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리그오브레전드에는 매력적인 챔피언들이 110명 이상이 있다. 그리고 이 챔피언들 모두 상황에 따라 아이템과 룬, 마스터리가 다르다. 이 많은 상황 별다른 요소 덕에 신규 유저들이 리그오브레전드에 익숙해지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이런 유저들을 위해 게임메카에서는 어디서나 잘 통하는 챔피언 별 국민 트리를 준비했다.
이번 시간에는 그림자 분신술의 대가 ‘제드’의 공략과 아이템, 스킬 트리를 소개하겠다.

▲ '제드'의 다이아몬드 등급 이상 유저 사이에서 픽률은 23.5%로, 전체 챔피언 중 9위다
※ 주의: 마스터리, 룬, 그리고 시작 및 최종 아이템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그림자 분신술의 대가 ‘제드’

▲ 그림자 분신술의 대가 ‘제드’
제드는 리그오브레전드 한국 서버에서 높은 픽률을 자랑하는 인기 챔피언 중 하나다. 제드는 암살형 챔피언으로 공격 기술 대부분이 좁은 범위의 논타겟팅 이어서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플레이어가 ‘살아있는 그림자(W)’를 얼마나 잘 쓰느냐에 따라 제드의 역량은 천차만별 달라진다.
한타 때 제드의 역할은 적은 체력의 누커형, 딜러형 챔피언을 끊어내는데 주력한다. 대개 미드 솔로로 가며 상대 누커형 챔피언의 성장을 방해하거나 타 라인 로밍을 간다. 간혹 탑 솔로나 정글을 가는 경우도 있는데 현 추세가 탱커형 챔피언이 탑에 오는 경우가 많아 맞싸움에 어려움이 있다. 정글의 경우 몬스터 사냥과 갱킹이 어려워 미드 솔로로 가는 것이 좋다.
‘제드’의 추천 마스터리
제드는 기력 기반의 물리 암살형 챔피언으로 공격21/방어9/보조0을 사용한다.
공격21/방어9/보조0: CS를 먹기 어렵다면 ‘도살자’ 특성을 찍어주는 것이 좋다. CS를 챙기는 것에 자신이 있다면 ‘도살자’ 포인트를 다른 곳에 투자하자. 방어 부분에선 상대가 AD 라면 ‘강건함’, AP 라면 ‘저항력’을 찍는다.

▲ 제드 유저가 많이 사용하는 마스터리. 간혹 빠른 타워 철거를 위해 ‘파괴’ 특성을 찍기도 한다
‘제드’의 추천 룬
제드의 표식엔 공격력을 높일 수 있는 ‘방어구 관통력 룬’을 쓴다. 인장에는 기본적으로 ‘방어 증가 룬’을 사용하는데 제드의 부족한 기력을 위해 ‘기력 재생 룬’을 사용하기도 한다. 정수는 ‘방어구 관통력 룬’을 사용해 방어구 관통력 극대화를, 혹은 ‘공격력 증가 룬’를 적절히 섞어주는 경우도 있다.
※ 주의: 이번 공략에서는 룬 페이지가 여러장 있지 않은 유저들을 위해 어떤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룬을 소개합니다.
룬세팅 | 최종 옵션 수치 | |
표식(빨간색) | 방어구 관통력 룬 9개 | 방어구 관통력 +19 or 방어구 관통력 +12, 공격력 +6.8 방어력 +13 or 5초당 기력 재생 +5.67 마법 저항력 +12.06 |
인장(노란색) | 방어력 증가 룬 9개 or 기력 재생 룬 9개 | |
문양(파란색) | 마법 저항력 증가 룬 9개 | |
정수(보라색) | 방어구 관통력 룬 3개 or 공격력 증가 룬 3개 |
‘제드’의 추천 소환사 주문
제드의 소환사 주문은 ‘점멸’과 ‘점화’를 든다. 점멸은 도주기나 추격기, 어떻게 사용해도 좋다. 점화는 제드가 적을 쓰러뜨리는데 큰 힘을 얹을 수 있다.

