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같은 뜻 다른 단어! 아이온 용어 정리

/ 2
우리는 같은 대한민국이라는 땅에 살면서도, 단어와 말투가 다른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우리들은 어린 시절 배운 것처럼, 서로 교류가 없던 지역에서 생기게 된 ‘사투리’라고 합니다. 이런 사투리가 AION에도

[아이온: 영원의 탑> 리포트]

언어는 정치적, 문화적, 지리적인 차이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게 됩니다. 쉽게 말해 `방언(사투리)` 이 생겨나는 것이죠. 분명 서로 같은 언어지만 단어가 바뀌고 억양이 변하면서 처음들어서는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지리적인 차이로 경상도와 전라도가 다르고 정치와 문화적 차이로 우리나라와 북한의 언어가 달라진 이유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죠.

 

현재 아이온에서도 이런 비슷한 현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국내게임을 즐기는 유저와 해외게임을 즐기는 유저가 서로 만나 같은 상황을 보고 서로 다른 말을 하고 있습니다. 공격적인 성향이 강한 직업을 보고 어떤이는 격수로 부르고 어떤이는 딜러라 부르죠. 단순히 한국어냐 영어냐의 차이가 아니라 게임상의 언어는 좀더 부르기 쉽고 정보를 빨리 전달하기 위해 점점 함축적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아이온메카는 그 차이를 좁혀보고자 아이온에 쓰이는 용어를 정리해 봤습니다.

 

▲이건 무슨 상황인고

 

Part.1 직업별 관련 용어

 

가축성

직업 주사위 위주의 파티 플레이를 할 경우, 이것저것 할 것 없이 다 주사위를 돌리는 몰지각한 검성을 일컫는 말. 유저들의 수도 가장 많고 아무거나 먹는다고 별명이 붙여졌다. 동의어는 돼지성

게이

프로게이머 사진에 `머`가 지워진 것을 보고 DC에서 시작된 용어로, 보통 게이머를 뜻한다. 단, 후로게이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넷카마(인터넷에서 여자인 척 하는 유저. 일명 꽃뱀)를 뜻한다.

궁령성

정령성과 궁성을 합친 합성어로, 파티 플레이를 할 경우 두 직업이 무얼 하는지 파악이 불가능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궁징징

자신이 너프됐다고 징징거리는 궁성들을 통틀어 말한다. 타 직업에 비해 징징거리는 글이 올라오는 빈도수가 높아 빈축을 사서 붙은 별명.

귀족

파티플레이를 할 경우 모시기 힘든 직업을 통틀어 말한다. 주로 수호성과 치유성이 들어가고, 서버에 따라 마도성이 들어가기도 한다.

너프

게임상에 스킬을 통한 버프라는 단어에 반대되는 너프. 주로 스킬보다는 패치로 인한 하향을 너프라고 한다. 이번 패치 너프의 희생자는 마도성으로 볼 수 있다.

ː

아이온에서의 살성을 가리킨다. WoW에서 넘어온 용어로 도적의 오타가 그대로 굳혀진 경우.

마왕성

마도성의 마법 대미지가 너무 높아 붙은 별명. 어비스에서 그들에게 뒤를 넘겨준 그대는 죽은 목숨이다.

먼지성

먼지처럼 보이지 않고, 존재감마저 없는 정령성을 부르는 말.

점프성

점프를 통한 모션 캔슬을 하는 직업을 말하지만 보통 궁성을 뜻한다. 점프샷 타이밍이 패치 된 후 궁성은 항상 이렇게 말한다. "리듬액션MMOPRG 아이온이라고..."

좀비성

잘 안죽는 수호성과 치유성을 말하지만, 세분화 하면 치유성 한 명을 뜻한다. 환생 스킬을 통해 죽어도 다시 살아나는 치유성들의 모습은 가히 좀비라고 해도 될만한 모습이다.

중꿔성

중국인들의 캐릭터 대부분이 검성이다 보니 생겨난 또 하나의 별명. 오토를 돌리는 캐릭터들과 말없이 사냥하는 중국인 유저들을 통틀어 말한다. 혹은, 검성을 비하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채집성

채집을 전직으로 하는 직업을 통틀어 말하지만, 이속 증가와 비행 속도 증가가 있는 호법성을 주로 말한다.

천민

파티를 구할 때 돌맹이를 줍 듯 쉽게 구할 수 있는 직업을 통틀어 말한다. 주로 살성과 궁성, 검성을 뜻한다. 검성을 따로 가축성으로 빼는 경우도 있다. WoW에서 흘러나온 용어로, 귀족>평민>천민 순이다.

