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엇게임즈는 지난 6월 5일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된 ‘2019 우리은행 LoL 챔피언스 코리아(이하 LCK) 서머’의 방송 및 경기 기록들을 30일 공개했다.
2019 LCK 서머는 지난 스프링 스플릿에 이어 2015년 LCK 출범 이래 국내 최고 시청 기록을 또 한 번 경신했다. 결승전과 정규리그의 국내 온라인 최고동시시청자 평균은 각각 51만 3,000여명과 16만 6,000여명으로, 지난 스프링 당시 세워진 2015년 LCK 출범 이후 최고 기록인 46만여명과 15만 9,000여명을 뛰어넘었다.
정규 리그 90경기의 온라인 최고동시시청자 수 평균은 국내 약 16만 6천여명, 해외 약 47만 5천여명으로 국내외를 합치면 약 64만에 달한다. 2019 LCK 서머의 온라인 최고동시시청자 기록은 8월 31일 ‘SK텔레콤 T1’과 ‘그리핀’ 간 치러진 결승전으로, 국내 약 51만 3천여명, 해외 약 240만 7천여명을 합쳐 약 292만을 기록했다.
LCK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중계 플랫폼도 확대됐다. 기존의 SBS 아프리카 TV 채널 및 아프리카TV, 트위치, 네이버, 유튜브, 후야TV(중국), 오픈렉(일본) 등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 외에도, 국내 3대 통신사의 OTT 서비스인 ‘옥수수(SKT)’, ‘e스포츠라이브(KT)’, ‘U+게임Live(LG유플러스)’에서 LCK가 중계됐다.
LCK 경기의 현장 관객 기록도 공개됐다. 라이엇 게임즈가 운영하는 LCK 전용 경기장인 ‘LoL PARK’의 ‘LCK 아레나’ 현장을 찾은 정규 리그 관객 수는 약 3만여 명으로, 한 경기당 약 336명이 현장을 찾았다. 포스트시즌에는 결승전 현장을 방문한 약 3,500명의 관객을 포함해 약 4,700여명의 관객이 현장에서 ‘직관’을 즐겼다.
매진 기록으로는 정규 리그 총 90경기 중 절반 이상인 46경기가 매진됐고, 포스트시즌 4경기도 모두 매진됐다. 또한 현장을 찾은 관객 성별 비중은 정규 리그가 남성 58.5%, 여성 41.5%, 포스트시즌은 남성 62.6%, 여성 37.5%로 나타났다. 현장 관객 연령층은 10~30대가 정규 리그에서 93.8%, 포스트시즌에서 98.9% 이상을 차지하는 등 압도적이었다. 또한 해외 관객 비중은 정규 리그가 3.5%, 포스트시즌이 0.9%로 나타났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메카 취재팀장을 맡고 있습니다jong31@gamemeca.com
- [오늘의 스팀] 몬헌 와일즈, 업데이트 후 평가 ‘바닥’
- 철권 GOAT였던 아슬란 애쉬, 도핑 징계 결과 발표
- [오늘의 스팀] 여름 세일, 90% 이상 특별 할인작 '주목'
- 공부할 때 켜 놓는 게임 '스터디 위드 미' 스팀서 공개
- [매장탐방] 스위치 2 ‘키 카드’ 불호, 생각보다 더 컸다
- 좀비부터 소울라이크까지, 국산 PC·콘솔 기대작 6종
- 최대 95%까지, 스팀 여름 할인 축제 시작
- 재미없는 인터미션 억지로, 마리오 카트 월드 불만 폭발
- 실물 포켓몬 크기 '가디안 봉제인형' 국내 정식 발매된다
- [오늘의 스팀] 한 달 차, 재평가 중인 엘든 링 밤의 통치자
게임일정
2025년
07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