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천상의 목소리의 주인공 과연 실물은?

/ 2

게임(물론 미소녀 게임)을 하다보면 목소리를 연기하는 성우와 게임의 캐릭터를 일치시키는 경우가 많다. 눈을 감고 목소리만 들어본다면 귓가를 울리는 나긋나긋한 목소리는 평소 자신이 꿈꿔왔던 이상형을 떠올리기 마련일 것이다. 그러나! 이상과 실상은 하늘과 땅, 남극과 북국과 같이 엄청난 차이가 있는 법! 지금 이 글이 여러분의 꿈을 깰지언정 나는 이런 현실을 여러분 앞에 고하겠다. 물론 이상과 현실이 일치하는 경우도 있으니 골라서 볼 사람은 알아서 지뢰를 피해가자.

1. 다나카 리에(中田 理惠)
======================
프로덕션: 드라마틱·디파트먼트
출신지: 홋카이도
취미·특기: 영화·음악 감상, 일러스트를 그리는 것
혈액형: B형
=======================

일단 이글을 보는 독자들의 눈길을 끌기위해 목소리와 미모가 일치하는 성우부터 소개하는 것이 글을 읽는 독자나 글을 쓰는 기자나 보기 편할 듯 하다. 그래서 선택한 성우가 바로 다나카 리에.

이 성우는 최근 국내에 알려지기 시작한 성우지만 일본에서는 꽤 유명세를 치루고 있는 사람중 한명이다. 좋은 목소리와 이에 어울리는 미모를 자랑하기도 하지만 그녀가 맡은 작품역시 많은 사람들의 인기를 받았기 때문이다. 우선 다나카 리에가 맡은 작품을 살펴보자. 먼저 게임을 살펴보면 건담시드의 라크스 클라인, 아즈망가 대왕의 요미, 록맨 제로의 시엘 등이지만 애니메이션으로 영역을 확장하면 닷핵사인, 와일드 암즈 등 수많은 작품을 넘나 들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으로는 클램프의 만화를 원작으로한 쵸비츠에 등장하는 여주인공 ‘치이’의 성우로 이름을 알고 있는 사람이 대부분 일 듯.

일단 사진과 주요 등장 작품의 인물을 비교해보자. 자료사진을 본다면 아마 오오!라는 감탄사와 함께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이상과 실상이 동일한 경우이기 때문이겠지만... 이제 실컷 꿈을 꿨으니 현실로 돌아오자.

2. 탄게 사쿠라(丹下櫻)
=====================
프로덕션: 프라임 로즈
출신지 : 아이치현
혈액형 O 형
취미: 작사, 독서, 윈도우쇼핑, 음악감상, 풍경화, 외국의 작은 것들 수집
=====================

국내에서는 대원판 카트캡터 체리(원제: 카드챕터 사쿠라)의 성우로 잘 알려져 있으나 역시 일본에서는 게임계와 애니메이션, 방속쪽에서는 NO.1 성우로 알아주는 프로다. 일단 게임관련으로 탄게 사쿠라의 참여 작품을 살펴보면 먼저 테크모의 ‘데드 오어 얼라이브’를 들 수 있다. DOA 3편에서 성우가 바뀌기는 했지만 게임의 팬이거나 애니메이션의 팬이라면 DOA의 카스미 목소리가 누군지 대충 알아챘을 것이다.

자 이제 탄게 사쿠라의 실제 모습을 공개할 때가 왔다.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인물과 실제 인물 그리고 목소리를 서로 비교해가면서 감상해보자! 눈이 번쩍 뜨일 것이다. 이제 실물을 봤으니 다시 등장 작품을 소개하면서 악몽을 빠져나가보자.


 

먼저 도키메키 메모리얼의 아키호 미노리, 동급생의 스즈키 미호 등으로 지금 생각해보니 전연령부터 성인용 게임까지 모두 섭렵한 몇안되는(?) 인물중 한사람이며 앨범을 4장 발표한 가수이기도 하다. 실제 사진을 봤으니 알겠지만 보는 각도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보이는 몇안되는 사람중 하나.

3. 토마유미(冬馬由美)
====================
프로덕션: 아오니 프로덕션
출신지: 치바현
혈액형: A형
====================

일본 성우계에서도 천의 목소리를 가진 성우로 알아주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보통 성우들이 자기 특징을 살린(외모의 특징이 아니다) 목소리로 고정된 이미지를 가진 캐릭터를 연기하는 반면에 토마유미는 청순한 목소리에서 성숙한 여성의 이미지까지 골고루 소화해낼 수 있는 목소리의 소유자로 게임 및 방송 등에서 다양한 목소리를 들려주고 있다.

이러니 어지간한 팬이 아니고서야 참여한 작품을 소리만 듣고 찾아내기는 여간 힘든 것이 아니다. 일단 토마유미가 참여한 작품중 게임을 중심으로 살펴보자(애니메이션이 포함되어있어도 참기 바란다).

