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82개의 특집기사가 있습니다.
  • 블리자드는 자사의 MMORP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차기 확장팩, '드레노어의 전쟁군주'의 주요 등장 인물을 소개하는 5부작 미니시리즈 애니메이션, ‘전쟁의 군주’의 마지막 편인 ‘마라아드’를 공개했다. 영상은 '드레나이'의 구원자 ‘마라아드’가 경험했던 암울한 과거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2014.09.29 13:40
  • '하스스톤 한중 마스터즈 시즌 2' 4강이 9월 29일, 저녁 7시부터 용산 아이파크몰 e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진행된다. 팬들의 관심은 이번 시즌 유일하게 4강에 살아남은 한국 선수 ‘레니아워’ 이정환의 선전 여부다. 8강 진출자 중 8명 중, 유일한 한국 선수인 이정한은 끝끝내 4강까지 오르는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2014.09.29 13:38
  • 지난 18일부터 진행된 롤드컵 16강 조별예선이 모두 끝났다. 1주차 경기에서 6전 전승을 기록한 삼성 화이트에 이어 삼성 블루와 나진 실드도 각 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합류했다. 9월 28일, 싱가포르 엑스포 센터에서 롤드컵 16강 조별예선 마지막 경기가 진행됐다. 먼저 삼성 블루는 마지막 두 경기를 모두 승리로 장식하며 일찌감치 조 1위를 확정 지었다
    2014.09.29 11:33
  • 검은사막 파이널 테스트의 대미를 장식할 점령전이 28일 오후 9시에 시작되었다. 마지막인 만큼 점령전에 관심을 보인 모든 길드가 지휘소를 건설한 가운데 시작된 점령전은 종료가 예정된 오후 11시까지 치열한 양상을 보였다. 특히 모든 지역의 세금을 거둘 수 있는 '칼페온 직할령'의 경우에는 지휘소를 건설한 5개 길드 뿐만 아니라 동맹 길드가 다수 참여하면서 불꽃튀는 대결이 펼쳐졌다.
    2014.09.29 09:50
  • 지난 한달 동안 진행된 세 번의 밸런스 패치로 각 라인별 챔피언 선호도 순위에 변화가 생겼다. 4.15패치로 모든 기술이 상향된 120번째 신규 챔피언 나르의 인기가 증가했고, 일명 ‘소나무 메타’라 불리며 한동안 탑 라인의 최강자로 군림하던 마오카이와 알리스타가 하향돼 픽밴률이 현저히 감소했다.
    2014.09.29 09:42
  • 요코이 군페이. 그는 화투 회사였던 닌텐도를 완구 제조업체를 거쳐 게임회사로 거듭나게 한 장본인이다. 세계 최초의 휴대용 게임기 ‘게임&워치’와 ‘게임보이’를 통해 휴대용 게임 시대를 열었다. 또한 ‘메트로이드’와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등 다양한 게임을 통해 8~90년대 게임 업계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2014.09.29 09:38
  • 데프트는 원활한 라인전을 위해 ‘도란의 검’과 ‘체력 물약’을 시작 아이템으로 선택했다. 장신구는 ‘토템 와드’를 사용하다가 중반부터 최근 원거리 딜러의 장신구로 각광 받는 '수정 구슬'로 바꿨다. 오랫동안 라인에서 미니언을 처치해 골드를 많이 모은 데프트는 라인 유지력을 강화하기 위해 ‘몰락한 왕의 검’을 최우선으로 조합했다. 그리고 이후로 최근 트위치의 필수 아이템으로 평가 받는 ‘요우무의 유령검’을 추가했으며 공격력과 치명타율을 높이고자 ‘무한의 대검’을 구매했다. 신발은 '매복(Q)'으로 적 챔피언 암살하는 능력을 강화하고자 '기동력의 장화'를 선택했다. 또한, 데프트는 골드에 여유가 있을 때마다 ‘투명 감지 와드’를 구매해 아군의 맵 시야 장악에 힘을 보탰다.
