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닝의 현재와 미래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국제적 행사인 2011 이러닝 코리아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문화체육관광부, 지식경제부 공동주최로 9월 6일(화)부터 8일(목)까지 서울 COEX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올해로 6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최신 이러닝 트렌드를 살펴보고 체험해 볼 수 있는 국제 박람회와 향후 이러닝이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국제 컨퍼런스는 물론, 교육용 모바일앱 공모전, 수출상담회 등 부대행사가 다채롭게 진행될 예정이다.
“이러닝, 스마트 세상을 열다”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러닝 국제박람회에는 10개국 97개 기업이 참가하여 255개 부스를 운영할 예정이며, 약 2만여명의 관람객의 참가가 예상된다. 부처별로 운영되는 정책홍보관에서는 정부의 교육정보화 사업 및 그간 추진해 온 이러닝 정책의 주요성과를 소개하고, 미래비전을 제시한다.
교육과학기술부 테마관에서는 주관기관인 인천광역시교육청과 함께 스마트교실, 커뮤니티공간, 이러닝 체험관을 구성해 스마트 기기와 클라우드 환경에서 학교의 이러닝 활용사례들을 보여주고 새로 개정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시연과 교육과학기술부의 추진 정책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 테마관은 오프라인 교재와 온라인 웹을 결합한 영어교육 콘텐츠 등 ‘대한민국 콘텐츠 어워드’ 대상 수상작을 시연한다. 또한 콘텐츠-기기-서비스 업체 간 협력형 과제인 ‘초등학생용 디지털 참고서’와 에듀테인먼트산업협회 회원사들이 대기업과 공동 추진 중인 교육콘텐츠 등 이러닝 분야에서의 대-중소 기업 간 동반성장 사례를 제시할 예정이다.
지식경제부 테마관에서는 고위험?고비용 훈련을 대체할 새로운 훈련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e-트레이닝을 비롯하여, 스마트 기기와 로봇을 활용한 협력학습 시스템, 뇌파 측정을 통해 집중도 체크가 가능한 감성형 이러닝시스템이 전시되어 미래 이러닝 환경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기업관에서는 Future School, Smart Campus, Smart Work, Job&HRD 등 4부문으로 나누어 국내외 참가기업들의 최신 이러닝 솔루션, 콘텐츠, 하드웨어 등을 선보인다.
New Directions for Educational Innovation를 주제로 진행되는 컨퍼런스에서는 국내외 이러닝 전문가들의 초청 발표를 통해 세계 각 국의 이러닝 분야 현황과 성과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 혁신적인 교수학습방법과 미래교육의 방향에 대해 심도 있고 종합적인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9.6(화)에는 미시건대 교육학과 Elliot Soloway 교수가 기조강연에서 “Learning in the Age of Mobilism.”이라는 주제로 기존의 ‘교사가 가르치는 형태’의 수업방식이 교사와 학생 모두가 모바일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의 과정에 참여하여 ‘함께 배우는 형태’로 전환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이와 관련된 싱가포르, 미국, 영국 등의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이번 컨퍼런스는 총 16개의 트랙으로 구성되며, 교육과학기술부는 Trend of Future School, New Media in Education, Smart Education 등의 주제로 총 6개의 트랙을 운영하며 특히 21세기에 요구되는 스마트 교육에 대해 도입 필요성 및 추진 방향?과제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의 9.6(화) 트랙에서는 “태국의 초등학교 태블릿PC의 정책과 사례”와 “스마트 디바이스용 콘텐츠관련 대·중소기업의 동반성장 추진사례와 발전방안”에 대하여 발표·논의할 예정이다. 지식경제부가 담당하는 9.6(화) 정책트랙에서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학습자간 협업을 통해 창의적 사고를 확산하는 신개념 학습모델인 소셜 러닝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살펴본다.
9.7(수) 학술트랙에서는 산업현장의 기술과 노하우 확산, 직업훈련 등에서 이러닝을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외교통상부의 FEALAC 트랙에서는 호주, 말레이시아, 코스타리카 등 FEALAC 8개 회원국 및 국제기구 이러닝 관련 정책 전문가 총 10명이 참가하여 이러닝을 통한 교육 혁신, 이러닝을 위한 정보통신기술(ICT)의 활용 방안 및 동아시아와 중남미지역간 이러닝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중점 논의할 예정이다. FEALAC(Forum for East Asia and Latin America Cooperation)은 동아시아와 중남미 지역간 협력과 상호 이해 증진을 목표로 1999년 출범한 유일한 정부간 협의체로서, 한/중/일을 포함한 동아시아 16개국과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 20개국 등 총36개 국가가 회원국으로 활동 중이다.
이와 더불어 공모를 통해 선정된 20여편의 국내외 논문이 발표되며, 창의적인 연구성과를 보여준 논문 6편에 대해 우수논문 시상식이 진행된다. 또한 종합토론에서는 실시간 문자메시지를 통해 질문을 받는 Q&A 시스템이 사용되어 참가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이러닝 우수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된 ‘제7회 이러닝 우수기업 콘테스트’, 교육용 우수 어플리케이션을 발굴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경진대회’, 이러닝 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 기회를 제공하는 ‘이러닝 수출상담회’ 등 부대행사가 다채롭게 진행될 예정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우수한 모바일 러닝 콘텐츠 및 서비스의 아이디어를 발굴?확산하려는 목적으로 “교육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경진대회”를 신설하여 교사, 학생, 대학생, 학부모 4개 분야로부터 교육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모하였다. 이러닝 수출상담회의 경우, 해외 유망바이어 12인과 국내 이러닝기업 31개사가 참여하는 1:1 비즈니스 매칭을 통해 우리 기업의 성공적인 해외진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지식경제부는 세계 15개국 50여명의 이러닝 전문가가 모인 ‘이러닝 글로벌 커뮤니티’를 개최하여 이러닝 표준화 및 비즈니스 창출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지속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교과부, 지경부, 외교부, 문화부는 동 행사를 통해 이러닝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제고하는 한편, 국제사회에서 이러닝 선도국으로서의 위상을 보다 공고히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러닝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민/관/학이 공조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 14년 6개월간 이동해서 마인크래프트 끝에 도달한 남자
- 대놓고 베낀 수준, PS 스토어에 '가짜 동숲' 게임 등장
- 소녀전선 3인칭 슈팅 신작, 23일 소프트런칭
- 챗GPT를 TRPG ‘게임 마스터’로 만들어보자
- 한국어 지원, HOMM: 올든 에라 스팀 체험판 배포
- 대파를 끼울 수 있다, 포켓몬스터 '파오리' 재킷 등장
-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패치 2주만에 '동접 반토막'
- [롤짤] 4시드 T1보다 낮은 LPL, 롤드컵 LCK 독주?
- [순정남] 연휴 마지막 날, 슬프지만 이들보단 낫다 TOP 5
- 국내 게임패스 자동결제 유저, 당분간 기존 가격 적용된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