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게임 시스템에도 `대격변`이 일어난다? 시스템 변경 사항

/ 1

[와우(WOW)> 메카리포트> 기획특집]

 

`블리즈컨 2009`의 오프닝에서 차기 확장팩 `대격변`이 공식 발표된 이후로 여러 정보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그 중 공식 동영상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던 새로운 캐릭터 강화 시스템 `티탄의 길`을 비롯하여 길드 레벨과 업적, 팀 평점 방식으로 운영되는 전장 등 변경사항에 대해 많은 궁금증을 갖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본문에서는 블리즈컨에서 공개된 소식과 해외 블루 포스팅으로 알려진 내용을 정리하여 해당 시스템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티탄의 길과 전문도(Mastery)

  

  티탄의 길

 

 

우선 새로운 캐릭터 능력 강화 방식인 `티탄의 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티탄의 길`은 최고 레벨에 도달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새로운 캐릭터 강화 컨텐츠입니다. 이를 통해 `고대 문양(가칭: Ancient Glyph)`이라 불리우는 새로운 종류의 문양을 획득할 수 있으며 티탄의 뒤를 잇는다는 설정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고대 문양`들은 현존하는 전문기술인 `주문 각인`으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며, 특정 길이 특정 직업에만 특화된 것도 아닙니다.

 

플레이어는 `티탄의 길`제한을 풀고 게임상의 다른 관점을 계속해서 풀어나가게 됩니다. 이렇게 나아가다 보면 자신의 캐릭터에 특수한 문양 소켓 사용 제한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이 원한다면 언제든지 자신의 `길`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대 문양`은 탐사와 티탄 유물을 찾아내는 새로운 보조기술, `고고학`을 통해서 배울 수 있습니다. 각 길은 2~3개의 랭크가 존재하며, 언급했듯이 다른 길을 올리기로 마음먹었다면 그렇게 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공개된 여섯개의 길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부 아만툴의 길
  • 생명의 수호자 이오나의 길
  • 꿈을 역는자 노르간논의 길
  • 창조자 카즈고로스의 길
  • 복수자 아그라마의 길
  • 뇌신 골가네스의 길

 

플레이어는 퀘스트/레이드/PvP/전문 기술 등을 통해 `티탄의 길`중 어떠한 것이라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티탄의 길`선택 후 약 일주일이면 최고 단계에 도달할 수 있으며 하드코어 플레이어라면 더욱 빠르게 최고 단계를 도달할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고대 문양`의 사용도 가능해져서 캐릭터가 엄청난 이득을 얻는 것이 가능합니다.

 

▲블리즈컨에서 공개된 `골가네스의 길`에 부여한 `고대 문양`들
같은 `티탄의 길`이라 해도 다양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지의 품[Earth Embrace](1번째) : 받는 물리 피해량이 4%만큼 감소합니다.

 

전투 단련[Battle Hardened](2번째) : 출혈과 기절 효과의 지속시간 20%만큼 감소합니다.

 

의무병[Medic](3번째) : 응급 치료로 회복되는 생명력이 30%만큼 증가합니다.

 

방어술[Everybody`s Friend](4번째) : 재사용 대기시간 5분. 6초동안 근접한 아군이 받는 피해량을 10%만큼 감소시킵니다.

 

돌파[Breakthorugh](5번째) : 재사용 대기시간 5분. 10초동안 공격력이 10%만큼 증가합니다. 치명타 혹은 주문을 극대화로 적중시킨 이후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새로운 시스템은 최고 레벨(아마도 85레벨)에 도달한 모든 플레이어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종종 `고대 문양`의 새로운 랭크에 도달하는 것도 가능해지는데 해당 캐릭터의 성장에 대한 보상이라고 보면 됩니다. 또한 새로운 컨텐츠 패치를 통해서 신규 `티탄의 길`을 소개해 나갈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전문도(가칭, Mastery)와 특성

 

확장팩에서 아이템에 부여되어 있는 주문력, 전투력, 방어 숙련도 등의 옵션이 사라지고 특성에서는 많은 부분에서 지속 효과(패시브) 능력이 사라진다고 알려졌습니다. 이를 대신할 시스템으로 전문도(가칭, Mastery)가 새로운 옵션으로 추가될 예정인데요,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일까요?

