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마족 어비스 입장 퀘스트 공략!

/ 2

글: 게임메카 벤틸러스

어비스 입장 퀘스트는 데바 전직 퀘스트와 동일하게 25레벨이 되면 자동으로 받게되며, 어비스 입장 퀘스트를 완료한 시점부터 어비스의 이용이 가능해 진다. 퀘스트를 받게 되면 가장 먼저 판데모니움의 대신관 발데르를 만나도록 하자.

[관련기사]
▶ 천족 어비스 입장 퀘스트 공략!
▶ 마족 어비스 입장 퀘스트 공략! 
 

  [어비스 입장퀘스트] 1. 마음의 준비

첫 번째 퀘스트인 [25미션]마음의 준비는 발데르와 데르프를 왕복하기만 하면 되는 퀘스트이다. 하지만 데르프가 있는 트리니엘 투기장의 내부는 pvp지역으로 모든 유저들과 적대 관계가 되니 공격받지 않도록 조심하자.

[Tip] 처음 트리니엘 투기장에 방문한 유저들은 이곳의 출입방법이 매우 생소할 것이다. 투기장의 내부에 있는 리데르프를 만나기 위해서는 입구에 있는 NPC 가름에게 말을 걸어 [투기장에 들어간다]를 선택하면 되며, 나올때도 동일한 방법으로 결투의 전당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어비스 입장퀘스트] 2. 어비스에 관한 지식

두 번째 퀘스트는 아이온과 어비스에 대한 상식을 테스트하는 관문으로 지식의 회당에 있는 3명의 NPC들이 내는 퀴즈에 정답을 맞추면 되는 퀘스트이다. 틀려도 계속해서 문제를 풀 수 있으니 크게 부담 가질 필요는 없다.

진행 순서는 세레니티모레이넨쿠샤르→크바시르(완료)
(이름을 클릭하시면 해당 NPC의 문제로 넘어갑니다)

[학자 세레니티]

문제1. 어비스에 관한 시험을 치르러 왔군요. 그럼 간단한 문제부터 한번 내 보겠습니다.
어비스가 발생한 원인을 알고 있습니까? 어떤 사건 때문에 어비스가 생겨났는지 대답해 보십시오.

1. 아이온 탑이 2개로 갈라졌기 때문입니다.
2. 대파국 때 결계에 틈이 생겼기 때문입니다.
3. 용족이 만든 공간입니다.

문제2. 두 번째 문제입니다. 어비스가 아트레이아에 위협이 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데바들이 어비스에서 힘들게 싸우는 원인은 알고 있어야지요. 자, 대답해 보십시오.

1. 아이온 탑의 붕괴가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2. 아트레이아의 오드 에너지가 고갈되기 때문입니다.
3. 어비스의 괴물이 아트레이아에 몰려들기 때문입니다.

문제3. 마지막 문제입니다. 어비스는 워낙 불안정한 곳이라 그곳에서 여러 가지 위험을 맞게 될 수 있습니다. 제가 말하는 위험 중에서 사실이 아닌게 무엇인지 맞혀 보십시오.

1. 키벨리스크가 없는 곳에서 체력이 다하면 완전히 소멸할 위험성이 있다.
2. 어비스를 통해 천계로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3. 어비스에서 방어력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약한 공격을 받아도 체력이 쉽게 떨어진다.

 

[역사 연구자 모레이넨]

문제1. 어비스 출입 자격 때문에 발데르 대신관께서 보낸 모양이군요. 그럼 시험을 봐야지요. 내가 내는 문제는 다른 사람에 비하면 간단합니다. 어비스의 역사에 관한 것이니 생명과 연결된 것도 아니고 말이에요.
어비스를 탐험하고 관문을 세우거나 거점을 마련하느라 노력한 데바들의 노고를 새기자는 의미입니다. 그럼 첫 번째 문제입니다.
어비스가 생겨난 시기는 언제인가요?

1. 용족과 싸우던 천년전쟁 때입니다.
2. 대파국 이후입니다.
3. 1차 천마전쟁 때입니다.

문제2. 어비스에는 많은 요새가 있습니다. 그 요새를 점령하는 것이 어비스에서 세력을 넓히는 방법이죠. 그렇다면 처음으로 진출한 고정 어비스인 에레슈란티의 요새 중에서 우리 마족이 처음 건설한 요새는 어느 것입니까?

1. 테미논 요새라고 답한다.
2. 유황나무 요새라고 답한다.
3. 프리뭄 요새라고 답한다.

문제3. 자. 마지막 문제입니다. 어비스가 천계와 통하고 있다는 걸 알게 된 것은 엄청난 사건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바로 천족의 레기온이 어비스를 통해 마계로 들어왔던 사건이죠. 그때 들어왔던 레기온 이름은 무엇입니까?

1. 델트라스가 지휘하던 폭풍의 레기온 입니다.
2. 트라우프니르 지휘하던 검은 화염 레기온입니다.
3. 네자칸 주신 휘하의 템페르였습니다.

