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모바일

과열된 게임시장, 이제 '미소녀게임'이 블루오션이다!

/ 1


▲ NHN NEXT 박민근 게임 프로그래밍 교수가 미소녀게임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매일매일 수십 개의 게임이 출시되는 국내 게임업계는 이제 온라인, 콘솔, 모바일 구분할 것 없이 가득 차 레드오션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중에도 블루오션은 있다. 바로, 미소녀게임이다.


오늘(4일) 글로벌 게임 기술의 트랜드를 짚어 보고, 비즈니스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 '게임테크 2013'에서 이색적인 강연이 펼쳐졌다. 강연자는 알콜코더라는 닉네임으로 더 유명한 NHN NEXT의 박민근 게임 프로그래밍 교수로, 그는 '블루오션!! 미소녀게임의 비전과 개발 기술 소개'라는 주제를 통해 '오덕' 게이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오덕'이란 한 가지 일에 지나치게 몰두한다는 뜻의 일본어 '오타쿠'에서 온 말로, 국내에서는 주로 만화나 게임 등의 마니아층을 말하기도 한다. 


박민근 교수는 이날 게임테크 참석한 개발자들, 혹은 개발 꿈나무들에게 "돈을 벌고 싶으면 미소녀게임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하고, 미소녀게임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시장성과 개발기술 노하우를 공개했다. 박민근 교수는 "게임테크에서 미소녀게임의 시장성을 이야기한다고 했더니, 논란이 많았다"며, "이런 인식이 바로 개발자들 스스로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편견이다"고 말했다. 


그도 그럴 것이 으례 게임을 좀 해봤다 싶은 게이머나 개발자들에게 미소녀게임이 미소녀연애시뮬레이션(이하 미연시), 즉 '야겜'(야한 게임)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미소녀게임은 장르가 아닌 상위 분류 개념이며, 미연시는 여기에서 장르에 속하는 한 종류일 뿐이다. 박민근 교수는 "미소녀게임이란 미연시가 아니라 미소녀를 세일즈 포인트로 삼는 모든 게임을 통칭하는 것"이라 설명했다. 



▲ 미소녀게임이란 '미소녀'를 세일즈 포인트로 삼은 모든 게임을 말한다고



 '밀리언아서'나 '데빌메이커'도 결국은 미소녀게임이다


그렇다면 어떤 것들이 미소녀게임일까? 박민근 교수는 최근에 나온 '밀리언아서'나 '데빌메이커'가 대표적이며, 넥슨에서 개발한 '마비노기 걸즈', '드래곤 걸즈' 등도 여기에 속한다고 설명했다. 또,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닌텐도 3DS 타이틀 '러브플러스'도 마찬가지다. 박민근 교수는 "이들 카드게임에서 미소녀를 빼면 과연 이 게임이 재미있을지 생각해보면 무엇이 이 게임의 메인 요소인지 답이 나온다"고 말했다. 결국, 개발자 스스로 부정하고 있을 뿐 이들 게임의 목적은 미소녀라는 것이다.


박민근 교수는 "개발자들조차도 '오덕'을 위한 시장은 우리나라에서는 성공하기 어렵다는 편견이 많지만, 미소녀게임은 일본뿐 아니라 국내 게임 산업에서도 큰 세일즈 포인트다"라고 강조했다.



 '슈타인즈 게이트'가 '드래곤 플라이트'를 꺾고 한국 앱스토어 매출 1순위를 기록했다



▲ '오덕'들은 게임 업계에서 엄청난 소비력을 자랑하는 구매층이다


일례로 일본 개발사 5bp에서 만든 '슈타인즈 게이트'라는 게임이 있다. 처음 콘솔 Xbox 전용으로 출시됐으나, 후에 iOS로도 이식됐다. '슈타인즈 게이트'는 한글판으로 출시됐는데, 5bp가 퍼블리셔 없이 직접 한국 앱스토어에 진출했다. 문제는 게임의 가격이었다. $34.9, 한화 약 4만 원이라는 거금으로 게임이 출시된 것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한다면, 한국에서는 수많은 무료게임도 $0.99하는 아이템 판매가 쉽지 않고, 하물며 $1.99 하는 유료게임도 매출이 쉽지 않은 시장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가격 자체가 오류에 가까웠다. 하지만 '슈타인즈 게이트'는 나오자 마자 최고 매출 1위를 찍었다. '슈타인즈 게이트' 출시 시점은 2012년 12월로 '드래곤플라이트'가 카카오 게임하기 플랫폼을 타고 인기를 누리던 시기였다.


