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와우의 환경설정 항목을 알아보자!

/ 2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가 설치된 폴더를 살펴보면 WTF 하위에 config.wtf 라는 파일이 있다. 이 파일의 내용을 편집해주면 일반 옵션에서는 건드릴 수 없는 다양한 그래픽 옵션을 설정해줄 수 있다.

만약 컨피그 파일 에디팅에 자신이 없는 사람이라면, 게임 내에서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컨솔 명령어 창을 이용해도 좋다.

▶콘솔창을 불러낸 모습

---------------------------------------------------------------------------------------------
widescreen 1

와이드 스크린을 사용할지의 여부. 현재는 1로 설정해야 정상적으로 화면이 출력됨.

gxColorBits 24

화면 색 정밀도. 화질에 영향을 미친다.

gxDepthBits 24

텍스쳐의 색 정밀도. 메모리 점유율에 영향을 미친다.

gxResolution 1024x768

게임화면을 표시할 화면 해상도를 설정.

gxRefresh 60

화면 갱신율, 1초에 몇번 화면을 갱신시킬것인가를 결정.

모니터에 대한 설정값이므로 값을 올린다고 빨라지진 않는다.

이 값이 높은 상황에서 gxVSync 를 1로 설정할 경우 오히려 느려진다.

gxApi direct3d/opengl

DirectX 의 3D 기능과 OpenGL 드라이버중 선택.

호환성에 문제가 있을 경우 다른것으로 시도. direct3d가 기본.

gxVSync 0/1

(set pending gxRestart)재시작해야 적용됨.

1로 했으 경우 화면 갱신 주파수와 동기화. 화면 떨림이 사라짐. 대신 속도 저하.

0으로 했을 경우 동기화 안함. 시스템에 따라 화면 떨림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대신 화면갱신 속도 증가

gxWindow 0/1

(set pending gxRestart)재시작해야 적용됨.

1로 했을 경우 창모드로 실행, 0으로 했을 경우 전체화면으로 실행

hwDetect 0

미확인. 하드웨어 자동감지 기능으로 예상됨

lod 1

LOD(level of detail)란 지형 폴리곤을 그릴때 멀리 있는 지형의 폴리곤은 단순하게 밀도를 낮추고, 가까이 있는 폴리곤은 원래의 복잡도대로 밀도를 높여서 렌더링 속도와 화질을 증가시키는 기술이다.

0으로 설정하면 LOD 기능이 꺼지며, 경우에 따라선 멀리 있는 지형이 깨지는 경우도 있다(멀리서 너무 조밀한 폴리곤이 겹쳐지게 되므로)

fullAlpha 1

배경의 장식물(거미줄이나 횟불 주위의 빛 같은)에 대하여 반투명 맵의 사용 여부를 결정.

1로 할 경우 반투명 기능이 켜지게 되며 시스템에 따라 속도가 느려진다.

0으로 할 경우 불투명한 부분만 그려져서 엉성하게 그려지나 시스템에 따라 렌더링 속도가 빨라진다.

doodadAnim 0.000000

일부 배경의 에니메이션을 켜거나(1) 끈다(0).

mapShadows 1

지형에 비추어지는 그림자를(다른 건물에 의해 가려지는 땅의 그림자 등등) 켜거나(1) 끈다.

끄면 당연히 렌더링 속도가 빨라진다.

lightMaps (null)

지형에 광원을 미리 집어넣어둔 라이트맵을 사용할지의 여부. 아직 구현 안됨.

lodDist 100.000000

50 ~ 250 사이의 값을 설정한다.

위에서 설명한 LOD 의 기준거리를 설정한다. 여기서 설정한 거리보다 먼 지형은 단순하게 그려지며, 이 거리보다 가까운 지형은 원래의 복잡도대로 그려진다.

SmallCull 0.010000

지정된 크기보다 작은 배경 및 배경물체는 그려지지 않는다.

느린 시스템에선 이 값을 증가시키면 렌더링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나 작은 물체가 그려지지 않는다.