 

[혁명단 연구가 쿠샤르]

문제1. 발데르 대신관께 연락은 받았네. 내가 낼 문제는 어비스의 환경이나 전략에 관한 문제일세. 그럼 시험을 시작하세. 어비스에서 세력 확장을 위해 차지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요새라네. 그럼 요새를 점령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1. 성문을 부수면 된다고 답한다.
2. 결계막 생성자를 처치하면 된다고 답한다.
3. 수호신장을 쓰러트리면 된다고 답한다.

문제2. 두 번째 문제는 전투에서 큰 힘을 실어 줄 수 있는 아티팩트에 관한 것일세. 그럼 내가 말하는 것 중에서 아티팩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

1. 아티팩트는 아이온 탑 안에 들어있던 내부 장치이다.
2. 아티팩트를 지키는 수호자를 처치하면 아티팩트를 점령할 수 있다.
3. 요새를 점령하면 주변의 아티팩트도 함께 점령된다.

문제3. 어비스에서의 비행에 대한 문제라네. 내가 말한 것 중에서 틀린 것을 골라 보게.

1. 어비스 어디에서나 비행할 수 있다.
2. 요새의 결계막에 부딪히면 생명력에 타격을 입는다.
3. 어비스에서는 시간 제한 없이 비행할 수 있다.

문제를 모두 맞춘 뒤 크바시르와 대화하면 다음 퀘스트가 시작할 수 있다.

 

  [어비스 입장퀘스트] 3. 임무 수행할 능력

이번 퀘스트는 크바시르가 제시하는 세 가지 선택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트리니엘 지하 투기장을 깨려면 10분 동안 25렙 몬스터 7마리를 쉬지 않고 계속 잡아야 하며(한 마리를 잡으면 다음 몬스터가 바로 투입되는 방식), 천계로 넘어가는 것은 위험부담이 크기 때문에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첫 번째 선택지를 추천한다.

※자신의 레벨이 25레벨을 훨씬 상회할 정도로 높다면 지하 투기장을 고르는 편이 시간단축으론 좋다.

첫 번째 임무를 선택하면, 모르헤임의 아에기르에게 자신이 잡아야 할 몬스터 3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25레벨이면 혼자서 잡기에 충분한 몬스터들이지만, 선공 몬스터가 많을 경우 파티원을 구해 수행하면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추천 몬스터 처치 순서는 비행이동을 통해 소금사막 감시기지로 이동한 후
 
검은 호수의 정령→먹보 쿠레스→뉴트 정찰꾼 순서로 잡는 것이 좋다.

검은 호수의 정령, 먹보 쿠레스, 뉴트 정찰꾼을 3마리씩 처치하면 아에기르에게 돌아가 퀘스트를 완료한다. 이제 드디어 길었던 입장 퀘스트의 마지막 시험인 비행 훈련만이 남아있다.

 

  [어비스 입장퀘스트] 4. 비행 훈련

모르헤임의 상공에 설치되어 있는 6개의 고리를 제한된 시간 내에 순서대로 통과하는 것이 이번 퀘스트의 목표이다. 하지만 고리의 위치를 잘 숙지하고, 최대한 짧은 동선으로 게이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여러번 실패할 만큼 난이도가 높은 편이니 퀘스트 전 1~2번의 사전 탐사가 필수이다.

[Tip] 비행 훈련 퀘스트에서 만나게 되는 "고리형 구조물"은 어비스에서도 만나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고리를 통과할 경우, 순간적인 비행 속도 향상과 함께 비행 유지시간이 일정량 채워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고리를 잘 이용하느냐 못하느냐가 비행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되어줄 것입니다.

 

 

 

 

 

 

 

비행 훈련 성공적으로 끝낸 뒤 `아에기르`에게 돌아가면 각 직업마다 다른 비행 패시브 스킬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 퀘스트를 완료하는 것으로, 어비스 입장 퀘스트는 모두 끝났습니다. 언제든 이스할겐이나 모르헤임 요새 상공에 있는 어비스 관문을 통해 어비스로 입장할 수 있습니다.

[어비스로 가는 방법]

각 종족의 요새 상공, 또는 지하에 마련된 어비스 관문을 통해서 입장할 수 있습니다. 종족별, 지역별 어비스 관문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천족※
 - 베르테론 요새: 요새 상공
 - 엘테넨 요새: 요새 엘리베이터 아래 지하

※마족※
 - 이스할겐 요새: 요새 상공
 - 모르헤임 요새: 요새 상공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온라인
장르
MMORPG
제작사
엔씨소프트
게임소개
'아이온'은 천족과 마족, 그리고 두 종족을 위협하는 용족간 극한 대릭을 그린 RVR 중심 MMORPG다. 동서양 신화 및 설화를 바탕으로 개발된 1,500여개 이상의 퀘스트와 5,000장 이상의 원화 작업 및 ... 자세히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