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57개의 특집기사가 있습니다.
  • 이제 쉐도우 월드에서 몬스터나 다른 캐릭터에게 공격을 받아 쓰러져도 부활 후유증에 걸리지 않는다.
    2015.08.20 15:23
  • 길드 챔피언십 시즌3가 9월 5일부터 20일까지 개최된다. 이와 함께 지난 길드 챔피언십 시즌2 보상이 지급되며, 이 기간 동안 획득한 '용맹의 증표'는 9월 3일 초기화된다.
    2015.08.20 15:17
  • 커닝시티 북쪽에 '루디 판타지아'를 비롯한 새로운 지역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페리온 북쪽 개미굴' 안쪽과 '커닝시티' 남서쪽에도 지역이 추가되어 모험의 폭이 넓어졌다.
    2015.08.20 15:07
  • 시즌2의 막바지에도 코어 유저들의 선택은 한결 같았다. 대신 위자드와 어쌔신의 격차가 줄었고, 시프와 헤비거너의 순위가 뒤바뀌어 변화를 보이기도 했다. 8월 첫주 29%였던 위자드는 지난 주 22%, 이번 주 20%로 비율이 감소하고 있으나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어쌔신은 19%로 위자드를 바싹 뒤쫓고 있고, 그 뒤를 버서커가 17%로 잇고 있다.
    2015.08.20 14:20
  • 20일(목), 메이플스토리2 GM 5인방이 선택한 '이색 트로피 도전하기' 이벤트가 시작되었다. 시즌3 업데이트와 함께 진행된 이번 이벤트는 지정된 트로피를 획득하면 추첨을 통해 '나만의 메이플스토리2 PC'를 비롯한 다양한 상품을 지급한다.
    2015.08.20 13:42
  • 새로운 엘리트 및 필드 보스가 등장했다. 엘리트 몬스터는 7마리, 필드 보스는 4마리이며 이름과 레벨은 아래와 같다.
    2015.08.20 12:58
  • 최고 레벨이 50까지 확장되면서 직업별로 신규 스킬이 추가되었고, 기존 스킬 또한 일부 개편되었다. 신규 50레벨 스킬은 아래와 같다.
    2015.08.20 11:59
  • 이번 시즌3 업데이트에서는 신규 50레벨 스킬, 보스, 던전, 지역 추가 뿐만 아니라 탑 디자이너 마을, 타 캐릭터의 이펙트 숨기기, 스타 건축가 기능 등 '만레벨' 유저를 위한 새 콘텐츠와 유저 편의를 신경 쓴 부분이 눈에 띈다. 게임메카는 메이플스토리2 시즌3 업데이트에 대한 모든 정보를 기사 한 편에 담았다. 본문을 통해 확인해보자.
    2015.08.20 11:30
  • 스멥은 아군 정글러와 중립 몬스터를 사냥한 뒤 탑 라인에 올라갔다. 그리고 이 때문에 3레벨까지 ‘부메랑 던지기(Q) -> 슝슝(W) -> 폴짝(E)’순으로 기술을 배웠으며, 탑 라인에 온 이후로 꾸준히 '부메랑 던지기(Q)'와 ‘슝슝(W)’을 활용해 적 챔피언을 견제했다. 기술 마스터 순서도 '부메랑 던지기(Q)'를 먼저 수행했으며, 그 다음으로 '슝슝(W)'을 선택했다. 단, 궁극 기술인 '나르!(R)'는 6, 11, 16레벨에 바로 배웠다.
    2015.08.20 05:47
  • 쿠로는 초반부터 미니언을 손쉽게 처치하기 위해 ‘강철 폭풍(Q) -> 질풍검(E) -> 바람 장막(W)’순서로 기술을 배웠다. 그리고 적을 견제하기 보다는 미니언 처치에 집중해 최대한 골드를 모았다. 기술 마스터는 주 공격 기술인 ‘강철 폭풍(Q)’과 ‘질풍검(E)’을 우선시 했고, ‘바람 장막(W)’을 가장 마지막에 배웠다. 단, 궁극 기술인 ‘최후의 숨결(R)’은 6, 11, 16레벨에 바로 배웠다.