▲ 리그오브레전드 다이아몬드 등급 이상 유저들의 제드 소환사 주문 통계
제드 추천 소환사 주문


'제드' 추천 스킬트리
제드는 ‘살아있는 그림자(W)’를 이용해 ‘그림자 베기(E)’와 ‘예리한 표창(Q)’을 적중시키는 것이 관권이다. 그림자 베기(E)는 인근 좁은 범위이지만 살아있는 그림자(W)를 이용해 먼 거리도 공격 가능하다.
초반 싸움의 콤보는 살아있는 그림자(W)의 그림자로 그림자 베기(E)를 적중시킨 후, 그림자와 제드의 예리한 표창(Q)을 모두 맞힌다. 적의 체력이 낮아졌고 쓰러뜨릴 자신이 있다면 바로 살아있는 그림자(W)를 다시 사용해 자리를 바꾸자. 이후에 평타(약자 멸시: 패시브)와 그림자 베기(E), 점화를 사용해주면 필히 쓰러뜨릴 수 있다. 궁극기 ‘죽음의 표식(R)’을 배운 후엔 바로 상대를 노려봐도 좋다.
초반엔 예리한 표창(Q)부터 배워 견제에 힘쓰자. 2레벨에선 살아있는 그림자(W)에 투자해 예리한 표창(Q) 강화와 적 갱킹을 방지하자. 이후엔 그림자 베기(E)를 마스터 하자.
'제드'의 스킬 마스터 우선 순위: R > E > W = Q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드'의 아이템 트리
제드는 딜러이므로 공격력을 올려주는 아이템을 맞춘다. 제드가 가장 강한 타이밍인 초중반에 이득을 최대한 많이 보는 것이 좋다. 시작 아이템은 여러 종류로 나뉜다. ‘롱소드’와 ‘포션’은 공격력을 올릴 수 있고 다음 아이템을 맞추는 것이 편하다. ‘투명 감지 와드’, ‘포션’ 조합은 타 라인 로밍과 적의 ‘와드’를 지워 아군 정글러의 갱킹을 유도하기 좋다. 최근엔 초반에 적 라이너를 쓰러뜨리기 위해 ‘불굴의 영약’과 ‘포션’을 사용하기도 한다. 무엇을 선택하기 어렵다면 ‘롱소드’나 ‘속도의 장화’가 무난하다.
제드의 핵심 아이템은 ‘몰락한 왕의 검’이다. 높은 흡혈율로 라인 유지력을 올리고 사용 효과를 이용해 제드의 킬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롱소드’ 2자루를 마련하고 다음 귀환 때 큰 돈을 마련했다면 ‘빌지워터 해적검’을 만들고 ‘몰락한 왕의 검’ 트리를 타자. 그렇지 못했다면 ‘야만의 몽둥이’부터 만드는 것도 좋다.
‘몰락한 왕의 검’을 완성시킨 뒤, 라인에서 이득을 봤다면 ‘기동력의 장화’를 만들어 로밍을 다니는 것도 좋다. 만약, 적들에게 CC기가 2개 이상이거나 제드의 상황이 어렵다면 장화 업그레이드를 미루고 파밍에 집중하자. 이럴 경우 나중에 ‘헤르메스의 발걸음’을 만들자.
다음으로는 공격력을 적에게 최대한 전해줄 수 있는 ‘야만의 몽둥이’와 ‘최후의 속삭임’을 만들자. 방어구 관통력 아이템을 빨리 맞춰 큰 공격력으로 후반이 오기 전에 이득을 많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상대 AP가 강력하다면 ‘야만의 몽둥이’ 대신 ‘주문포식자’도 좋은 선택이다.
이후로는 한타 발생 시기인데 이 때부터는 적들이 제드를 일점사할 확률이 높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호천사’나 ‘워 모그’로 방어에도 신경 쓰자. 게임의 승기가 아군에게 기울었고 컨트롤에 자신이 있다면 ‘피바라기’를 구매해 공세를 이어가도 좋다.
![]() | or | ![]() | or | ![]() | or | ![]() | ![]() | ![]() | ![]() | ![]() | ![]() | ![]() | or | ![]() | ![]() |
![]() | |||||||||||||||
![]() | ![]() | ![]() | ![]() | ![]() | or | ![]() | ![]() | ![]() | or | ![]() |

▲ 다이아몬드 등급 이상의 유저들이 주로 구매하는 제드의 아이템들
※ 주의: 제드는 미드 라이너이므로 골드가 여유로울 때마다 '시야 와드', '투명 감지 와드'를 구매해 적 정글러가 갱킹을 올 만한 곳에 설치해야 한다.
글: 리그오브레전드 게임메카 (lol@gamemeca.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 '인디게임계의 GTA' 실크송 피해 대거 출시 연기
- 팀 스위니 에픽 대표 “에피드게임즈에 소송 의사 없다”
- ‘품절 대란’ 블루아카 카드, 예약 생산으로 되팔이 막는다
- 생동감 넘치는 거리, 인조이 첫 DLC 스팀서 '매긍' 호평
- [오늘의 스팀] 실크송 대비, 할로우 나이트 역대 최대 동접
- 첫 공식 시즌 맞춰, 패스 오브 엑자일 2 나흘간 무료
- 태양의 여신 아로나, 블루아카 한정판 바이시클 카드
- 돌아온 초토화 봇,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업데이트
- [오늘의 스팀] 동접 4배 증가, 데드록 신규 캐릭터 화제
- [인디言] 스타듀 밸리와 센과 치히로의 만남, 괴물여관
게임일정
2025년
08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