 

이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우선 특성창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블리즈컨에서 공개된 `도적`의 특성창

 

기존의 특성창과 별반 다를게 없어보이지만 하단에 새로운 옵션들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위 스크린샷의 자료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암살(15포인트)

 

근접 공격력 : +10%

 

근접 치명타 : +2%

 

독 피해량 : +5%

전투(51포인트)

 

근접 공격력 : +72%

 

적중도 : +5%

 

방어구 관통력 : +10%

잠행(5포인트)

 

근접 공격력 : +4%

 

근접 가속도 : +1%

 

기력 회복 : +0.5%

 

위 표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각 특성마다 `전문도`로 증가하는 고유의 옵션이 존재하고, 해당 특성에 포인트를 많이 투자할수록 더 많은 옵션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도적같은 경우에는 오직 딜링만을 위한 직업이기 때문에 `근접 공격력`같은 옵션은 공통으로 사용되지만, 하이브리드 직업의 경우에는 다르겠죠?

 

 

▲블리즈컨에서 공개된 `성기사`의 캐릭터창과 특성창, 전문도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신성(0포인트)

 

치유량 : +0%

 

주문 극대화 : +0%

 

극대 치유량 : +0%

보호(13포인트)

 

공격력 : +3%

 

생명력 : +3%

 

막기 총합 : +2%

징벌(58포인트)

 

근접 공격력 : +75%

 

근접 치명타 : +10%

 

능력 쿨다운 : -12%

 

위는 성기사의 특성창과 전문도 표입니다. 뚜렷하게 구분되는 세 가지 특성만큼 전문도로 증가하는 추가 옵션에도 다소 차이가 존재하는군요. 치유를 전담하는 신성 특성에는 주문 치유량 관련 옵션이, 방어를 전담하는 보호 특성에는 생존력과 관련된 옵션이, 근접 공격을 전담하는 징벌 특성에는 높은 DPS를 위한 옵션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이와같이 특성 포인트를 어떻게 투자하느냐에 따라 캐릭터의 플레이 스타일이나 특징이 잘 살아날 듯 합니다. 특성에 관련된 논의도 더욱 활발해지겠죠?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길드 레벨 시스템과 업적

  

 

`길드 경험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충전됩니다. 플레이어가 레벨을 올리거나 네임드 몬스터를 죽일 때, 전문기술 숙련도를 올릴 때, PvP에서 승리했을 때, 평판을 올렸을 때 등 현재 게임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사항들을 통해 `길드 경험치`가 증가합니다.

 

길드 레벨이 오를때 마다 길드 특성 포인트가 하나씩 주어집니다. 이 특성은 모든 길드원에게 적용됩니다. 하루에 길드에서 가장 많은 공헌을 기록한 20명만이 길드에 경험치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몇몇 `길드 특성`은 재료가 필요한 주문들에 재료가 필요없도록 해주거나 획득하는 골드량을 늘려주기도 하며 공격대원을 소환할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 공격대가 전멸했을 때 전원 부활시킬 수도 있습니다! 물론 전투중에는 불가능하지만요. 네임드 몬스터를 처치하고 획득하는 골드의 일정량은 자동으로 길드에 환원됩니다. 길드 특성은 초기화할 수도 있습니다.

 

 

  길드 특성 살짝 엿보기

  

아래는 블리즈컨에서 공개된 길드 특성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플레이어의 특성 창과 유사하게 생겼군요.

 

▲블리즈컨에서 공개된 `길드 특성` 관련창

 

현금 자금[Cash Flow](좌측 상단, 2/3단계) : 몬스터를 처치했을 때 드랍되는 골드량과 플레이어를 처치했을 때 획득하는 명예 점수가 7%만큼 증가합니다.

