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십자군 원형경기장의 첫 네임드, `노스렌드의 야수들` 체험기

/ 1

[와우(WOW)> 메카리포트> 정보]

 

얼마전 공개 테스트 서버에서는 해외에서만 진행되었던 마상시합 던전의 네임드 테스트가 국내에서도 실시되었습니다. 마상시합 던전의 정보는 해외 커뮤니티사이트를 통해 공개되었기에 생소하지는 않겠지만, 직접 체험한 부분과 일부 정보를 정리해서 안내해드리고자 합니다.

 

▲ 5인 던전은 북쪽, 공격대 던전은 동쪽이 입구입니다.

 

 

십자군 원형경기장은 10인/25인 일반모드, 10인/25인 영웅모드의 총 4가지 난이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인 던전인 용사의 시험장과 마찬가지로 `원형경기장`에서 싸우는 방식이며  경기장 주변에는 관중으로 티리온, 제이나, 쓰랄 등이 구경하고 있습니다.

 

▲ 십자군 원형경기장 로딩 화면

 

▲ 야수 조련사와 대화하면 전투가 시작된다.
(테스트를 위해 등장시킨 NPC이므로 본 서버에 업데이트될 때는 사라질지도 모른다.)

 

국내에서 진행 된 마상시합 던전의 테스트 네임드는 `노스렌드의 야수들`이었습니다. 이들과의 전투는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마다 등장하는 야수가 달라집니다. 첫 전투는 `꿰뚫는 자 고르목`, 다음은 `산성아귀`와 `공포비늘`이 함께 등장하며 마지막으로 `얼음울음`이 등장하죠.

 

 

     꿰뚫는 자 고르목

 

첫 관문 `꿰뚫는 자 고르목`(생명력 10인 223만/ 25인 982만)은 10인의 경우 2탱커, 25인은 3탱커가 필요합니다. 고르목은 `꿰뚫기`라는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힐러들의 부담이 클 것이라 생각됩니다.

 

▲ 꿰뚫는 자 고르목의 등장이요!

 

전투 시작 후 20초마다 고르독은 `솟구치는 분노` 버프를 중첩시킵니다. `솟구치는 분노` 버프는 매 중첩마다 자신의 물리 공격력을 15%씩 증가시키죠. 만약 공격대의 DPS가 부족하여 장기전이 된다면 순수 평타로만 10,000~12,000의 피해를 받게 되어 탱커가 버틸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 꿰뚫는 자 고르목 공략 핵심은 안정된 탱커인계이다.

 

 

고르목은 주기적으로 `진동의 발구르기`를 사용합니다. `진동의 발구르기`는 시전방해를 할 수 없으며 `솟구치는 분노` 버프 수에 비례하여 피해가 증가합니다. `솟구치는 분노`로 증가된 평타와 진동의 발구르기, `꿰뚫기` 중첩은 탱커 급사의 주요 원인입니다.

 

 `꿰뚫기` 2중첩이 되면 다음 탱커가 도발을 사용하여 탱킹합니다. 10인에서는 2명의 탱커가 교대로 탱킹하며 25인은 3명의 탱커가 순서를 정하여 고르목을 탱킹해야 안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 전사의 천둥벼락과 같은 모습의 진동의 발구르기

 

 

고르목은 주기적으로 임의의 대상에게 불폭탄을 날립니다. 불폭탄은 바닥에 닿으면 불길이 일어나면서 화염피해를 입힙니다. 공격대원간 거리를 충분히 벌려 불폭탄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불길이 일어나면 빠르게 그 자리를 피해야합니다. 불길의 피해가 상당하므로 조금이라도 늦게 이동하면 `무덤으로 이동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보게되죠.

 

▲ 바닥의 불은 많은 피해를 주므로 빠르게 피해야 한다.

 

 

또한 고르목과의 전투중에 주기적으로 부하 스노볼트가 나타나 탱커를 제외한 임의의 대상에게 달라붙게 됩니다. 부하 스노볼트는 캐스터에게 붙은 경우 주문 시전을 차단 하고, 근접 딜러에게 붙은 경우에는 기절 시키면서 화염 피해를 입힙니다. 이 때 자기자신에게 달라붙은 부하 스노볼트는 공격할 수 없으니 주위 딜러들이 처치해줘야만 합니다.

 

 

※ 주의할 점!!

 

부하 스노볼트를 처치하기 위해 접근하면 주변 다른 대상까지 기절 혹은 주문 시전 방해에 당하므로 거리를 유지하면서 원거리 딜러가 처치해야만 합니다.

  

▲ 부하 스노볼트는 원거리 딜러가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정답이다.

  

 

 

     산성아귀 & 공포비늘

 

공포비늘은 십자군 원형경기장 문을 통해서 등장하고 산성아귀는 땅속에서 솟아납니다. 산성아귀와 공포비늘(생명력 10인 125만/ 25인 502만)과의 전투는 각 네임드가 사용하는 디버프를 이용하여 다른 디버프를 해제하는 톡특한 방식을 보여주며 땅속으로 들어갔다가 재등장했을 때에는 둘의 역할이 바뀝니다.

