에 방문해 사전 신청한 기업을 대상으로 일대일로 진행하는 ‘오프라인 심화’ 방식으로 진행됐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조현훈 글로벌게임허브센터장은 “게임 스타트업과 중소기업들의 상대적 취약 부분을 지원하기 위해 사업을 실시했다”면서 “참가 기업들의 만족도가 높은 만큼 내년에는 사업확장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실제 글로벌게임허브센터는 2015년부터는 대상을 글로벌게임허브센터 입주사에서 센터의 회원사 전체로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으며, 차세대 게임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글로벌게임허브센터는 중소 게임기업 인큐베이팅과 차세대 게임기업 육성을 목적으로 2009년 설립된 조직 및 공간으로 현재 19개사가 입주해 있다. 2010년부터는 센터 내 별도로 게임 스타트업을 위한 게임벤처3.0을 운영해 20개팀을 지원하고 있다. 2011년에는 모바일 게임기업 지원을 위한 모바일게임센터도 만들어 현재 22개사가 입주 해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