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56개의 특집기사가 있습니다.
  • 캐릭터를 꾸미는 신규 뷰티 아이템도 업데이트된다. 트라이아 성형외과에서 3종의 얼굴을 선택할 수 있고, 로제타 뷰티살롱은 10종의 신규 헤어 스타일을 제공한다.
    2015.09.22 10:37
  • '메이플스토리 2'의 주요 콘텐츠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이 보완된다. 먼저 올바른 UGC(User Generated Content) 장려를 위해 해당 콘텐츠 이용 전 '저작권 위반 자세히 보기'와 '권리 침해 센터 홈페이지' 버튼을 추가할 예정이다. 두 버튼을 클릭하면 UGC 관련 사례 확인과 권리 침해 신고 등을 손쉽게 할 수 있다.
    2015.09.22 10:35
  • 앞서 언급한 카오스 난이도 던전을 안정적으로 공략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장비가 필요하다. 이를 '스펙(캐릭터의 전체적인 성능을 의미)'이라 부르며, 메이플 월드에 마련된 각종 던전을 공략해 수치를 높일 수 있다.
    2015.09.22 10:32
  • 이번 업데이트의 골자는 단연 퀘스트 보상 증가다. 이전까지 '메이플스토리 2'는 소위 '추천 사냥터'라 불리는 곳에서 무한 사냥을 하는 것이 가장 빠른 레벨업 방법이었다. 실제로 '추천 사냥터' 지역에는 채널과 상관없이 많은 유저들이 몰려 몬스터 사냥에 열을 올렸고, 일부 던전과 기타 콘텐츠는 상대적으로 외면을 받았다.
    2015.09.22 10:32
  • 지난 한 달 동안 이뤄진 5.17과 5.18패치의 영향으로 각 라인별 대세 챔피언 구도에 변화가 생겼다. 모든 기술이 재설계되고 추가 상향 패치까지 적용된 다리우스와 피오라, 갱플랭크, 그리고 모데카이저의 인기가 치솟았으며, 그 만큼 기존에 선호되던 챔피언들의 픽밴률이 다소 떨어졌다. 또한, 5.17패치로 주문력 계수가 증가하고 기본 피해량이 하향된 만큼 ‘삼위일체’와 ‘몰락한 왕의 검’을 맞추던 AD 피즈가 탑 라인에서 모습을 감췄다.
    2015.09.22 00:01
  • 22일(화), ‘메이플스토리 2’가 대규모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웰컴'으로 명명된 이번 업데이트는 지금까지 '메이플스토리 2'를 즐겨온 유저들의 피드백과 오픈 이후 수집한 데이터를 적극 반영했다.
    2015.09.21 20:33
  • 아이마가 깜짝 놀랄만한 소식을 공개하기로 약속한 22일(화)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그 소식은 대대적인 개편안일까요? 아니면 획기적인 신규 콘텐츠일까요? 모두가 기다리는 오픈 소식은 아닐까요? 아이마 OST인 '염원'을 부를 두 번째 가수의 공개도 빼놓으면 안 되겠습니다. 끊임 없이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아이마의 모습을 본문에서 확인해봅시다.
    2015.09.21 12:09
  • 갱맘은 빠른 라인 정리를 위해 4레벨까지 ‘카드 뽑기(W) -> 와일드 카드(Q) -> 속임수 덱(E)’순서로 기술을 배웠다. 이후로는 다른 라인에 적 챔피언을 습격하는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운명(R) -> 와일드 카드(Q) -> 카드 뽑기(W) -> 속임수 덱(E)’순으로 기술을 마스터했다. 완성 아이템은 6레벨 이후 다른 라인에 습격을 가기 위해 ‘명석함의 아이오니아 장화: 민병대’를 가장 먼저 맞췄으며, 이후 ‘리치베인’을 추가해 추가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높였다. 또한, 갱맘은 룬과 특성에 이동속도 증가에 투자해 다른 라인으로 습격을 가는데 중점을 두고 게임을 운영했다.
    2015.09.20 22:19
  • 체이서는 빠른 정글 사냥을 위해 3레벨부터 라인에 습격을 다니고, 카운터 정글을 다니기 위해 ‘창 투척(Q) -> 매복 덫(W) -> 태고의 생명력(E)’ 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매복 덫(W)’으로 적의 위치를 확인한 뒤 ‘창 투척(Q)’을 활용해 적에게 높은 피해를 입혔다. 기술 마스터 순서는 주 공격 기술인 ‘창 투척(Q)’과 ‘태고의 생명력(E)’을 우선시 했으며, 궁극 기술인 ‘쿠거의 상(R)’은 6/11/16레벨을 달성할 때마다 바로 배웠다. 완성 아이템은 빠른 정글 사냥을 위해 ‘경비대의 길잡이: 현자’를 최우선으로 조합했으며, 이후 ‘영겁의 지팡이’를 추가해 부족한 주문력과 마나를 보충했다. 또한, 체이서는 마을에 귀환할 때 마다 ‘투명 와드’와 ‘투명 감지 와드’를 꾸준히 구매해 아군 라이너들의 부족한 와드 설치를 도왔다.
