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서브
탱커가 `교수 퓨트리사이드`의 연구 탁자로 돌진하는 것으로 전투가
시작된다. 돌진한 서브 탱커는 `돌연변이 누더기 골렘`으로 변신하고,
메인
탱커는 빠르게 `교수 퓨트리사이드`의 위협수준을 확보하며, 맵의
중앙으로 이동한다.
※
`돌연변이
누더기 골렘`이 생기면 공격대 전체에 1950~2050의 광역 피해가
2초마다 들어가기 때문에 힐러는 공격대원 전체의 생명력을 지속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돌연변이
누더기 골렘 기술 정보 |

|
수액
섭취 |
`점액 웅덩이`를 마셔 수액 에너지를 충전합니다.
`돌연변이 누더기 골렘`은 수액 에너지를 이용하여
`게워낸 수액`과 `돌연변이 베기`를 사용합니다.
|
|
게워낸
수액 |
최대
50미터 이내의 대상에게 수액 에너지를 내뿜어 20초간
이동속도를 50% 감소시키고 매 2초마다 6338~6662의
피해를 입힙니다. 수액 에너지 50을 소비합니다. |
|
돌연변이
베기 |
근접한
대상에게 무기 공격력의 100%만큼 피해를 입히고, 방어력을
4%만큼 감소시킵니다. 최대 5회 중첩됩니다. |
2-1. `돌연변이
누더기 골렘`의 역할은 크게 3가지이다. 첫 째는 바닥에
깔리는 점액 웅덩이에서 수액 섭취를 사용하여
제거하며 수액 에너지를 충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둘 째는
충전된 수액 에너지로 두 종류의 수액괴물에게 게워낸
수액을 사용하여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액 에너지가 여유 있을 때, `교수 퓨트리사이드`에게
돌연변이 베기를 사용하여 방어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2-2. <점액
웅덩이>가 등장하면 골렘 담당자는 <수액 섭취>를 사용하여 재빨리 흡수해준다.
메인 탱커는 `일촉즉발 수액괴물`이 나오는
3시 방향으로 이동하여 미리 진형을 잡아둔다.

3-1.
`일촉즉발 수액 괴물`이 사용하는 스킬은 총 2가지이다.
하나는 일촉즉발 수액 끈끈이로 공격대원 중 무작위로
한 명을 선택하여 이동불가 상태로 만들며, 그 대상의 위치로
이동한다. 다른 하나는 수액 분출로 `일촉즉발
수액 괴물`이 <일촉즉발 수액 끈끈이>의 대상자와
접촉하면 폭발하여 약 7만의 피해를 입힌다. 때문에 1
페이즈 공략에 있어 주의해야 하는 스킬 중 하나이다. 단,
이 스킬은 여러 대상이 피해를 나눠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폭발하기 전에 <일촉즉발 수액 끈끈이> 대상자에게
모이는 것이 관건이다.


3-2. `일촉즉발
수액괴물`이 등장하면 모든 딜러가 화력을 집중하여 빠르게 처치해야
한다. 그리고 `일촉즉발 수액괴물`은
항상 같은 위치에서만 나오니 꼭 기억해두도록 하자. 근접 딜러들
역시 `일촉즉발 수액괴물`을
공격하며, 원거리 딜러와 힐러 모두 `일촉즉발 수액 끈끈이`의 대상에게 뭉쳐 <수액 분출>의
피해를 나누어 받는다.

4-1.
`교수 퓨트리사이드`가 소환하는 두 번째 소환물인 `가스
구름`이다. `일촉즉발
수액괴물` 생성 후 40초 이후 등장하는 `가스 구름`은 해소된
가스과 가스 팽창 스킬로 인하여 `일촉즉발
수액 괴물`보다 더욱 까다로운 상대이다.

4-2. <`가스 구름>이 생성되면 모든 원거리 딜러는
공격을 시작하고, <가스 팽창>의 대상자는 12시 방향으로 이동한다.
단, 근접 딜러의 경우 `가스 구름`이 생성되는 순간부터 공격하면,
근접 딜러에게 <가스 팽창>을 사용하고 바로 <해소된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위험요소를 차단하기 위하여 근접 딜러는 <가스
팽창>의 대상자가 정해지면 그 때부터 <가스 구름>을 공격해야
한다.

4-3.
`가스
구름`은 이동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돌연변이 누더기 골렘` 조종자가
<게워낸
수액>을 사용하여 `가스 구름`의 이동속도를 감소시켜야 한다.

5-1. `가스
구름`을 처치하고 나면 다시 `일촉즉발 수액괴물`이 나오는 곳으로 이동해, 처음과
같이 `일촉즉발 수액괴물`에 대비해야 한다.
※
일부 공격대의 경우 `가스 구름`이 등장하기 전에 최루
가스와 함께 2페이즈가 시작되는데, 대부분의
공격대의 경우 `가스 구름`을 한번 만나고, 두번째 `일촉즉발
수액괴물`이 등장하기 전에 2페이즈가 시작된다.
6.
`교수 퓨트리사이드`의
생명력이 80%이하로 내려가면 <최루 가스>를 사용해서
모든 공격대원과 `일촉즉발 수액괴물`, `가스 구름`을 기절 상태로
만든다. 자신의 실험대에서 도핑(?)한 `교수 퓨트리사이드`에게 2개의
촉수가 생겨나며, 1페이즈에서 사용하던 모든 스킬과 함께
2가지의 스킬이 추가된다.
※
`돌연변이 누더기 골렘` 조종자는 2페이즈로
넘어가기 전에, 생성되어 있는 `점액 웅덩이`를 모두 마셔두는 편이
안전하다.

