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씨소프트가 리니지W 흥행에 힘입어 작년에 최대 연간 매출을 기록했다.
엔씨소프트는 9일, 자사 2022년 연간 및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우선 연간실적은 매출 2조 5,718억 원, 영업이익 5,590억 원, 당기순이익 4,526억 원이다. 매출은 전년 대비 11% 증가하며 역대 최대를 달성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49%, 14% 늘었다.
이어서 4분기 실적은 매출 5,479억 원, 영업이익 474억 원, 당기순손실 165억 원이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각각 28%, 57%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환율 하락에 따른 외환 관련 영업외손실로 적자를 기록했다.

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게임은 2021년 11월에 출시된 리니지W다. 실제로 리니지W 성과가 일부 반영된 2021년 4분기에 매출 3,576억 원을 기록하며, 리니지M 등 기존작 공백을 메웠고, 작년에도 엔씨소프트 모바일 매출을 견인하는 주축으로 자리했다.
작년 리니지W 연간 매출은 9,708억 원으로, 작년 모바일게임 매출 50.1%를 차지했다. 이어서 리니지M 5,165억 원, 리니지2M 3,915억 원, 블레이드 & 소울 2는 556억 원 순이다. 이를 토대로 엔씨소프트 모바일게임 매출은 전년 대비 20% 증가한 1조 9,343억 원으로,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분기 단위로 보면 리니지W를 포함해 모바일게임 매출이 후반으로 갈수록 감소세를 그렸다는 점은 불안요소로 손꼽힌다.

이어서 PC온라인 게임 매출은 3,904억 원으로, 리니지 1,067억 원, 리니지2 941억 원, 길드워 2 950억 원, 아이온 683억 원, 블레이드앤소울 263억 원 순이다. 길드워 2 매출은 신규 확장팩 출시 효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
연간 매출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한국 1조 6,246억 원, 아시아 6,252억 원, 북미·유럽 1,650억 원이다. 로열티 매출은 1,570억 원이다. 전년 대비 아시아와 북미·유럽 매출이 각각 40%, 44% 증가했고, 해외 및 로열티 매출은 전년 대비 29% 증가하며 역대 최대 성과를 거뒀고, 이 역시 리니지W가 견인했다.
올해 엔씨는 PC·콘솔 신작 쓰론 앤 리버티(TL)를 올해 상반기 중 국내 및 글로벌에 선보인다. 이어서 난투형 대전액션, 수집형 RPG, 퍼즐 등 다양한 장르 신규 IP를 순차적으로 출시해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 블루아카 저작권 침해로 스팀서 삭제된 게임 "우린 억울해"
- 팰월드 저격 실패, 닌텐도 ‘몬스터 포획’ 특허권 기각
- 단간론파 느낌, 마법소녀의 마녀재판 제작진 신작 공개
- [겜ㅊㅊ] 스팀 공포 축제, 반값 이하로 즐기는 ‘압긍’ 5선
- GTA 느낌, 저스트 코즈 개발자의 오픈월드 신작 공개
- [오늘의 스팀] 최대 8인 멀티, 방 탈출 시뮬레이터 2 극찬
- 플레이어언노운 신작 ‘고 웨이백’, 11월 20일 출시
- [기자수첩] 엔씨소프트의 ‘내로남불’ 저작권 인식
- ‘쌀먹세’ 생기나? 국세청 아이템 거래 업종코드 신설한다
- 채널당 수용 인원 1,000명으로, 메이플랜드 2.0 만든다
게임일정
2025년
11월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악마이2023.02.09 10:30
신고삭제영업이익이 개박살이 났던데.
악마이2023.02.09 10:31
신고삭제린저씨 종속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상.. 엔싸에 미래는 없다
악마이2023.02.09 18:54
신고삭제디커플링 모르냐? 축 하나의 변동성이 매출 전체에 영향을 미치겠금 사업을 하는게 맞는거냐? 디자인패턴을 코딩할때만 쓰지 말고 사업할때도 좀 응용해보자 이 자식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