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7,007개의 뉴스가 있습니다.
-
지난 지스타 2023 넷마블 부스는 이세계아이돌 '주르르'의 시연으로 한 차례 엄청난 인파를 몰고온 적 있다. 경찰이 필요할 정도의 인파로 문전성시를 이뤘는데, 올해도 다시 한 번 이세계아이돌의 등장으로 뜨거운 열기를 몰고 왔다. 특히 이번 시연에는 릴파의 색다른 모습을 만나볼 수 있게 돼 많은 유저들이 엄청난 호응을 남겼다고. 과연 릴파가 어떤 모습으로 팬들과 만났기에 이런 호응을 받았을까? 이세계아이돌 릴파의 몬길: 스타 다이브 시연 현장을 사진에 담아보았다2024.11.14 20:17
-
SOOP이 2024 지스타에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술과 제품을 공개했다. SOOP 서수길 CBO와 연구개발 팀의 주도로 발표된 이번 기술은 스트리머와 유저 각각을 위한 맞춤형 AI 솔루션으로 ‘싸비’와 ‘수피’다. 이번 개발에는 아이덴티파이와 주식회사 카이가 함께했다. SOOP의 ‘싸비’는 스트리머 활동을 분석해 방송 중 잠시 자리를 비워도 AI가 영상을 생성해 유저들에게 끊김 없는 재미를 제공하는 솔루션이다2024.11.14 19:13
-
넥슨이 지난 14일 지스타 2024에서 다큐멘터리 '온 더 라인(On The Line)'을 공개했다. 온 더 라인은 넥슨이 자체 제작한 다큐멘터리 3부작 중 두 번째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지난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공개했던 '세이브 더 게임'에 이어, 국내 온라인게임 산업의 성장 과정을 조명했다. 영상 내에는 '바람의 나라'부터 '큐플레이' 등 그 간 넥슨의 다양한 게임부터, '군주', '리니지'까지 온라인게임 시장 태동기를 주름 잡았던 여러 작품들이 등장한다2024.11.14 19:08
-
14일 시작된 지스타는 여러 신작들이 모습을 드러내며 큰 관심을 받았다. 이 중 단연 높은 인기를 모은 시연작을 고르라고 한다면 단연 펄어비스의 붉은사막을 빼놓을 수가 없다. 오랜 시간 트레일러나 플레이 영상만으로 국내외 유저들의 갈증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그나마 지난 8월 게임스컴을 통해 최초로 데모를 공개하며 시연 부스를 열었지만, 국내 유저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 상 국내 유저들의 기다림은 더욱 커져만 갔다2024.11.14 17:25
-
하이브IM은 지스타 2024에 MMORPG '아키텍트: 랜드 오브 엑자일'을 중심으로 출전했다. 아키텍트는 판타지 세계관에 기반해 '거인의 탑' 유물을 손에 넣기 위해 버려진 땅으로 향한 모험가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또한 전통적인 중세 판타지가 아니라 아포칼립스로부터 오랜 시간이 흘렀다는 독특한 스토리를 차용했다. 이런 인게임 요소가 반영된 하이브IM 아키텍트 부스는 거인의 탑 등 인게임 기물과 서양 판타지 소품이 활용됐다2024.11.14 17:11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은 콘솔게임으로의 던전앤파이터 IP 확장을 알리는 첫 작품인 만큼 중요한 위치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소울라이크가 떠오르는 하드코어 액션 RPG를 내세웠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지만, 지난 유저 테스트와 각종 오프라인 행사에서 직접 게임을 플레이한 일부 유저는 어려운 난이도에 대한 진입장벽을 호소하기도 했다.2024.11.14 17:09
-
'아키텍트: 랜드 오브 엑자일' 개발사 아쿠아트리는 과거 넷마블 네오에서 '리니지2 레볼루션', '제2의 나라' 등을 개발한 박범진 대표가 이끄는 개발사다. 아키텍트는 아포칼립스 이후를 다룬 판타지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신작 MMORPG로, 지난 8월 '프로젝트A'라는 타이틀명으로 하이브IM과 투자유치 및 퍼블리싱 계약을 맺었다. 그런 아쿠아트리와 하이브IM은 2024 지스타에 아키텍트를 출품했다2024.11.14 16:54
-
오버킬은 시연 버전을 통해 공개한 키보드 중심의 PC 버전 외에도 모바일로도 제작 중이며, 게임패드도 지원할 계획이다. 3D로 액션의 범위만 넓어진 것이 아니라 여러 기종을 대상으로 한 크로스플레이라는 측면도 고려 중이다. 따라서 키보드, 가상패드, 실제 게임패드까지, 3가지 조작 체계에서 부드럽게 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2024.11.14 16:48
