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래프트 3 팬사이트인 워크래프트 넷은 미국시간으로 8일 블리자드의 개발자인 빌로퍼의 인터뷰를 인용, 워크래프트 3의 북미지역 판매가가 50달러 내지 55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보도했다.
해외 대작게임들이 평균 약 40달러선에서 판매되는 것보다 10달러 이상이 비싼 금액이다. 이 금액은 국내 환율 1,300원을 기준으로 살펴볼 때 약 6만5천원에서 7만5천원에 이르는 금액이다.
블리자드사의 디아블로 2가 북미지역에서 40달러에 판매되고 국내에서 4만3천원선에 거래되는 것을 볼 때 워크래프트 3 가격은 국내에 최하 5만5천원 이상으로 유통될 것으로 보인다.
하바스와 교류를 가지고 있다는 국내 유통사의 한 관계자는 "하바스가 요구하는 워크래프트 3의 로열티가 15달러선에 국내 판매량은 약 100백만장"이라며 "이 금액은 환율 달러당 1,300원을 기준으로 볼 때 약 200억원이 넘는 금액으로 국내 유통 게임사상 최고의 판권료가 지불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결국 국내 게임가격은 해외언론의 보도와 국내 사정을 감안할 때 그동안 유통됐던 블리자드 타이틀보다 약 2만원 정도 비쌀 것으로 보여 워크래프트 3가 5만5천원을 뛰어넘는 국내 최고의 판매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국내 판매 게임중 최고가를 기록한 게임은 삼국지 시리즈였다.
<지봉철>
모든 기사 및 자료의 저작권은 GAMEMECA에 있습니다. 개인적인 용도 외의 무단전재를 금합니다.
해외 대작게임들이 평균 약 40달러선에서 판매되는 것보다 10달러 이상이 비싼 금액이다. 이 금액은 국내 환율 1,300원을 기준으로 살펴볼 때 약 6만5천원에서 7만5천원에 이르는 금액이다.
블리자드사의 디아블로 2가 북미지역에서 40달러에 판매되고 국내에서 4만3천원선에 거래되는 것을 볼 때 워크래프트 3 가격은 국내에 최하 5만5천원 이상으로 유통될 것으로 보인다.
하바스와 교류를 가지고 있다는 국내 유통사의 한 관계자는 "하바스가 요구하는 워크래프트 3의 로열티가 15달러선에 국내 판매량은 약 100백만장"이라며 "이 금액은 환율 달러당 1,300원을 기준으로 볼 때 약 200억원이 넘는 금액으로 국내 유통 게임사상 최고의 판권료가 지불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결국 국내 게임가격은 해외언론의 보도와 국내 사정을 감안할 때 그동안 유통됐던 블리자드 타이틀보다 약 2만원 정도 비쌀 것으로 보여 워크래프트 3가 5만5천원을 뛰어넘는 국내 최고의 판매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국내 판매 게임중 최고가를 기록한 게임은 삼국지 시리즈였다.
<지봉철>
모든 기사 및 자료의 저작권은 GAMEMECA에 있습니다. 개인적인 용도 외의 무단전재를 금합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 블루아카 저작권 침해로 스팀서 삭제된 게임 "우린 억울해"
- 팰월드 저격 실패, 닌텐도 ‘몬스터 포획’ 특허권 기각
- 단간론파 느낌, 마법소녀의 마녀재판 제작진 신작 공개
- [겜ㅊㅊ] 스팀 공포 축제, 반값 이하로 즐기는 ‘압긍’ 5선
- GTA 느낌, 저스트 코즈 개발자의 오픈월드 신작 공개
- [오늘의 스팀] 최대 8인 멀티, 방 탈출 시뮬레이터 2 극찬
- 연말연시 목표, 테라리아에 공식 한국어 자막이 추가된다
- 플레이어언노운 신작 ‘고 웨이백’, 11월 20일 출시
- [기자수첩] 엔씨소프트의 ‘내로남불’ 저작권 인식
- ‘쌀먹세’ 생기나? 국세청 아이템 거래 업종코드 신설한다
게임일정
2025년
11월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