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WOW)>메카리포트>정보]
 ▲ 그림:
이미지 갤러리_응앙앵
어둠
속을 마음껏 누비고 은신술에 뛰어난 도적은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활동하길 좋아합니다. 상황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끌고 가면서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을 때에만 공격을 감행하는 것이 도적의 특기입니다. 도적은
매우 복잡하지만 재미있는 직업입니다. 도적의 특징과 기술 등을 얼마나
잘 익히느냐에 따라 게임의 성패가 달려 있습니다. 은신 능력이 있는
도적은 많은 피해를 줄 수 있는 근접전 전문 직업으로 다양한 연계 공격을
사용하여 몬스터를 순식간에 처치할 수 있습니다.
※
원하시는 내용의 소재목을 클릭하면 해당 내용이 펼쳐집니다.
인간:
모든 이동 방해 효과와 제어 불가 효과를 제거할 수 있는
`인간의 자생력` 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은신을
감지하는 능력과 평판의 획득 속도가 빠릅니다.
또한 도검 또는 둔기를 착용할 때, 추가로
숙련이 상승하는 종족입니다.
|
드워프:
모든 독, 질병, 출혈 효과를 제거하고 일정 시간 동안 방어도가
증가하는 `석화` 스킬을 가지고 있는 종족입니다.
|
노움:
모든 이동 불가나 이동 속도 감소 효과를 제거할
수 있는 `탈출의 명수` 스킬을 가지고 있는
종족입니다.
|
나이트엘프:
전투 중에서도 은신할 수있는 `그림자 숨기`
스킬(이동 또는 점프시 은신 해제)을 가지고
있으며, 근접 및 원거리 공격에 적중 당할
확률이 2%만큼 감소하는 종족입니다. 또한
캐릭터가 사망하여 유령이 되었을 때, 위습으로
변하며 이동 속도가 증가합니다.
|
|
오크: 일정
시간동안 전투력이 상승하는 `피의 격노`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기절 효과에 걸렸을 때 지속시간이
감소하는 특징을 가진 종족입니다. 또한 (3.2패치
이후) 도끼를 착용하였을 때, 추가로 숙련이
상승합니다.
|
트롤:
일정 시간 동안 공격 속도를 증가시키는 `광폭화`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야수에 대한 공격력이 증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이동
방해 효과에 걸렸을 때 지속 시간이 감소하며,
전투 중에도 생명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
언데드:
현혹과 공포, 수면 효과를 제거하는 `포세이큰의
의지` 스킬과 인간형 또는 언데드의 시체를
통해 생명력을 회복하는 `시체먹기` 스킬을
가지고 있는 종족입니다.
|
블러드
엘프:
주위에 있는 모든 적들을 일정 시간 침묵 시키며, 자신의
기력을 회복시키는 `비전 격류` 스킬을 가지고
있습니다.
|
|
캐릭터를
처음 접속하면 `사악한 일격`과 `절개` 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냥을 해야합니다. `사악한 일격`은 45의 기력을 소모하여
즉시 적에게 추가 피해를 입히면서 1의 연계 점수가 생성됩니다. 그리고
`절개`는 마무리 일격으로 35의 기력을 소모하여 즉시 적에게 모인
연계 점수를 터뜨려 피해를 입히는 스킬입니다. 캐릭터와 같은 레벨의
몬스터를 기준으로 대부분의 경우 `사악한 일격` 2~3회 > `절개`를
사용하면 처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기력과 연계 점수란?
`기력`과
`연계 점수`는 `도적`과 `표범 드루이드` 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시스템입니다. `기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회복되며, 평상시에는 최대 수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도적`의 공격 스킬 대부분이 기력을 소모하며, 어떻게
관리를 해주느냐에 따라 실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도적`의
일부 공격 스킬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공격 스킬이 "연계
점수를 부여하는 스킬"과 "마무리 일격 스킬"로
분류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상에게 "연계 점수를
부여하는 스킬"을 사용하게 되면 일정량의 버블(연계
점수)이 쌓이게 되며, 최대 5개까지 쌓이게 된 버블을
`마무리 일격 스킬`을 사용하여 터뜨리는 것입니다. 물론
버블의 숫자가 많을 수록 효과가 증가합니다.
|
상급
도적 NPC에게 가면 10쿠퍼로 `은신` 스킬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은신`은 이름 그대로 캐릭터를 숨겨주는 스킬로 `도적` 직업을 빛내주는
스킬입니다. 초반에는 이동 속도가 매우 느려지게 되지만, 스킬 레벨이
상승함에 따라 점점 빨라 지게 됩니다.