    2015.08.20 05:47
  • 꼬릴라는 1레벨부터 아군 정글러와 라인을 돌아다니며 적 챔피언을 습격했다. 이 때문에 3레벨까지 ‘동상(Q) -> 내가 지킨다(W) -> 불굴(E)’순서로 기술을 배웠다. 그리고 ‘내가 지킨다(W)’를 아군 근접 미니언에게 사용해 적 챔피언에게 근접했고, ‘동상(Q)’과 ‘뇌진탕 펀치(지속기술)’을 활용해 적 챔피언 처치를 노렸다. 기술 마스터 순서는 주 공격 기술인 ‘동상(Q)’을 우선시 했고, 그 다음으로 ‘불굴(E)’을 배웠다. 단, 궁극 기술인 ‘빙하 균열(R)’은 6, 11, 16에 바로 배웠다.
    2015.08.20 05:46
  • 프레이는 라인 스왑의 영향으로 적 챔피언이 라인에 오지 않자 1레벨에 ‘매 날리기(E)’를 배웠고, 적 정글 진영에 기술을 사용해 시야를 확보했다. 그리고 적 탑 라이너가 라인에 합류하자 ‘일제 사격(W) -> 일제 사격(W) 2레벨 -> 표적 추적(Q)’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기술 마스터 순서는 주 공격 기술의 피해량을 높이기 위해 ‘마법의 수정화살(R) > 일제 사격(W) > 표적 추적(Q) > 매 날리기(E)’ 순으로 수행했다.
    2015.08.20 05:46
  • 호진은 정글 사냥에 필수인 ‘사냥꾼의 마체테’와 생명력 회복에 도움이 되는 ‘체력 물약’을 시작 아이템으로 선택했다. 장신구는 ‘토템 와드’를 구매해 사용하다가 중반부터 되팔고 ‘탐지용 렌즈’로 바꿨다. 또한, ‘시야석’을 빠르게 맞춰 아군 라이너들의 부족한 와드 설치를 도왔다. 완성 아이템은 정글 사냥 속도를 높이기 위해 ‘경비대의 길잡이: 잿불거인’을 최우선으로 조합했고, 이후 아군 탑 라이너와 함께 최전방 탱커 역할을 수행하고자 ‘강철의 솔라리 펜던트, 얼어붙은 심장’ 등을 추가했다. 신발은 적에 군중 제어 기술과 주문 공격을 하는 챔피언이 많은 점을 고려해 ‘헤르메스의 발걸음’을 선택했다.
    2015.08.20 05:45
  • 스멥은 아군 정글러와 함께 중립 몬스터를 잡고, 2레벨을 달성한 뒤 탑 라인에 합류했다. 이 때문에 기술 레벨업 순서를 ‘지면 강타(E) -> 지진의 파편(Q) -> 지진의 파편(Q) 2레벨 -> 난폭한 일격(W)’순으로 진행했다. 그리고 적을 견제하기보단 미니언을 처치하는데 기술을 사용했으며, 꾸준히 골드를 모았다. 기술 마스터 순서는 주 공격 기술인 ‘지진의 파편(Q)’과 ‘지면 강타(E)’를 우선시 했으며, 궁극 기술인 ‘멈출 수 없는 힘(R)’은 6, 11, 16레벨에 바로 배웠다.
    2015.08.20 05:38
  • 안녕하세요? 버튼 하나로 우리집을 스마트하게 컨트롤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트리거 에디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 드릴게요! A부터 Z까지 세세히, 자세히 알려드리고 싶지만, 왠지 공부하는 기분 들고..그러다 보면 졸리고 하니까 간단한 예제 따라하면서 트리거 에디터를 배워 보아요.
    2015.08.20 00:34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