보통 멀리 있어서 너무 작은 물체를 그리지 않도록 하여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옵션이다.

케릭이나 몹은 적용되지 않는다.

DistCull 450.000000

지정된 거리보다 멀리 있는 물체는 그려지지 않는다.

느린 시스템에선 이 값을 줄여주면 렌더링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나 멀리 있는 물체를 볼 수 없다.

아직 적용되진 않아서 수정해도 효과가 없다.

MaxLights 4

최대 광원 갯수. 이 값을 줄이면 렌더링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빛을 내는 마법이나 기타 아이템에 의한 시각효과가 사라진다.

shadowLevel 0

케릭터나 몹, NPC의 발밑에 생기는 그림자를 복잡하게 만들거나(1) 단순하게 만든다(0)

wow를 재시작해야 적용된다.

alphaLevel 0

불명

wow를 재시작해야 적용된다.

texLodBias 0.500000

LOD를 적용시킬때 단순하게 그려지는 지형에 입혀질 텍스쳐의 정밀도를 결정한다.

0.5는 멀리있는 텍스쳐의 정밀도를 반으로 줄이는것을 의미한다.

trilinear 1

텍스쳐 필터링 옵션. 0일 경우 bilinear 필터링이 적용되어 약간 더 빨라지나 화질에 손해를 본다.

frillDensity 16

지형 위의 풀, 꽃 등 식물의 밀도를 정한다. 값이 낮을수록 풀이나 꽃같은 식물이 지형에 덜 보이게 된다.

높은값일수록 더 많은 식물이 보이나, 속도가 느려진다.

farclip 357.000000

이 값보다 멀리 있는 폴리곤은 그려지지 않는다.

nearclip 0.1

이 값보다 가까이 있는 폴리곤은 그려지지 않는다. 한마디로 카메라를 뚫고 들어오는 폴리곤이라 생각하면 된다.

specular 0

wow를 플레이하다 보면 땅바닥을 보는 각도에 따라 윤기가 나는 부분이 있는데 그 부분이 specular다.

이 값을 0으로 하면 땅에서 각도에 따라 보이는 윤기가 사라진다. 물론 속도는 빨라진다.

mapObjOverbright (null)

구현 안된 변수

mapObjLightLOD 0

지형 데이터의 정밀도 함수를 사용할지의 여부.

pixelShaders 0

반사된 물 표면의 표시같은 특수효과를 켜거나(1) 끈다(0).

particleDensity 0.500000

불꽃이나 먼지같은 입자 효과의 밀도를 설정한다. 값이 높을수록 시각효과가 늘어나지만 속도가 느려진다.

unitDrawDist 75.000000

설정된 값보다 멀리 있는 케릭이나 몹은 그려지지 않는다.

배경엔 적용되지 않는다.

waterLOD 0

물의 표현에 대한 LOD를 켜거나(1) 끈다(0)

baseMip "0"

MipMap 이란 텍스쳐를 그릴때 멀리있는 물체에 대한 텍스쳐는 미리 적절하게 축소된 텍스쳐를 적용시키고, 가까이 있는 폴리곤에 입힐 텍스쳐는 원래의 확대된 고밀도의 텍스쳐를 입혀서 화질을 개선하는 방식이다.

이 값을 1로 하면 항상 멀리있는 폴리곤에 대한 텍스쳐를 입히게 되어 텍스쳐 해상도가 떨어진다.

anisotropic 1

이방성 필터링이라는 텍스쳐 보정 효과. 이 값을 0으로 하면 렌더링 속도가 빨라지지만 화질이 떨어진다.

textureLodDist 777.0

거리에 따른 택스쳐의 품질을 차등 적용하여 렌더링 속도를 향상시킬지의 여부를 결정.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2004년 11월 23일
플랫폼
온라인
장르
MMORPG
제작사
블리자드
게임소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워크래프트' 세계관을 토대로 개발된 온라인게임이다. '워크래프트 3: 프로즌 쓰론'의 4년이 지난 후를 배경으로 삼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플레이어는 얼라이언스와 호드, 두 진... 자세히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