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근접 딜러에게는 숙련이 대세?

/ 2

[와우> 특집기사> 가이드]

여느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와우의 아이템에도 다양한 옵션이 존재합니다. 그 중 레이드 콘텐츠를 주로 즐기는 플레이어라면 필수로 맞추어야 하는 옵션이 존재하는데요 바로 적중도입니다. 레이드의 네임드급 몬스터들은 모두 해골 레벨(플레이어의 레벨 +3)이기에 적중도를 어느 정도 맞추어야 공격을 제대로 맞출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근접 딜러들이라면 적중도만으로 충분한 딜을 뽑아내기가 어렵습니다. 네임드 몬스터들에게도 회피와 막기 확률이 존재하기 때문인데요, 이를 줄이기 위한 옵션인 숙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숙련(Expertise)이란 무엇인가?

숙련은 불타는 성전의 패치였던 2.3.0을 통해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이 옵션의 역할은 대상이 회피하거나 막을 확률을 감소시켜 주는 것이죠. 무기 숙련도와는 다르게 특정 무기의 종류에 한정된 것이 아니기에 근접 관련 옵션 중에서는 최고의 옵션이라 할 수 있습니다.

▲리치왕의 분노 이후에도 최고의 공략속도를 보이는 Ensidia 공대
전사 Kungen의 전투 정보실. 현재 숙련은 42(숙련도 303)입니다.

 

   실제 게임상에서 숙련의 의미는?

1. 탱커의 경우

숙련은 탱커에게 두 가지 이점을 줍니다.

첫째로 위협 수준의 확보가 용이해진다는 점입니다. 대상이 회피하거나 막을 확률을 감소시키기에 더 많은 피해를 입히니 위협 수준 확보에 좋은 것은 당연한 이야기겠죠.

두 번째는 탱커가 받는 총 피해량을 감소시킨다는 점. 대부분의 몬스터는 일정한 속도로 공격을 해오지만 공격을 막고 나면 이와 관계없이 바로 공격을 해옵니다. 막을 확률이 감소한다면 이런 공격을 줄이는 것이니 결과적으로 같은 시간동안 탱커가 받는 총 피해량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보다 중요한 부분으로 몬스터가 탱커의 공격을 막아내고 나면 공격 속도가 초기화되어 바로 공격해온다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몬스터의 공격속도가 2초라면, 몬스터는 2초마다 탱커를 공격해 오지만 공격을 막고 나면 자신의 공격속도와는 관계없이 즉시 공격을 해온다는 것이죠. 몬스터가 공격을 막아내고 바로 공격해올 확률을 감소시켜서 같은 시간동안 탱커가 받는 총 피해량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죠.
 

2. 근접 딜러

근접 딜러 또한 숙련으로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충분한 숙련이 갖추어졌다면 근접 직업군이 적을 공격할 때 정면에서 공격한다 해도 회피나 막기를 상당히 감소시킨다는 것이죠(물론 대상의 뒤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도적의 몇몇 스킬들에는 효율이 적겠죠).

※잠깐! 딜러들이 네임드의 뒤에서 공격해야 하는 이유는?

꼬리치기를 사용하는 일부 용족형 몬스터와의 전투를 제외한 대부분의 공격대 전투에서 근접 딜러들은 몬스터의 뒤에 서서 공격을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물론 도적이라면 뒤에서만 사용 가능한 스킬이 있다지만 고양술사나 죽음의 기사, 징벌 기사 등은 어디서 스킬을 써도 상관이 없는데 말이죠.

몬스터는 모든 방향으로부터 들어오는 공격에 대해서는 회피할 확률만을 지니고 있지만, 전방 180도에서 들어오는 공격에 대해서는 막을 확률까지 지니게 됩니다. 때문에 옆이나 뒤를 노려서 공격이 막힐 확률을 줄여야 하는 것이죠.


 3. 공격대 네임드전에서의 숙련

네임드 전에서의 회피와 막기 확률은 여전히 논란거리가 되고 있지만 몇몇 전투들을 분석해 본 결과 약 6.5%의 회피율과 12~15%의 막기 확률을 지닌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피율을 6.5%로, 무기 막기 확률을 15%로 가정한다면 플레이어는 26의 숙련(80레벨 기준으로 214의 숙련도)을 갖추었을 때 네임드의 회피율을, 60의 숙련(80레벨 기준으로 492의 숙련도)을 갖추었을 때 막기 확률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이죠.

공격대 네임드 전에서 숙련의 적정도를 정한다면 근접 딜러의 경우 대부분 네임드의 뒤에서 공격하기 때문에 회피 방지를 위한 숙련만 갖추어도 될 것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214의 숙련도를 갖추면 되는것이죠. 하지만 정면에서 네임드를 상대해야 하는 탱커의 경우, 회피와 막기를 모두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더 높은 숙련도를 갖추어야만 할 것입니다.

직업군

필요 숙련(숙련도)

탱커

숙련 60(80레벨 기준 492의 숙련도)

근접 딜러

숙련 26(80레벨 기준 214의 숙련도) 

▲공격대 네임드전에서 필요한 숙련 수치

 

   직업별 숙련 관련 특성

 

▲전사는 방어 특성 8번째 줄에 있는 [활력]으로 2/4/6의 숙련을 얻습니다.

 

▲성기사는 보호 특성 8번째 줄에 있는 [전투 숙련]으로 2/4/6의 숙련을 얻습니다.

 

▲도적은 전투 특성 6번째 줄에 있는 [무기 전문가]로 5/10의 숙련을 얻습니다.

 

▲드루이드는 야성 특성 4째줄에 있는 [원시의 정밀함]으로 5/10의 숙련을 얻습니다.

 

▲죽음의 기사에게는 각 특성마다 숙련을 얻는 특성이 존재합니다. 혈기에서는 [피의 탐닉]
냉기에서는 [툰드라 추적자], 부정에서는 [리븐데어의 분노] 특성으로 각 1/2/3/4/5의 숙련을 얻습니다.

 

   종족별 숙련 관련 종족 특성

 

▲인간은 종족 특성 [도검류 전문화], [둔기류 전문화]를 통해
각 무기를 사용할 때 3씩의 추가 숙련을 얻습니다.

 

▲드워프는 종족 특성 [둔기류 전문화]를 통해 둔기류를 사용할 때 5의 추가 숙련을 얻습니다.

 

▲오크는 종족 특성 [도끼류 전문화]를 통해 도끼류를 사용할 때 5의 추가 숙련을 얻습니다.

 

   회피/막기를 보기 싫다면 숙련을 높여라!

치열한 DPS 경쟁에서 열심히 공격을 가했을 때 대상이 회피한다면 그만큼 속상할 경우도 없습니다. 유난히 자신의 공격에 회피나 막기가 자주 발생한다면 숙련 수치에 관심을 기울여보는 건 어떨까요?

 

: 게임메카 듀벳(rnofjw83@gamemeca.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2004년 11월 23일
플랫폼
온라인
장르
MMORPG
제작사
블리자드
게임소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워크래프트' 세계관을 토대로 개발된 온라인게임이다. '워크래프트 3: 프로즌 쓰론'의 4년이 지난 후를 배경으로 삼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플레이어는 얼라이언스와 호드, 두 진... 자세히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