4레벨이
되면 `기습` 스킬을 배울 수 있습니다. 60의 기력을 소모하며, 강력한
피해를 입히는 스킬이지만, 주장비에 단검을 착용해야 하고, 적의 배후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6레벨이 되면 `사악한 일격`이
한단계 업그레이드 되며, `후려치기` 스킬을 배울 수 있습니다. `후려치기`는
적에게 즉시 피해를 입히고 일정 시간동안 행동 불가상태로
만드는 스킬로 위급한 상황에서 약간의 시간을 벌어 줄 수 있는 좋은
스킬입니다. 8레벨에는 `도적`의 생존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회피`
스킬을 배울 수 있습니다.
|
10레벨이
되면 드디어 특성을 투자할 수 있게 됩니다. `도적`의 특징 중 하나가
"어떠한 특성을 투자하더라도 레벨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다는
것"과 "각 특성 트리마다 독특한 색깔을 가지고 있으며,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 "계정 귀속 아이템의 유무" 등의
이유 때문에 개인마다 다양한 특성을 선택하여 육성하고 있습니다.
※
이후
가이드에서는 "계정 귀속 무기` 등의 아이템이 없는 초보 유저를
기준으로 가장 편하게 레벨 업할 수 있는 방법 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여기서
잠깐, 특성을 투자하는 순서
사악한
일격 연마 > 쌍수 무기 전문화(3포인트)
> 정밀함 > 재빠른 손놀림 > 반격
> 지구력(1포인트) > 공격성 > 폭풍의
칼날 > 지구력(마스터) > 쌍수 무기
전문화(마스터) > 번개같은 반사 신경(1포인트)
> 무기 전문가 > 칼날 비틀기 >
번개같은 반사 신경(1포인트) > 아드레날린
촉진 > 활력 > 번개같은 반사 신경(마스터)
> 전투 능력 > 급습 > 야만적인 전투
> 부당 이득 > 약한 먹잇감(3포인트)
|
먼저
이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재빠른 손놀림`, `번개같은
반사 신경` 특성과 같이 적의 공격에 대한 생존력을 높이는
위주로 투자하였으며, 회피와 무기막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반격`과 `부당 이득` 특성 등에 투자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무기에 대한 선택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백병전`,
`둔기류 전문화`, `도검류 전문화` 특성을 투자하지 않았습니다.
`전투
도적`의 사냥 패턴은 비교적 단순한 편으로 `사악한 일격`과
`절개` 스킬을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그리고 위의 방법과
같이 특성을 투자하였다면 23레벨부터 `반격` 스킬을 사용하게
됩니다.
`반격` 스킬은
적의 공격을 무기로 막아내었을 때 활성화 되며, 10의 기력을
사용하여 일정량의 피해를 입히고, 1의 연계 점수를 부여합니다.
그리고 적의 공격 속도를 감소시키는 디버프를 걸게 되어
생존력이 더욱 강해지게 됩니다. 때문에 활성화 되었을
때마다 사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
|
아웃랜드에
입장할 수 있는 58레벨이 되면 직업 상급자에게 가서 특성 초기화를
한 뒤,
암살 위주의 특성트리로 재설계 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이전의 `전투 도적`을 유지하며, 레벨업을 하여도 편하게 육성할 수
있지만, 특성초기화를 하면서 `암살` 트리를 추천해 드리는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암살 도적`의 중요한 공격 스킬인
`절단`은 50레벨 이후에 사용할 수 있으며, 아웃랜드에
진출해서 초반 퀘스트 몇개를 수행하면 좋은 단검 2개를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51 -13 - 7 의 `상처 감염 독` 위주의 특성 트리
여기서
잠깐, 특성을 투자하는 순서
58
레벨을 기준으로 [암살의 9번째 줄에 있는 `절단` >
전투 계열의 `쌍수 무기 전문화` 마스터 > 잠행
계열의 `가혹한 일격` 3포인트]를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캐릭터의 레벨이 상승하게 되면 [잠행 계열의 `기회 포착`
특성까지 투자 > 전투 계열의 `정밀함` 특성 투자 >
암살 계열의 `절단` 이후 특성 투자 > 전투 계열의 `백병전`
특성 투자] 정도의 순서로 진행하게 됩니다.
|
`암살
도적` 또한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몬스터를 처치하게 됩니다. 캐릭터와
같은 레벨의 몬스터를 기준으로 [비습 또는 매복 >
절단 > 절개]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경우 몬스터를 처치할 수 있습니다.
만약 처치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이미 생명력을 바닥을 헤엄치고 있으므로,
일반 공격으로 마무리하거나
생명력이 조금 많이 남았다면 `절단`을 다시 한번 사용하면 됩니다.