평민

파티를 구할 때, 천민과 귀족 사이에 껴있는 어정쩡한 직업. 주로 마도성과 호법성이 차지하고 있는 직업군이다. 서버에 따라 살성이 포함되기도 한다. 주로 솔로플레이와 파티플레이 모두 중간을 차지하는 직업군이다.

호구성

호법성을 비하하는 말. PvP시에 타 직업보다 약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

 

Part.2 사냥

 

격수

외국 게임에서의 딜러를 뜻 하는 말. 공격수의 줄임말로 세분화되면 `원거리 격수`와 `근거리 격수`로 나뉜다. 보통 살성, 검성, 마도성, 궁성을 뜻한다.

땡긴다

수호성 스킬에 있는 `포획` 스킬을 사용해달라는 말. 어비스와 던전에서 한 번의 센스있는 포획은 유저들의 환호성을 받기에 충분하다.

딜링

대미지를 준다는 뜻. 급격하게 몰아쳐서 몬스터를 빨리 잡아야 할 경우 사용된다.   ex) 지금부터 딜링 해주세요~

딜러

위의 격수와 동의어. 주로 외국 게임에서 사용되는 단어.

로머, 로밍

한글로 뜻하면 순찰의 개념. 로밍은 순찰을 돌다, 로머는 순찰자를 뜻한다. 게임상에서는 주로 일정 지역을 기본적으로 왔다 갔다 거리는 몬스터를 뜻한다.

매즈

`군중 제어`를 뜻한다. 쉬운 말로 몹이 공격을 못하게 하는 상황을 만드는 것. 정예 몬스터가 많은 인던 플레이 시 적절한 매즈는 파티플레이의 활력이 된다. 마도성의 수면, 속박, 저주: 나무와 정령성의 영혼의 절규, 궁성의 수면 화살, 올가미 덫 등이 포함된다.

주로 급격히 뒤로 빠져야 할 상황에서 쓰이는 용어. 동의어로 `100`, `ㅂㅂ` 등이 있다.

애드

예상치 못하게 몬스터가 파티원들에게 붙는 경우를 `애드됐다`라고 한다. 파티원의 개념을 가장 알아보기 쉬운 조건. 능숙한 파티원은 애드되지 않는 장소로 잘 자리잡는다.

어그로,
어글

몬스터의 위협수준. 몬스터에게 해가 되는 행동을 할 경우 생겨난다. 주로 타격으로 인해 쌓이며, 힐링과 상태이상을 통해서도 쌓이는 편. 보통 힐링으로 인해 쌓이는 어그로 수치가 타격으로 인해 쌓이는 수치보다 높은 편이다.

올주

`모두 주사위`의 약어. 파티 플레이를 할 때 나오는 아이템을 모두 주사위로 돌리는 룰이다. 그렇지만 예의 상, 획득 귀속 아이템은 직업끼리만 주사위를 돌리게 해주고 있다.

운전

파티 플레이를 하는 경우, 파티장이 진행하는 것을 운전이라고 합니다. 몬스터에게 애드되지 않게 파티원을 이끄는 것을 운전을 잘한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입던

던전에 입장한다는 의미. "입던이 뭔가요?" 라고 물어봤다가 창피당하는 일은 없도록 하자.

점샷

점프샷의 줄임말. 점프를 한 타이밍에 잘 맞춰서 스킬을 쓰면 모션없이 나가는 걸 말한다. NC에서도 공식적으로 버그가 아니라고 판단해서 많은 유저들이 사용 중. 특히 모션이 유독 긴 궁성이 애용 중이다.

직주

`직업 별 주사위`의 약어. 각 직업에 맞는 아이템을 주사위를 돌리는 룰. 하지만 직업이 쓸 수 있는 아이템이 많은 경우가 있어 논란이 되고 있는 룰이다.

탱커

수호성 또는 검성을 말하는 말. 파티원의 체력을 책임지는 역할로 주로 앞에 나서서 몬스터의 공격을 몸으로 받아주는 역할이다.

풀, 풀링

뭉쳐있는 몬스터에서 일정 몬스터만 땡겨오는 것을 뜻한다. 흔히, 수호성의 포획을 사용한다.

