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메카 / 제휴처 통합 3,695 View
게임메카 내부 클릭수에 게임메카 뉴스를 송고 받는 제휴처 노출수를 더한 값입니다.

CD 프로젝트 레드가 자사 게임 '사이버펑크 2077'에 3인칭 시점을 추가할 계획이 없음을 다시 한 번 명확히 밝혔다. 게임 출시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플레이어들의 요구에 대한 공식적 입장을 재확인 한 것이다.
최근 사이버펑크 2077에서 진행된 2.3 업데이트에서는 차량 자율주행 기능 추가를 필두로, 델라메인 택시 서비스, 새로운 퀘스트와 차량, 확장된 사진 모드 기능 등이 포함됐다. 2020년 출시된 이후 4년 반이 된 게임이지만, 아직도 활발히 콘텐츠와 기능을 업데이트 하는 모습에 많은 이들이 찬사를 보내고 있다.
이에, 일부 플레이어들은 다시 한 번 3인칭 시점 추가 가능성에 대해 물었다. 이에 대해 CDPR은 사이버펑크 2077 공식 X 계정을 통해 해당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이에 일부 게이머들은 "게임 내내 거의 볼 수 없는데 굳이 커스텀 캐릭터를 자유롭게 만들수 있게 한 이유가 뭐냐", "컷신에서만이라도 선택적으로 3인칭 시점을 제공하여 내러티브를 확장하고 정적인 장면의 지루함을 덜어달라", "3인칭 시점 지원 계획이 없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눈에 보이는 사이버웨어가 필요하다"라며 아쉽다는 반응을 보였다.

사이버펑크 2077은 철저히 1인칭 시점만 지원한다. 3인칭 시점은 유저 모드 등에서만 제한적으로 경험할 수 있으나, 완성도 면에서 다소 떨어진다. 이는 1인칭 게임을 3인칭으로 바꾸는 것이 단순히 카메라 위치를 변경하는 것 이상의 복잡한 조치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1인칭 게임과 3인칭 게임은 제작 방식부터 다르다. 1인칭 게임은 캐릭터의 눈높이에 맞춰 카메라가 설정되므로, 화면에 보이는 부분에만 집중하여 모션을 개발하고 최적화한다. 화면에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션 개발에는 리소스를 거의 할당하지 않는다. 때문에 1인칭 위주로 만들어진 게임들은 모드를 통해 강제로 3인칭 시점으로 전환할 경우, 캐릭터 애니메이션이 부자연스러운 경우가 많다.
반면, 3인칭 게임은 1인칭 게임보다 총기 발사나 재장전, 움직임에 따른 진동 등의 연출이 상대적으로 부실한 경우가 많다. 실제로 레드 데드 리뎀션이나 GTA 시리즈처럼 3인칭이 메인인 게임들은 총을 쏠 때 카메라가 움찔거리거나 재장전 시 위아래로 움직이는 등 연출적인 부분이 사이버펑크 2077에 비해 덜 섬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시점에 따라 추구하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결론적으로, 사이버펑크 2077에서 생동감 있는 3인칭 모드를 구현하는 것은 매우 커다란 개발 공정을 투입해야 하는 대형 작업이다. 별도의 3인칭 전용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이를 위해 인력을 다수 투입해야 한다. 현재 위쳐 4 개발에 총력을 다하고 있고 사이버펑크 2077 후속작 개발도 시작한 CDPR로서는, 이러한 대규모 작업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치 않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메카 취재팀장을 맡고 있습니다jong31@gamemeca.com
- 존 윅 공식 게임, 17일부터 모든 플랫폼에서 판매 중단
- 어쩌다 카드사가 스팀 성인게임을 심의하게 되었나?
- 패스 오브 엑자일 2, 대형 업데이트 8월 말 온다
- 마비노기 모바일 홈페이지에 정체불명 팝업이 띄워졌다
- [오늘의 스팀] 출시 전부터 이목 집중, 명나라 소울라이크
- 부산지하철에서만 한 달 간, 포켓몬 승차권 판매
- 드디어, '사펑' 나이트 시티에 자율주행이 상용화됐다
- 스팀, 하반기 첫 테마 할인 '자동화 게임 축제' 15일 시작
- [오늘의 스팀] 우주로 진출한 림월드, 평가 ‘압긍’
- 카드사 심의 결과? 스팀서 '야겜' 100여개 일괄 삭제
게임일정
2025년
07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