    2014.09.28 18:49
  • 다데는 아군 정글러와 서폿의 미드 라인 습격에 호응하기 위해 3레벨까지 ‘무의 구체(Q) -> 황천의 검(W) -> 힘의 파동(E)’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그리고 습격을 오는 타이밍에 맞춰 기술을 연계로 사용해 챔피언 처치를 노렸다. 또한, 꾸준히 ‘무의 구체(Q)’를 사용해 적의 마법 피해를 흡수했다. 또한, 다데는 이후로도 주 공격 기술인 ‘무의 구체(Q)’와 궁극 기술 ‘균열 이동(R)’을 최우선으로 마스터했으며, 그 다음으로 ‘힘의 파동(E)’을 배웠다.
    2014.09.28 18:48
  • 님프는 적 챔피언보다 먼저 2레벨을 찍고자 1레벨에 ‘승리의 포효(E)’를 배웠다. 그리고 꾸준히 기술을 사용해 아군 미니언들의 생명력을 채우고 적 미니언들에게 ‘짓밝기(지속효과)’ 피해를 줬다. 이후로는 ‘분쇄(Q) -> 박치기(W)’순으로 기술을 배워 아군 정글러의 습격에 호응했다. 기술 마스터 순서는 ‘꺾을 수 없는 의지(R) -> 분쇄(Q) -> 박치기(W)’ 순으로 수행했으며, ‘승리의 포효(E)’를 가장 마지막에 배웠다.
    2014.09.28 18:48
  • 한국 시각으로 9월 28일(일) 오후 8시, OMG과 LMQ의 '리그오브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4(이하 롤드컵)' 조별리그 C조 12경기가 싱가포르 '엑스포 컨벤션 센터'에서 치러진다.
    2014.09.28 15:56
  • 한국 시각으로 9월 28일(일) 오후 7시, Cloud9(이하 C9)과 NaJin White Shield(이하 나진 쉴드)의 '리그오브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4(이하 롤드컵)' 조별리그 D조 12경기가 싱가포르 '엑스포 컨벤션 센터'에서 치러진다.
    2014.09.28 14:47
  • 한국 시각으로 9월 28일(일) 오후 6시, Fnatic(이하 프나틱)과 Samsung Galaxy Blue(이하 삼성 블루)의 '리그오브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4(이하 롤드컵)' 조별리그 C조 11경기가 싱가포르 '엑스포 컨벤션 센터'에서 치러진다.
    2014.09.28 14:06
  • 이번 시즌 첼시의 기세가 예사롭지 않다. 5라운드까지 진행된 현재 첼시는 4승 1무로 무패 행진 중이다. 이는 아스날과 함께 리그 내 유이한 기록이다.
    2014.09.27 16:44
  • 슈크는 빠른 정글링 이후 라인에 습격을 가기 위해 ‘몸 말아 웅크리기(W) -> 대회전(Q) -> 따끔한 도발(E)’ 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그리고 라인에 꾸준히 습격을 시도해 아군 챔피언들의 성장을 돕기 위해 군중 제어 기술인 ‘따끔한 도발(E)’을 우선 마스터했으며, ‘몸 말아 웅크리기(W)’를 그 다음으로 배워 생존력을 강화했다. 단, 궁극 기술인 ‘지진(R)’은 6, 11, 16레벨에 바로 배웠다.
    2014.09.27 15:39
  • 제파는 코르키로 초반 라인전에 도움이 되는 ‘도란의 검, 체력 물약’을 시작 아이템으로 선택했다. 장신구는 ‘와드 토템’을 구매해 팀의 맵 장악에 힘을 보탰다. 그리고 ‘속도의 장화’를 생략하고 코르키의 필수 아이템인 ‘삼위일체’를 빠르게 맞췄다. 이후 크게 성장한 제파는 공격력을 강화하기 위해 ‘무한의 대검 -> 피바라기 -> 최후의 속삭임’를 차례로 구매했다. 신발은 코르키가 일반 공격보다는 주문 공격 기술로 적에게 피해를 주기 때문에 ‘광전사의 군화’ 대신 ‘마법사의 신발’을 선택했다. 또한, 제파는 골드에 여유가 있을 때마다 ‘투명 와드’와 ‘투명 감지 와드’를 꾸준히 구매해 맵 요소 곳곳에 설치했다.
    2014.09.27 15:39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