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82개의 특집기사가 있습니다.
  • 마린은 1레벨에 정글러와 함께 미드 라인 습격을 시도하기 위해 ‘그림자 돌진(E)’을 우선 배웠다. 그리고 이후로는 아군 정글러와 함께 중립 몬스터를 처치하기 위해 ‘날카로운 검(Q) -> 닌자 방어술(W) -> 닌자 방어술(W) 2레벨’ 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이후로는 한타 싸움에서 최전방 탱커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 ‘단결된 의지(R) -> 날카로운 검(Q) -> 그림자 돌진(E)) -> 닌자 방어술(W)’ 순으로 기술을 마스터했다.
    2014.08.16 21:09
  • 루키는 초반 라인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강철 폭풍(Q) -> 질풍검(E) -> 바람 장막(W)’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그리고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적 카사딘에게 ‘질풍검(E)’과 ‘강철 폭풍(Q)’을 사용해 견제를 했다. 또한, 루키는 주 공격 기술인 ‘강철 폭풍(Q)’과 ‘질풍검(E)’을 최우선으로 배웠으며 그 다음으로 ‘바람 장막(W)’을 마스터했다. 단, 궁극 기술인 ‘최후의 숨결(R)’은 6, 11, 16레벨에 바로 배웠다.
    2014.08.16 21:09
  • 카카오는 원활한 정글 사냥을 위해 ‘사냥꾼의 마체테’와 ‘체력 물약’ 4개를 시작 아이템으로 선택했다. 장신구는 ‘토템 와드’를 구매해 사용하다가 중반부에 되팔고 ‘탐지용 렌즈’로 바꿨다. 또한, 골드에 여유가 있을 때마다 ‘투명 와드’와 ‘투명 감지 와드’를 꾸준히 구매해 아군 라이너들의 부족한 와드 설치를 도왔다. 코어 아이템은 ‘리글의 랜턴’과 ‘몰락한 왕의 검’을 최우선으로 조합했으며, 그 다음으로 탱킹 아이템인 ‘밴시의 장막, 란두인의 예언’ 등을 추가해 생존력을 강화했다. 신발은 적에 군중 제어 기술이 많은 점을 고려해 ‘헤르메스의 발걸음’을 선택했다.
    2014.08.16 21:09
  • 루키는 마나가 증가하면 주문 공격력이 증가하는 라이즈의 특성을 생각해 ‘사파이어 수정’과 ‘체력 물약’ 3개를 시작 아이템으로 선택했다. 장신구는 ‘토템 와드’를 구매해 사용하다가 첫 마을 귀환에 되팔고 ‘탐지용 렌즈’로 바꿨다. 또한, 빠른 타이밍에 ‘대천사의 포옹’을 완성하기 위해 ‘여신의 눈물’을 먼저 맞추고 마나 스택이 쌓이는 동안 ‘영겁의 지팡이’를 조합했다. 이후로는 공격보단 생존력을 높이기 위해 ‘밴시의 장막, 얼어붙은 심장’ 등을 추가했으며, 최종 아이템으로 ‘공허의 지팡이’를 추가해 부족한 마법 관통력을 보충했다. 신발은 적에 주문 공격을 하는 챔피언이 많은 점을 고려해 ‘헤르메스의 발걸음’을 선택했다.
    2014.08.16 21:08
  • 카카오는 빠르게 3레벨을 달성한 이후 라인에 습격을 다니기 위해 ‘공포 감지(Q) -> 공허의 가시(W) -> 도약(E)’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그리고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습격을 시도해 아군 라이너들의 성장을 도왔다. 또한, 카카오는 일반적으로 카직스들이 먼저 마스터하는 ‘공포 감지(Q)’ 대신 ‘공허의 가시(W)’를 먼저 배우는 독특한 스킬트리를 선택했다. 단, 궁극 기술인 ‘공허의 습격(R)’은 6, 11, 16레벨에 바로 배웠다. 카직스만의 독특한 시스템인 ‘진화’는 ‘도약(E) -> 공허의 가시(W) -> 공포 감지(Q)‘순으로 수행했다.
    2014.08.16 21:08
  • 하트는 근접 공격은 아니라서 미니언에게 추가 피해 발동은 안되지만 초반 골드를 수급하는데 가장 좋은 ‘고대유물 방패’와 ‘체력 물약’을 시작 아이템으로 선택했다. 장신구는 ‘토템 와드’를 구매해 사용하다가 첫 마을 귀환에 되팔고 ‘탐지용 렌즈’로 바꿨다. 또한, 이후로 ‘투명 와드’와 ‘투명 감지 와드’를 ‘시야석’을 조합하기 전까지 꾸준히 한 개씩 구매했다. 초반 라인전에서 적 정글러의 2레벨 습격에 당한 하트는 빠른 라인 합류와 아군 정글러의 습격 호응에 잘 맞춰주기 위해 ‘기동력의 장화’를 최우선으로 조합했으며, 그 다음으로 ‘타곤산의 보호’를 추가해 골드 수급을 올렸다. 그리고 코어 아이템을 5개까지만 맞추고 꾸준히 '투명 감지 와드'를 2개씩 구매해 아군의 맵 시야 장악에 힘을 쏟았다.