※
독의 선택에 있어서는 주무기에 `순간 효과 독`을 보조무기에 `맹독`을
바르는 방법도 있으나, 위의 특성을 선택하였다면 양쪽 무기에 `상처 감염 독`을 바르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
`속임수 거래`를 사용할 경우 자신의 공격력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지만, 탱커의
어그로를 증가시켜 준다는 부분이 가장 큰 특징이며, 재사용 대기시간이
돌아올 때마다 사용해 주는 것이 공격대의 입장에서는 아주 좋습니다.
그러나
기력을 소모하고, 딜 사이클이 꼬일 수 있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사용하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즉, 장신구가
발동하거나 딜 사이클과 기력에 여유가 생겼을 때마다 사용해
주는것이 가장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측에 있는 매크로는
타겟의 변경 없이 주시대상에게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속임수 거래`를 좀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
#showtooltip /cast
[target=focus] 속임수 거래
|
▲
복사 > 붙여넣기 매크로
|
|
|
주요
공격 스킬 중 하나인 `독살`이 자연 피해를 입혀, `전투 트리`의 주요
공격 스킬인 `절개`보다 피해량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특성을 통하여 `독`의 발동율이 높으며, 특히 `독살` 스킬로 인해
발동 되는 버프 효과로 인하여 `맹독`과 `순간 효과 독`의 발동율이
비약적으로 상승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도적
직업의 아이템 세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절단 트리`는 단검 위주의 특성이기 때문에 주장비와
보조장비 모두 단검을 착용해야 하며, 주장비에는 공격력이 높은 무기를
보조장비에는 공격 속도가 빠른 무기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독의 선택에 있어서는
주무기에 `순간 효과 독`, 보조장비에 `맹독`을 바르는 일명 `주순보맹`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앞서
언급했듯이 절단 특성은 주로 독을 활용한 공격을 합니다. 때문에 이에
알맞은 능력치를 높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의 표를 참고하여 이를
목표로 세팅하면 됩니다.
능력치
|
추천
수치
|
설명
|
적중도
|
315~450
|
세팅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적중도와 숙련도를 맞추는
것 입니다. 적중도는 최소한 스킬(독) 명중률에 해당하는
수치인 315를 맞추고 있어야 하며, 이후에는 치명타 적중률에
맞춰 조절해야 합니다. 참고로 만숙련 상태에서 적중도
450을 맞추면 치명타 확률 약 62.9%까지 커버할 수 있습니다.
|
숙련도
|
214
|
숙련도는
회피 확률에 해당하는 수치인 214를 맞추어야 합니다. 이
이상 높이는 것은 비 효율적이며 최소한 200정도는 유지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
전투력
|
∞
|
전투력은
공격력 자체를 높여주어 고정적인 dps상승을 보장해줍니다.
따라서 말할 것도 없이 높으면 높을 수록 좋습니다.
|
가속도
|
400~700
|
절단
특성은 공격력 자체를 상승시키는 것 보다는 가속도로 인해
빠른 공격을 펼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일반 공격의
횟수에 따라 독 공격의 횟수도 같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가속도는
최소한 400 정도를 맞추는 것이 좋으며, 이후에 전투력과
함께 높여주어야 합니다.
|
치명타
적중도
|
50%
|
사실
치명타 적중도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착용하고 있는
아이템 레벨이 높아질 수록 같이 상승합니다.
|
방어구
관통력
|
↓↓
|
독
위주의 공격을 하는 절단 특성은 방어구 관통력의 효율이
낮습니다. 따라서 이 능력치를 최대한 낮추면서 다른 능력치를
높여주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
보석을
박을 때에는 노란색 홈에는 `딱딱한 자황수정(전투력+20/가속도+10)`을,
그 외의 보석 홈에는 `광채나는 선홍빛 루비(전투력+40)`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적중도나 숙련도가 기준치에 미치지 못한다면,
`가공하지 않은 자황수정(전투력+20/적중도+10)`, `정밀한 자황수정(숙련+10/적중도+10)`과
같은 보석들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여기서
중요한 것은 "`독살`을 몇개의 버블에서 사용하느냐"
입니다. 마무리 일격 스킬들의 특성상 최대한 많은 버블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딜사이클과 효율 등을 생각하였을 때, 무조건
5버블에 사용하는 것 보다는 3~5버블에서 `독살`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
 ▲
51 - 18 -2 예제특성 (가속 상승)
 ▲
51 - 13 -7 예제특성 (기력 회복 능력 증가)
위의
특성은 대부분의 유저가 선택하는 특성으로 예제 입니다. 자신의 스타일과
아이템 세팅 등 여러 상황에 따라 알맞게 조율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예를 들자면 `학살` 특성 대신 `신속한 회복력` 또는 `쾌속`
특성에 투자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
주 문양 >
|
절단의 문양
|
절단에
소모되는 기력이 5만큼 감소합니다.
