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e스포츠

[스타2/GSL] 박현우, 여왕 러쉬는 처음이라 당황스러웠다!

/ 1

26일, 목동 곰티비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32강 경기에서 스타테일의 박현우가 fOu클랜의 조명환을 상대로 2:0 스코어를 따내며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1세트에서 박현우는 조명환의 특이한 여왕 러쉬를 광전사로 막아내고 역습을 가하며 이겼다. 이어진 2세트 경기에서 공허 포격기 견제 이후, 점멸 추적자로 급습을 가해 승리했다.

Q: 6인의 프로토스 중 한 명이 16강에 올라갔다. 소감이 어떤가?

박현우: 여태까지 스타2를 해오며 경기 전에 가장 걱정을 많이 했던 경기였던 것 같다. 그래서 이 승리가 더욱 값지게 느껴진다.

Q: 왜 그렇게 많이 고민을 했나?

박현우: 상대가 저그에 고철 처리장이라 경기장에 도착하기 직전까지 어떤 빌드를 쓸 지 고민에 휩싸여 있었다.

Q: 하지만 막상 경기를 치뤄보니 1세트에서 상대가 더 많은 고민을 한 것 같지 않나?

박현우: 그렇다. 탐사정 정찰을 했는데, 뭔가 섬뜩했다. 혹시 몰래 부화장인가 했었지만, 확인할 시간이 없어서 심시티로 막고 역러쉬를 가자고 생각했다.

Q: 조명환이 사용한 1세트 전략, 연습 때는 겪어봤는지?

박현우: 처음 봤다. 하지만, 광전사와 심시티를 믿고 막아냈다. 광전사가 여왕과 1대1로 붙으면 이긴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에 걱정되진 않았다.

Q: 만약 상대가 기다렸다가 저글링과 여왕을 동시에 보냈다면 어땠을까?

박현우: 꽤 막기 힘들었을 것 같다.

Q: 2세트에서 보여준 훼이크 플레이, 요즘 프로토스들이 저그를 상대로 자주 하는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나?

박현우: 안홍욱 선수의 지난 경기를 보고 많이 참고했다. 하지만, 일벌레가 내 본진에 추출장을 지어버려서 타이밍이 꼬일 뻔 했다.

Q: 저그의 바퀴 러쉬 타이밍을 버티려고 우주 관문 빌드를 많이 선택하는 추세인데 본인은 어떤가?

박현우: 다른 팀 프로토스들과 친한 편이 아니라서 잘 모르겠다. 하지만 VOD를 보니 그런쪽으로 해법을 찾는 것 같아서 나도 참고하게 됐다.

Q: 추적자로 상대 앞마당에 러쉬를 갔을 때 히드라리스크로 대응해 와서 까다롭지 않던가?

박현우: 연습 때도 히드라리스크를 사용하는 유저를 가끔 만났는데, 아시다시피 히드라리스크의 DPS가 상당하다. 그래도 컨트롤에 집중해서 승리를 따냈다.

Q: 대 저그전 시, 경기를 한 번 꼬아야 하는 점을 힘들게 느끼는 유저도 있고, 그 상황을 즐기는 유저도 있다. 본인은 어느 쪽인가?

박현우: 나는 계속 빌드를 연구하면서 즐기는 것 같다. 그리고 어려울 때 프로토스로 뭔가 보여주면 더 뿌듯함을 느끼기도 하고

Q: 16강은 어느 종족전이 더 좋은가? 다음 상대는 TSL의 박서용(T)이나 정민수(P) 선수다.

박현우: 개인적으로 테란전을 가장 좋아한다. 프로토스전은 피하고 싶다. 상대를 떠나서 동족전 자체가 싫다.

Q: 더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박현우: 김정환, 이형주, 이준, 박경락, 박성준 선수가 연습을 도와줬는데,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우리팀 탁현승 선수와 박성준 선수가 꼭 16강에 올라왔으면 좋겠다.

※`스타2`와 `GSL`에 관한 더 많은 정보는 스타2게임메카(sc2.gamemeca.com)에서 얻을 수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PC
장르
RTS
제작사
블리자드
게임소개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는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정식 후속작으로, 게임에 등장하는 세 종족 중 '테란'의 이야기를 담은 패키지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이후 이야기를 담았... 자세히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