    2015.09.20 22:18
  • 애로우는 초반 라인전에서 원활한 미니언 처치를 위해 ‘뽑아 찢기(E) -> 꿰뚫는 창(Q) -> 감시하는 혼(W)’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기술 마스터 순서는 주 공격 기술인 ‘뽑아 찢기(E)’를 우선시 했으며, 후반 한타 싸움에서 공격 피해량을 최대로 올리기 위해 ‘꿰뚫는 창(Q)’의 레벨을 그 다음으로 올렸다. 완성 아이템은 라인 유지력을 높이고자 ‘몰락한 왕의 검’을 우선 맞췄으며, 그 다음으로 칼리스타와 궁합이 좋은 ‘루난의 허리케인’을 추가했다.
    2015.09.20 22:18
  • 나그네는 4레벨까지 ‘죽음의 광선(E) -> 힘의 흡수(Q) -> 죽음의 광선(E) 2레벨 -> 중력장(W)’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그리고 꾸준히 ‘죽음의 광선(E)’을 적에게 사용해 피해를 줬으며, ‘힘의 흡수(Q)’의 보호막을 활용해 적의 견제 공격을 무마했다. 완성 아이템은 ‘라바돈의 죽음모자’와 ‘공허의 지팡이’를 가장 먼저 조합했고, 신발은 ‘아이오니아의 장화’를 추가해 재사용 대기시간을 맞췄다. 또한, 빅토르만의 독특한 시스템인 ‘마공학 핵’을 최대한 빨리 완성해 기술에 추가되는 특수 기능을 최대한 활용했다.
    2015.09.20 22:17
  • 갱맘은 초반부터 공을 사용해 적을 강하게 견제하기 위해 3레벨까지 ‘명령: 공격(Q) -> 명령: 불협화음(W) -> 명령: 보호(E)’순서로 기술을 배웠다. 이후로는 포킹과 카이팅 피해량을 최대로 높이기 위해 ‘명령: 공격(Q)’과 ‘명령: 불협화음(W)’을 우선 마스터했다. 완성 아이템은 라인전 상대가 주문 공격을 하는 아지르이기 때문에 ‘모렐로노미콘’ 대신 ‘아테나의 부정한 성배’를 최우선으로 조합했다. 또한, 갱맘은 이후로 부족한 주문력을 높이기 위해 ‘라바돈의 죽음모자, 공허의 지팡이, 루덴의 메아리’ 등을 추가했다.
    2015.09.20 07:02
  • 피카부는 초반부터 적을 강하게 견제하기 위해 3레벨까지 ‘동상(Q) -> 불굴(E) -> 내가 지킨다(W)’순서로 기술을 배웠다. 이후로는 견제 공격과 받는 피해 감소량을 최대로 높이기 위해 ‘동상(Q) -> 불굴(Q) -> 불굴(E)’순으로 기술을 마스터했다. 완성 아이템은 서폿에게 필수인 ‘시야석’을 최우선으로 조합했고, 이후로 빠른 합류를 위해 ‘기동력의 장화’를 추가했다. 또한, 마을에 귀환할 때마다 꾸준히 ‘투명 감지 와드’를 구매해 아군의 맵 시야 장악력을 높였다. 룬은 생존력을 강화하기 위해 표식과 정수에 방어력을 인장에 체력을, 그리고 문양에는 마법 저항력과 마나 재생을 섞어서 착용했다.
    2015.09.20 07:01
  • 애로우는 초반 라인전에서 승리하기 위해 3레벨까지 ‘일제 사격(W) -> 표적 추적(Q) -> 매 날리기(E)’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기술 마스터 순서는 주 공격 기술의 피해량을 높이기 위해 ‘마법의 수정화살(R) > 일제 사격(W) > 표적 추적(Q) > 매 날리기(E)’ 순으로 수행했다. 완성 아이템은 가격 대비 효율이 좋은 ‘무한의 대검’을 가장 먼저 조합했고, 이후로는 ‘스태틱의 단검 -> 최후의 속삭임 -> 피바라기’를 차례로 구매했다.
    2015.09.20 07:01
  • 썸데이는 1레벨부터 아군 정글러와 함께 중립 몬스터를 처치해 2레벨을 달성했다. 그리고 이후 마을에 한 번 귀환해 아이템을 구매하고 정비를 한 뒤, 소환사 주문 ‘순간이동’을 활용해 라인에 복귀했다. 또한, 썸데이는 빠른 라인 정리를 위해 ‘강철 폭풍(Q) -> 질풍검(E) -> 바람 장막(W)’순으로 기술을 배웠으며, 주 공격 기술인 ‘강철 폭풍(Q)’과 ‘질풍검(E)’을 우선 마스터했다. 완성 아이템은 ‘삼위일체’를 우선 맞췄고, 이후 ‘밴시의 장막, 스태틱의 단검, 무한의 대검’ 등을 추가해 치명타율을 계속 높였다.
    2015.09.20 07:00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