|
피의
갈망의 문양
|
피의
갈망으로 인한 보너스 피해가 3%만큼 증가합니다.
|
속임수
거래의 문양
|
속임수
거래의 보너스 피해와 위협 이전 효과가 추가로 4초만큼
더 지속됩니다.
|
|
캐릭터
성능을 높여주는 특성을 다수 가지고 있어 `절단 트리`보다 좀더 높은
스펙을 보유하고 있으며, `폭풍의 칼날` 등의 특성기로 광역
DPS가 절단 트리보다 좋습니다. 또한 전투 특성은 물리 피해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방어구 관통력`을 최대치로 높였을 경우 공격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투 트리`의 경우에는 특성에
따라 둔기, 도끼, 도검 등 `절단 트리`에 비해 무기 선택의
폭이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아무 무기를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 장비에는 최대 피해량이 높은 무기를 보조무기에는
공속이 빠른 무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의
선택에서는 암살의 `독 연구` 특성의 유무에 따라 2가지로 나뉩니다.
`독 연구` 특성을 투자할 경우에는 주무기에 `순간 효과 독`을 보조무기에
`맹독`을 바르는 것이 좋으며, 특성을 투자하지 않을 때에는 양쪽 무기에
`상처 감염 독`을 바르거나 주무기에 `상처 감염 독`을 보조 무기에
`맹독`을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
전투
트리의 경우 가속도가 중요하고, 방어구 관통력은 비효율적이던 절단
트리와는 반대로 가속도 보다는 방어구 관통력이 더욱 중요합니다. 아래의
표를 참고하여 아이템을 세팅하시길 바랍니다.
능력치
|
추천
수치
|
설명
|
적중도
|
315~450
|
세팅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적중도와 숙련도를 맞추는
것 입니다. 적중도는 최소한 스킬(독) 명중률에 해당하는
수치인 315를 맞추고 있어야 하며, 이후에는 치명타 적중률에
맞춰 조절해야 합니다. 참고로 만숙련 상태에서 적중도
450을 맞추면 치명타 확률 약 62.9%까지 커버할 수 있습니다.
|
숙련도
|
214
|
숙련도는
회피 확률에 해당하는 수치인 214를 맞추어야 합니다. 이
이상 높이는 것은 비 효율적이며 최소한 200정도는 유지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
방어구
관통력
|
800~1400
|
방어구
관통력은 대상(몬스터 등)의 방어도를 무시하는 옵션으로
물리 공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전투 특성의 경우 대부분의
공격이 물리 피해이므로, 적중과 숙련 이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능력치가 방어구 관통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단, 방어구 관통율 100%가 되는 1400 이상은 불필요합니다.
|
전투력
|
∞
|
전투력은
공격력 자체를 높여주어 고정적인 dps상승을 보장해줍니다.
따라서 말할 것도 없이 높으면 높을 수록 좋습니다.
|
치명타
적중도
|
50%
|
사실
치명타 적중도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착용하고 있는
아이템 레벨이 높아질 수록 같이 상승합니다.
|
보석을
박을 때에는 노란색 홈에는 `딱딱한 자황수정(전투력+20/가속도+10)`을,
그 외의 보석 홈에는 `광채나는 선홍빛 루비(전투력+40)`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적중도나 숙련도가 기준치에 미치지 못한다면,
`가공하지 않은 자황수정(전투력+20/적중도+10)`, `정밀한 자황수정(숙련+10/적중도+10)`과
같은 보석들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전투
특성은 2가지의 딜 사이클이 있습니다. 하나는 `난도질`을 유지하면서
`절개`를 사용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난도질`에 추가로 `파열`까지
유지하면서 `절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물론 후자의 경우 `파열`이
추가映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 플랫폼
-
온라인
- 장르
-
MMORPG
- 제작사
- 블리자드
- 게임소개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워크래프트' 세계관을 토대로 개발된 온라인게임이다. '워크래프트 3: 프로즌 쓰론'의 4년이 지난 후를 배경으로 삼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플레이어는 얼라이언스와 호드, 두 진... 자세히
반평생을 게임과 함께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이제는 즐기는 입장이 아닌, 소식을 전하는 기자가 되었습니다.
보다 빠르고, 유용한 정보를 드리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gc8841@gamemeca.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