 

Part.3 사냥터

 

크랄,
투르신
(천족)

천족이 처음으로 계획 잡힌 파티플레이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지역. 투르신 전초기지와 투르신 주둔지를 합쳐서 보통 크랄, 또는 투르신이라고 부른다. 보통 10레벨 중 후반에서 20초반까지 머물게 되는 사냥터이다.

검발
(마족)

천족에 크랄이 있다면, 마족에는 검발이 있다. 검은발톱 주둔지와 검은발톱 부락을 통틀어 검발이라고 부른다. 천족과 마찬가지로 10 중 후반~20초반까지 사용되는 사냥터이다.

카이단
(천족)

카이단 채굴장과 본진이 있는데 주로 카이단 채굴장을 뜻한다. 20레벨 중반에서 후반까지 두루 렙업하는 곳으로 유저들의 파티플레이의 개념을 탄탄하게 심어줄 수 있는 곳이다.

용암
(마족)

타란의 용암동굴을 줄여서 용암이라고 말한다. 20레벨 중반에서 후반까지의 마족 레벨업 코스로, 불신을 가기 전에 기초를 다지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신전,지신
(천족)

에라쿠스 지하신전으로 흔히들 신전, 또는 지신으로 부른다. 불신을 가기 전, 또는 불신을 다녀온 후 레벨업을 위해 방문하는 지역이다. 적정 레벨은 20후반에서 30중반까지.

얼밭
(마족)

적정 레벨 20 후반에서 30중반까지의 사냥터로, 불신을 가기 전에 기초를 다지거나 불신에서 템 파밍이 끝난 유저들이 렙업을 위해 달려드는 곳.

불신
(공통)

불의 신전의 약어. 입장 퀘스트를 통해서 입장할 수 있는 인스턴스 던전으로 마지막 네임드인 크로메데가 주는 유일템으로 인해 인기 사냥터로 등극한 곳. 난이도는 파티원들끼리 호흡만 잘 맞으면 수월한 편이다.

본진
(천족)

카이단 본진의 약어. 30레벨 중 후반이 즐겨 찾는 사냥터로, 여러 악명높은 퀘스트들이 유저들의 발을 놓아주지 않는 사냥터이기도 하다.

 

 시공

시공의 균열의 약어로, 정해진 지역에 랜덤한 시간에 나타난다. 시공의 균열을 통하면 정해진 상대방 지역에 나오게 되며 상대진영을 잡거나 퀘스트를 깰 수 있다.

 

Part.4 아이템

 

공석

공격력 마석의 약어. 공격력을 올려주는 옵션의 마석을 말한다.

녹템

녹색으로 이름이 표시된 아이템. 희귀급 아이템으로 보통 퀘스트나 사냥하다 보면 얻을 수 있는 아이템.

링크

아이템에 `Ctrl+오른쪽 클릭`을 통해서 대화창에 띄우는 방법. 주로 원하는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인던에서 보스를 잡은 후 아이템의 목록을 확인한 후 아이템의 획득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에 사용된다.

마증석

마법력 증폭 마석의 약어. 마도성과 정령성, 그리고 치유성이 자주 사용하는 마석이다. 마법 공격력을 올려준다.

 정탄

봉혼석이라는 무기에 장착해서 대미지를 높여줄 수 있는 아이템. 보통 리니지를 하다 오신 분들께서 정탄이라고 하심. 여유가 된다면 끼고 사냥하는 것도 빠른 레벨업의 도움이 된다.

 치석

물리 치명타 마석의 약어. 지금 아이온에서 가장 인기있는 마석중에 하나라서 자주 사용된다.

 파템

파란색으로 이름이 표시된 아이템. 원래 정식 명칭은 전승 아이템이라고 한다. 퀘스트를 통해서 얻거나 네임드 몬스터에게서 얻을 수 있는 아이템.

 

마치며...


완벽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정리를 해봤습니다. 지금의 아이온은 타게임에서 유입된 많은 인원들 때문에 용어 정리가 힘든 상황입니다. 심지어 타직업을 비하하는 말은 어느새 유저들에게 깊숙히 다가왔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서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목표로 글을 써봤습니다. 글에 대한 평가는 유저분께 맡기겠습니다.


아이온메카 유저기자단_ 노지웅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온라인
장르
MMORPG
제작사
엔씨소프트
게임소개
'아이온'은 천족과 마족, 그리고 두 종족을 위협하는 용족간 극한 대릭을 그린 RVR 중심 MMORPG다. 동서양 신화 및 설화를 바탕으로 개발된 1,500여개 이상의 퀘스트와 5,000장 이상의 원화 작업 및 ... 자세히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