 

대규모 부활[Mass Resurection](우측 상단) : 시전 시간 10초, 재사용 대기시간 30분. 레이드에서 사망한 모든 플레이어를 20%의 생명력과 20%의 마나를 보유한 상태로 되살립니다. 이 효과로 되살아난 지 30분 이상 지난 대상만 살릴 수 있습니다. 전투중이거나 투기장, 전장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구두쇠[Penny Pincher](좌측 하단, 3/3단계) : 모든 수리비용이 10%만큼 감소합니다

 

모두의 친구[Everybody`s Friend](우측 하단) : 모든 공격대 광역 버프에 소비되는 재료가 필요하지 않게 됩니다.

 

 

길드가 20 레벨까지 도달했다면, 길드 경험치를 길드원들이 이용할 수 있어서 이를 통해 탈것이나 전문기술 도안, 깃발, 물약, 희귀한 재료들과 길드 특성 초기화 등에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누구든지 길드 전문 도안을 익힐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사람이 길드를 떠난다면 해당 도안을 잃게 되며 길드 은행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길드 귀속 아이템 또한 같은 방식으로 길드에 귀속됩니다.

 

 

  길드 업적 카테고리

 

▲업적 창에 새로 생성된 `길드` 카테고리

 

길드는 고유의 업적을 지니고 있으며 기존 업적 중 몇 가지는 길드 업적으로 전환될 예정입니다. 길드 업적중에는 길드원이 전설급 아이템을 만들거나 길드원을 통틀어 모든 전문기술 숙련도를 최대치까지 습득하는 업적 등이 있습니다.

 

 

  길드원의 일거수 일투족을 알 수 있다?

 

 

▲블리즈컨에서 공개된 `길드원 전문기술 확인창(좌측)`과 길드 소식창(우측)

 

`길드 소식란`이 추가되어 길드원이 네임드 몬스터를 처치하거나 아이템을 획득하는 등의 내용들이 이곳에 기록되어 추후 이러한 정보를 살펴볼 수도 있게 됩니다. 이제 모든 길드원의 전문기술을 길드창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그들이 어떤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는지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레이드나 일부 이벤트 등의 상황에선 게임상의 달력을 통해 다른 길드를 초대해서 함께 즐길 수도 있습니다.

  

전장에도 평점이 적용!

 

 

 

지금의 `투기장 평점`과 마찬가지로 `전장 평점`이 도입됩니다.

 

일주일마다 하나씩 `금주의 평점 전장`으로 선정됩니다. 해당 전장에서 승리하게 되면 전장 평점이 증가하며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패배한다 해도 평점을 잃지는 않습니다.

 

▲새로워진 전장 신청창과 추가된 `전장 평점창`을 통해 현재 평점을 알 수 있다

 

위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또한 해당전장이 `금주의 평점 전장`으로 선정되었다 해도, 비평점 전장 버전 또한 입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전쟁노래 협곡의 이름이 두 개 있는 이유는 바로 이때문이죠.

 

`전장 평점창`에서 이제껏 자신이 플레이한 전장에서의 평점은 물론이고 승리한 횟수, 결정타 횟수 등을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새로운 PvP 칭호가 추가됩니다. 평점이 높을수록 더 높은 단계의 칭호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한 번 칭호를 획득했다면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최고 사령관`이나 `대장군`등의 칭호를 다시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_게임메카 장원 기자(듀벳, rnofjw83@gamemeca.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2004년 11월 23일
플랫폼
온라인
장르
MMORPG
제작사
블리자드
게임소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워크래프트' 세계관을 토대로 개발된 온라인게임이다. '워크래프트 3: 프로즌 쓰론'의 4년이 지난 후를 배경으로 삼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플레이어는 얼라이언스와 호드, 두 진... 자세히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