 

▲ 산성아귀(좌)는 땅에서 솟아오르며 공포비늘(우)은 문을 열고 들어온다.

 

 

2명의 탱커는 산성아귀와 공포비늘이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게 유지하며 탱킹합니다. 산성아귀는 이동하지 않기때문에 그 자리에서 탱킹하고 공포비늘은 낙스라마스의 그라블루스처럼 바닥에 독을 퍼트리므로 지속적인 이동탱킹이 필요합니다.

 

▲ 어디서 많이 본듯한 구름이다. 이동하면서 탱킹해 주자.

 

▲ 공포비늘은 전방의 모든 대상에게 화염피해를 주는 `용암 내뿜기`를 사용한다.

 

공포비늘을 탱킹하는 탱커는 `불타는 담즙`의 최초 디버프 대상이 됩니다. 자신이 `마비 독` 디버프에 걸렸다면 빠르게 공포비늘 탱커에게 달려가 디버프를 해제해야 합니다.  `마비 독`에 걸렸을 때에는 점차 이동 속도가 줄어들다가 결국에는 이동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디버프를 확인하고 바로 이동하는 플레이가 필요합니다.

 

 

이들이 땅속으로 들어갔다가 재등장하면 공포비늘과 산성아귀의 능력이 바뀌게 되어 공포비늘이 제자리에 머물고 산성아귀는 이동하면서 탱킹해줍니다.

 

산성아귀와 공포비늘 중 한 마리를 처치하게 되면 남은 몬스터는 광폭화가 됩니다. 혼자 남아도 땅속으로 숨었다가 재등장하면 능력이 바뀝니다. 이 단계에서는 불타는 담즙을 임의의 대상에게 사용하므로 공격대 전원은 `불타는 담즙`의 디버프 대상자를 반드시 확인해두고 독에 걸렸을 때 접근해서 빠르게 해제해야 합니다.

 

▲ `마비 독` 대상자는 빠르게 `불타는 담즙` 대상자에게로 이동해 디버프를 해제한다.
`마비 독`을 지속시간 내에 해제 하지 못하면 그 자리에서 굳어버린다.

 

 

 

     얼음울음

 

얼음울음(생명력 10인 348만/ 25인 1324만)은 앞의 네임드에 비해 어려운 네임드는 아닙니다. 다만 힐러들의 마나량을 세 차례의 전투에 맞춰 조절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얼음울음과의 전투에서 마나가 부족해지면 안되니까요.

 

▲ 얼음울음은 위풍당당하게 문을 열고 등장한다.

 

 

얼음울음은 호디르의 용사(울두아르 일반 몬스터)의 기술과 비슷한 `얼어붙은 숨결`을 사용합니다. `얼어붙은 숨결`은 임의의 대상에게 사용되는데 전방의 모든 대상을 동결시키고 냉기 피해를 입히는 능력입니다. 동결된 공격대원은 해제가 불가능한 행동 불능상태가 되므로 공격대원 사이에 거리를 벌려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 `얼어붙은 숨결` 범위에 있으면 모두 동결에 당하게 된다.

 

 

얼음울음은 주기적으로 십자군 원형경기장 중앙으로 도약해 공격대원 전원을 벽으로 날려보내고 짧은 시간동안 기절시킵니다. 이 때 "얼음울음이 OOO를 노려보며 큰 소리로 울부짖습니다."라는 멘트와 함께 무작위 대상자 한 명에게 빠르게 돌진하죠.

 

▲ 무작위 대상에게 돌진하여 큰 피해를 입힌다. 대상자의 이름은 경보로 표시된다.

 

 

이 돌진 공격은 매우 강력해서 탱커를 제외한 인원이 맞을경우 대부분 사망합니다. 자신이 돌진 대상이 되었다면 기절이 풀린 직후 바로 옆으로 이동하여 돌진을 피해야만 합니다. 만약 얼음울음이 돌진에 성공하면 몇 초간 격노상태가 되어 공격력과 공격속도가 50%만큼 증가하게 됩니다. (사냥꾼의 평정의 사격 혹은 도적의 정신 마취 독으로 해제 가능합니다.)

 

▲ 얼음울음이 돌진에 성공한다면 `격노`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돌진 공격을 공대원이 맞지 않고 피했다면 얼음울음은 원형경기장 벽을 그대로 들이받고 잠시 기절합니다. 이 때를 놓치지 말고 공격대의 딜을 최대로 올려 처치해야겠죠?

 

▲ 돌진에 실패하여 기절상태가 된 얼음울음. 빠르게 공격하자!

 

 

[관련기사: 십자군 원형경기장 네임드, `노스렌드 야수들` 드랍아이템!]

 

_게임메카 베헤모스(jura@gamemeca.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2004년 11월 23일
플랫폼
온라인
장르
MMORPG
제작사
블리자드
게임소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워크래프트' 세계관을 토대로 개발된 온라인게임이다. '워크래프트 3: 프로즌 쓰론'의 4년이 지난 후를 배경으로 삼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플레이어는 얼라이언스와 호드, 두 진... 자세히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