7.
2페이즈
부터 `교수 퓨트리사이드`는
자신의 발 밑에 숨막히는 가스탄을 사용하는데, 약
2초 후 폭발하여 적중률을 75%만큼
감소시키는 디버프를 남긴다. 특히 탱커의 반응이 늦으면 근접 딜러에게
디버프가 생겨나는데, 이로 인한 딜 로스가 상당하므로 탱커의
반응이 늦더라도 <숨막히는 가스탄>을 발견하면 해당
범위에서 재빨리
벗어나야 한다.

8.
원거리
딜러와 힐러는 2단계의 또 다른 스킬인 유연한 끈적이
스킬에 대비해야 한다. 보통 `탱탱볼`이라 불리는 이 스킬은
목표 대상에 도달했을 때 폭발하며, 그와 근접해 있는 모든 공대원에게
9750~10250의 피해를 입히는 동시에 공격속도를 200% 감소시킨다.
<유연한 끈적이>는 수액 괴물 처럼 생긴 물체(?)가
직선 방향으로 통통 튕기며 이동하므로 조금만 집중하면
손쉽게 피할 수 있다.
9.
수액괴물의
처리와 <유연한 끈적이>, <숨막히는 가스탄>을 피하면서 `교수
퓨트리사이드`를
공격하여 그의 생명력을 35% 이하까지 만들면 그는 다시 한 번 <최루
가스>를 사용하여 방 안의 모두를 기절시키고 3페이즈에 돌입하게
된다.

10.
3페이즈가
시작되면 더 이상 `일촉즉발 수액괴물`과 `가스 구름`을 생성되지
않는데, `돌연변이 누더기 골렘` 역시 사라진다. 때문에
3페이즈에서는 <점액
웅덩이>의 제거가 불가능해지므로, 탱커는 최대한 방의 외곽으로 이동하면서
탱킹해야 한다. `교수 퓨트리사이드`는 2페이즈에서 추가 된
<유연한 끈끈이>와 <숨막히는 가스탄>을 사용한다.
따라서 원거리 딜러와 힐러는 방의 가운데서 `교수 퓨트리사이드`를 공격하며,
<유연한 끈끈이>에 대비하며, 근접 딜러는
<숨막히는 가스탄>을 잘 피하는것이 포인트!
※
퓨트리사이드는
3페이즈에 돌입하면 돌연변이 힘을 사용하여 공격력과
공격속도가 증가한다. 탱커의 피가 급속도로 빠져 힐러가
잠깐 실수하면 급사하는 경우도 있으니 조심하도록하자.
11-1.
`교수 퓨트리사이드`가
탱커에게 거는 돌연변이 역병은 모든 공대원에게 피해를 입힌다.
이 피해량은 중첩될 때 마다 약 2.5배만큼 증가하는데, 디버프가 제거되거나
대상자가 죽게 되면 `교수 퓨트리사이드`의 생명력이 30만 만큼 회복된다.
따라서 디버프를 제거할 수 없으니 빠르게 `교수 퓨트리사이드`를 쓰러트려야
한다는 이야기! 때문에 디버프가 중첩되는 속도를 줄이기 위하여
탱커가 도발 인계를 해야한다. 다음 표를 참고하도록 하자.
25인
|
중첩
|
메인탱커
|
중첩
|
서브탱커
|
중첩
|
서브탱커
|
0
|
탱킹시작
|
0
|
탱킹대기
|
0
|
탱킹대기
|
1
|
탱킹
|
0
|
탱킹대기
|
0
|
탱킹대기
|
2
|
탱킹
|
0
|
도발
|
0
|
탱킹대기
|
2
|
탱킹대기
|
1
|
탱킹
|
0
|
탱킹대기
|
2
|
탱킹대기
|
2
|
탱킹
|
0
|
도발
|
2
|
탱킹대기
|
2
|
탱킹대기
|
1
|
탱킹
|
2
|
도발
|
2
|
탱킹대기
|
2
|
탱킹
|
3
|
탱킹
|
2
|
탱킹대기
|
2
|
탱킹대기
|
4
|
탱킹
|
2
|
도발
|
2
|
탱킹대기
|
4
|
탱킹대기
|
3
|
탱킹
|
2
|
탱킹대기
|
4
|
탱킹대기
|
4
|
탱킹
|
2
|
도발
|
4
|
탱킹대기
|
4
|
탱킹대기
|
3
|
탱킹
|
4
|
도발
|
4
|
탱킹대기
|
4
|
탱킹
|
5
|
탱킹
|
4
|
도발
|
4
|
탱킹대기
|
5
|
탱킹대기
|
5
|
탱킹
|
4
|
도발
|
5
|
탱킹대기
|
5
|
탱킹대기
|
5
|
탱킹
|
전멸
|
11-2.
25인은
경우, 3명의 탱커로 공략하기도 하는데 2-2-2-4-4-4-5-5순서로 돌발한다.
10인처럼 세번째 탱커가 4중첩까지 갈 경우 메인 탱커의 `돌연변이 역병`의 디버프
지속시간이 풀려 퓨트리사이드의 생명력이 30만 증가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