게임에서 목소리를 쉽게 들을 수 있는 것은 바로 DOA로 DOA의 여성캐릭터인 레이팡이 바로 토마유미의 목소리다. 그럼 이제 실제 얼굴과 게임에 등장한 인물의 얼굴을 비교해야 하는 차례가 왔다. 놀라지 마시라!


먼저 미소녀 전략시뮬레이션으로 잘알려진 공화당의 파워돌 시리즈의 야오페이 룬, 일본식 RPG의 틀을 창조한 로도스도 전기의 초 유명 엘프 ‘디도리트’, 사이버포뮬라의 클레어 포트란, 인기 만화(국내에서도 일본에서도) 아아~ 여신님의 ‘울드’ 그리고 이말을 하면 깜작 놀라겠지만 플란더스의 개에서 여주인공인 ‘아로아’로 목소리를 연기한 바 있다. 아참! 철권의 니나와 샤오유도 바로 이사람이다.

4. 이노우에 키쿠코(井上 喜久子)
==========================
프로덕션: 현재 프리랜서
출생지 : 카나가와(神奈川) 현(縣)
혈액형 : O형
취미 : 시 쓰기
특기 : 피아노, 화도(華道), 다도(免許皆傳), 즉흥 음악
==============================

본인의 나이를 17세라고 말하는 애엄마. 우라나라식으로 표현하면 아줌마다. 그러나 이노우에 키쿠코의 인기는 일반 아이돌 스타와는 다른 열기가 보인다.

아마 실제 나이는 34살인가…. 기억이 잘 나지않는다. 일단 이노우에 키쿠코는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본래 꿈이 국어교사(일본이니까 일어교사)로 실제 교사 자격증도 소지하고 있지만 중학교 교생실습에 나가서 이지메 비슷한 것을 당한후 교사의 꿈을 접고 성우가 된 특이 케이스. 하지만 지금 와서는 성우가 되길 잘한 것이라고 하게끔 만드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그 이미지라는 것이 청순가련 또는 완벽한 여성상을 보여주는 캐릭터가 현재 고정되어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아아~ 여신님의 ‘베르단디’, 건담 08소대의 아이나, 테일즈 오브 데스티니의 피리아 등이 있다. 최근 게임에 참여한 작품으로는 길티기어 이그젝스의 ‘이노’가 있다. 하지만 성인용 게임에 등장한 이력도 있으니 바로 동급생 2 윈도우 버전의 나루사와 미사코(주인공 집안의 미망인)로 목소리 연기를 한 적이 있다.

5. 호리에 유이(堀江由衣)
=====================
프로덕션: 아트비전
출신지: 도쿄
혈액형: B형
취미: 독서
=====================

초등학교 2학년때 애니메이션 더티페어의 여주인공을 보고 성우가 되고싶다는 마음을 먹었으며 동경하던 직업을 탐정이라는 이력을 가진 신인급(?) 성우이면서 스타 성우로 거듭난 호리에 유이.

많은 성우들이 게임보다는 에니메이션 등의 TV활동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호리에 유이는 엄청난 숫자의 게임에 성우로 참여했다. 아쉽게도 게임계의 성우로 이름을 알렸으면 했지만 유명해진 계기는 애니메이션 ‘러브히나’의 여주인공인 나루세가와 나루의 목소리를 맡으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 녹음실에서의 모습

물론 게임에서는 12명의 여동생이 나오는 금단의 전연령 미소녀게임 ‘시스터 프린세스’의 사쿠야 목소리로 게이머들의 사랑(?)을 받기도 했으며 성인용 게임이지만 너무나 많은 사랑을 받아 전연령 버전으로 리메이크된 PS2의 카논의 주인공 아유, 투하트의 멀티의 목소리를 맡기도 했다.

그렇다면 실제 모습은 어떠한지 궁금하지 않는가? 사실 글 첫머리에서 이상과 실상은 다르다고 말했지만 앨범까지 취입하는 아이돌급 성우를 보면 나름대로 한 미모 한다고 보면 된다(물론 일본인 기준으로). 그러니 일단 사진을 보자! 그리고 등장한 게임의 캐릭터도 비교해보자.


쭈~욱 살펴보니 이미지가 대충 맞아 떨어지는 기분인가? 그럼 처음에 말했듯이 등장한 게임이 많으니 한번 참여한 작품을 알만한 것들로만 나열해보자.

가장 유명(?)한 것으로는 DOA 3의 히토미를 들 수 있으며 Z.O.E의 셀비스, 그로우랜서 3의 라미(주인공 어깨 위에서 날아다니는 어둠의 요정), 도쿄 마인학원의 미사토, 도키메키 메모리얼 포켓의 나오미, 러브히나의 나루세가와 나루, 시스터 프린세서의 사쿠야, 카논의 아유, 투하트의 멀티... 대충 나열해봤는데도 상당수 나온다. 물론 지금 언급한 게임은 극히 일부분으로 대부분의 게이머들이 무슨 게임일까 하는 매니악한 장르와 고전게임은 제외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