-
올해 게임대상을 수상하며 사기를 한껏 끌어올린 넷마블. 게임대상 수상 소감은 권영식 대표가 발표했지만, 이후 방준혁 의장이 무대에 올라 임직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기도 했다. 그런 방준혁 의장이 지스타 첫 날인 14일, 현장을 찾았다. 방준혁 의장은 기자들과 짧은 Q&A를 통해 지스타 출전과 게임대상 수상 소감을 밝히고, 현재와 미래 게임업계 트렌드, 그리고 넷마블의 방향성 등에 대해 답했다2024.11.14 15:03
-
크래프톤은 2024 지스타에 다양한 신작과 함께 찾아왔다. 생활 시뮬레이션 기대작 '인조이'와 '딩컴 투게더', 5 대 5 '프로젝트 아크'를 부스에서 직접 시연할 수 있으며, 크래프톤이 인수한 '하이파이 러시'를 시연할 수 있는 장소도 마련됐다. 특히 딩컴 투게더와 인조이는 준수한 신작이 드문 생활 시뮬레이션 장르에 새 바람을 불어올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많은 게이머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2024.11.14 14:26
-
14일 개막한 지스타 2024가 벌써부터 활기차다. 이번 지스타에서는 다양한 게임사들의 신작을 선보이며 관심을 받았는데, 웹젠 또한 신작 '드래곤소드'와 '테르비스'를 유저들에게 선보이며 다채로운 매력을 전하고 있다. 이번 웹젠의 부스는 단정하고 큼직한 하얀색 톤 부스를 세 개 구역으로 구분한 것이 특징이다2024.11.14 14:22
-
라이온하트 스튜디오가 2020년 이후 오랜만에 지스타를 찾았다. 마치 4년이라는 시간동안 칼을 갈았다는 듯 이번 행사에 힘을 줬는데, 시연작 '발할라 서바이벌'부터 프로젝트 S, 프로젝트 Q, 프로젝트 C까지 무려 4가지 신작을 들고 왔다. 그만큼 부스에도 웅장함부터 아기자기함까지 다채로운 볼거리로 가득했다.2024.11.14 14:03
-
넥슨은 올해 지스타 메인 스폰서 자리를 꿰찬 만큼, 행사장 내에서 가장 큰 부스를 마련했다. 특히 퍼스트 버서커: 카잔과 프로젝트: 오버킬 등 던전앤파이터 IP를 활용한 신작부터, 슈퍼바이브와 환세취호전 온라인까지 총 4가지 시연작을 내놓으며 관심을 집중시켰다. 그만큼 행사 첫 날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는데, 보기만 해도 게이머들의 열정이 느껴지는 넥슨 부스 현장을 카메라에 담았다.2024.11.14 14:01
-
스팀에서 극찬받는 추리게임 ‘황금 우상 사건’의 후속작이 나왔다. 신작 ‘더 라이즈 오브 더 골든아이돌(The Rise of the Golden Idol)’이 출시 후 전작의 호평에 이어 ‘매우 긍정적’ 유저 평가를 받고 있다. 더 라이즈 오브 더 골든 아이돌은 고대 레무리아인의 보물인 황금 우상으로 인한 클라우드슬리 가문의 비극 이후 200년 뒤를 다룬다. 1970년대를 배경으로, 우상은 사라졌지만 보물 사냥꾼과 과학자 팀, 컬트 집단과 기업가 등 여러 세력이 여전히 노리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여러 사건을 추리하고 해결해야 된다. 출시 이후 패치로 한국어를 지원한 전작과 달리 이번 작품은 출시일부터 한국어로 플레이할 수 있다2024.11.14 12:41
-
11월 14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지스타 2024가 개최된다. 이번 지스타에 넷마블은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와 '몬길: 스타 다이브' 두 게임을 출품했다. 현장 부스는 가로로 긴 형태이며, 마주 봤을 때 왼쪽에 몬길, 오른쪽이 왕좌의 게임이 자리했다. 각 게임 테마에 맞춰 몬길은 게임 대표 캐릭터인 '미나'가 깜짝 등장하는 홀로그램 전시대와 귀여운 코스프레 모델로 무장했고, 왕좌의 게임은 현장에 거대한 철왕좌를 마련해 직접 앉아볼 수 있도록 했다.2024.11.14 12:38
- [오늘의 스팀] 업데이트 두 번에 나락 간 '레디 오어 낫'
- [오늘의 스팀] 소울라이크 신작 명말 ‘압도적으로 부정적’
- 김용하 PD "미소녀게임 'AI 딸깍'으로는 못 만든다"
- 불쾌한 뒷맛 남긴 소울라이크, 명말: 공허의 깃털
- [겜ㅊㅊ] ‘압긍’인데 덜 유명한, 스팀 속 ‘숨겨진 보석’ 5선
- "서버 내려도 게임 유지하라" 캠페인, 서명 140만 명 돌파
- 사이버펑크 도시에서 전투 없이 살아가는 '니발리스'
- 송하나도 공략 대상, 오버워치 미연시 새 버전 中 출시
- '선생님' 위한 공간, 블루아카 첫 상설 카페 용산에 열린다
- 용녀 키우는 육성시뮬 신작 '드래플린', 유저 한국어 패치
게임일정
2025년
07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