    2014.08.16 21:08
  • 데프트는 초반 라인전을 수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3레벨까지 ‘오염(E) -> 매복(Q) -> 독약 병(W)’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기술 마스터 순서는 주 공격 기술인 ‘오염(E)’을 우선 배웠고, 은신 지속 시간과 공격 속도 증가를 위해 ‘매복(Q)’을 그 다음으로 올렸다. 단, 궁극 기술인 ‘파바바박(R)’은 6, 11, 16레벨에 바로 배웠다.
    2014.08.16 21:08
  • 스피릿은 정글러에게 필수인 ‘사냥꾼의 마체테’와 ‘체력 물약’ 4개를 시작 아이템으로 선택했다. 장신구는 ‘토템 와드’를 구매해 사용하다가 중반부터 되팔고 ‘탐지용 렌즈’로 바꿨다. 첫 코어 아이템으론 ‘도마뱀 장로의 영혼’을 최우선으로 맞췄고, 이후로는 ‘밴시의 장막, 란두인의 예언’ 등 탱킹 아이템을 맞춰 생존력을 높였다. 단, 중간에 시야석을 하나 구매해 부족한 아군 라이너들의 와드 설치를 도왔다. 또한, 스피릿은 적에 군중 제어 기술이 많은 점을 고려해 신발을 ‘헤르메스의 발걸음’을 맞췄다.
    2014.08.16 21:04
  • 한국 시각으로 16일 토요일 오후 11시, 퀸즈 파크 레인저스(이하 QPR)와 헐시티의 14-15시즌 프리미어리그 1라운드 경기가 QPR의 홈구장에서 진행된다.지난 시즌을 2부 리그에서 보낸 QPR이 프리미어리그로 복귀했다. 해리 레드냅 감독의 지휘 아래 이번에는 강등권에서 벗어나 중위권으로 도약하겠다는 각오다.
    2014.08.16 20:39
  • 한국 시각으로 8월 17일(일) 오후 9시 30분, 리버풀 FC와 사우스햄튼 FC의 프리미어리그 1라운드 경기가 리버풀의 홈 구장 '안 필드'에서 열린다. 여름 이적시장이 열리고 수 많은 선수들의 새로운 둥지가 정해지면서 다양한 이슈들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각 빅클럽들은 전력 보강을 위해 새로운 선수들을 스쿼드에 추가하기도, 지난 시즌 활약을 펼친 선수들을 다른 팀으로 아쉽게 떠나 보내기도했다.
    2014.08.16 19:41
  • 한국 시각으로 8월 16일(토) 오후 8시 45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스완지 시티의 14-15시즌 프리미어리그 1라운드 경기가 영국 맨체스터에 위치한 올드 트래포드에서 진행된다.
    2014.08.16 18:59
  • 8월 16일,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 특설무대에서 롤챔스 2014 서머 결승전이 열린다. 롤챔스 결승전이 부산에서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대로 이번 결승전은 전석 유료좌석제로 운영되며, 이를 대비해 티켓 사전 판매도 이뤄졌다. 팬들은 경기가 시작되기 4시간 전인 오후 3시부터 현장에 방문했다. 특히 경기장 주변에 게임 속에 등장하는 챔피언들로 분한 코스튬 플레이어가 곳곳에 자리해 팬들의 눈을 즐겁게 했다.
    2014.08.16 18:28
  • 한국 시각으로 오는 16일 토요일 오후 11시, 웨스트햄과 토트넘의 14-15시즌 프리미어리그 1라운드 경기가 진행된다. 토트넘은 이날 경기를 시작으로 2015년 챔피언스리그 진출권 획득과 프리미어리그 우승을 목표로 달릴 전망이다.
    2014.08.16 17:57
  • 롤챔스 결승전의 명물 중 하나는 챔피언들의 코스프레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에도 다양한 코스튬 플레이어들이 현장을 방문해, 팬들의 눈을 즐겁게 했다. 특히, '다이아나'를 준비한 코스어(코스튬 플레이를 하는 사람)는 한 달 전부터 의상을 준비했다고 밝혀 눈길을 모았다. 게임메카는 롤챔스 결승전이 열리는 해운대 해수욕장 특설무대 현장을 카메라에 담았다.
    2014.08.16 17:34
  • 김종부를 위한, 김종부가 마무리한 결승전이었다. 이 날 Come on의 김종부는 0:2로 밀린 상황에서 마지막 주자로 출전, Visual의 모든 선수를 잡아내며 경기를 매조졌다. '역올킬'과 '우승'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은 김종부는 오늘 경기를 통해 피파온라인3 최고수 자리에 이름을 올렸다.
    2014.08.16 17:26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