이와 비슷한 예를 '밀리언아서'에서도 찾을 수 있다. 액토즈소프트가 국내 퍼블리싱한 '밀리언아서'는 출시된 후 시쳇말로 '죽어가는 액토즈소프트를 살렸다'고 불릴 정도로 매출을 올렸으며, 덕분에 회사의 주가까지 껑충 뛰었다. 박민근 교수는 "퍼블리셔도 없이 카카오도 없이 4만원짜리 게임을 팔아서 매출 1위를 찍는 것이 미소녀게임이다"라며, "이러한 성과는 '오덕'의 높은 충성도가 있기에 가능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오덕을 싫어할 수는 있지만 그들의 소비력은 개발자들의 이상향이다"고 말하며, "게임하기 위해 4만 원을 쓰는 것은 당연한 오덕은 잠재적인 고액 결제자들"이라고 말했다.


또한, 박민근 교수는 지금까지 온라인게임 안에 갇혀서 사용해 볼 수 없었던 최신 개발 기술을 실험할 수 있는 분야도 미소녀게임이라고 말했다. 이미 일본에서는 2D 그래픽의 눈동자를 움직이거나, 대사를 입력하면 입 모양을 움직이게 해주는 '모션 포트레이트' 기술이나, 평면적인 2D에 3D같은 입체 표현을 가능하게 해주는 'Live 2D', 그리고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를 통해 기기 안에 가상 세계를 구현해주는 'AR마커' 등 수많은 최신 기술이 생생한 미소녀 캐리터를 구현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다. 



  '러브플러스' 여자친구과 함께 여행 기념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문화 콘텐츠가 관광상품을 만들어 낸 것과 마찬가지


'러브 플러스'는 AR마커를 활용해 진행한 캠페인으로, 유명 관광지에 자신의 여자친구(닌텐도)를 들고 사진을 찍으면 자신의 옆에 게임 캐릭터가 함께 찍히는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헤드트래킹' 기술은 자신이 고개를 상하 좌우로 이동하면 게임 속 캐릭터를 비추는 카메라의 시선도 함께 움직이는 것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과거 게임 캐릭터의 치마 밑을 보기 위해 모니터 아래로 아무리 고개를 숙여도 보이지 않았던 치마 속을 은밀히 훔쳐볼 수 있다.


박민근 교수는 "미소녀게임 개발은 프로그래머로서 온갖 최신기술이 접목되는 도전적인 분야이며, 니즈가 확실한 블루오션이다"라고 말했다. 미소녀게임에 대한 니즈는 확실한데, 오히려 공급이 적을 뿐이다. 과거 '애니팡'은 게이머가 아니었던 일반인들을 위한 하나의 게임으로 등장해 큰 인기를 누렸다. 하지만 지금은 이러한 일반 유저를 공략하기 위해 수십, 수백 개의 게임이 시장을 노리고 있다. 또, 캐주얼게임은 최신 게임이 나오면 인기 순위가 바뀌지만, 미소녀게임처럼 마니아층을 대상으로 하는 게임은 충성도가 높아 쉽게 순위가 변하지 않는다. 최근 모바일게임의 생명력은 3개월이라고 하지만 '밀리언 아서'의 매출은 여전히 상위권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한 예다.


이에 박민근 교수는 "익숙한 게임만 개발하면서, 항상 보고 있던 시장만 보지 말고, 아예 모르는 분야를 도전해보는 것도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4년 12월호
2004년 11월호
2004년 10월호
게임일정
2025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