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모바일

웹젠모바일 출사표,"양 보다 질"로 시장 주도하겠다

/ 1

ego_webmo4_20121017.jpg
▲ 웹젠의 대표 타이틀 뮤의 모바일버전 ‘MU the Genesis’

작년 말 웹젠에서 테스크포스로 시작해, 지난 5월 분사한 웹젠모바일이 세 가지 사업 전략을 들고 모바일게임 시장에 진출을 선언했다.

17일. 미디어를 대상으로 오찬회를 갖고 모바일게임 주요 사업 전략과 함께 라인업을 발표한 웹젠모바일 김태훈 대표는 “게임사업에 있어 모바일게임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됐다” 며, “웹젠모바일은 이제 시작하는 단계로 한 두 해 서비스하고 철수하거나 중도포기 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고 모바일게임 사업에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어 “웹젠모바일이 생각하는 사업 방향은 한꺼번에 다수의 게임을 서비스하는 것이 아닌 온라인게임과 함께 유기적으로 결합된 양 보다 질인 고퀄리티의 모바일게임을 내놓은 것이다” 며, “타 업체와의 협력을 넓혀 단기적인 성과들을 마련하고, 유망 IP를 활용하여 중장기적으로 우수한 자체 개발작들을 선보여 시장 점유율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다”고 포부를 밝혔다.

ego_webmo1_20121017.jpg
▲ 웹젠모바일 김태훈 대표

웹젠모바일은 웹젠이 전액 출자해 설립한 모바일게임 개발 및 서비스 회사로 웹젠 본사 출신의 베테랑 실무진 외에 넥슨, 엔씨소프트, 게임로프트, EA모바일, 네오위즈 등 국내외 유수 게임업체에서 온라인과 모바일게임의 개발자들을 추가로 편입했다. 현재는 라인업 확대로 인해 약 30명의 전문인력이 모바일게임 개발 및 서비스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웹젠모바일은 세 가지 주요 사업 전략으로 시장을 주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첫째로 웹젠의 인기 IP 활용이다. 웹젠이 보유한 인지도 높은 온라인게임 타이틀을 모바일게임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둘째는 투자와 퍼블리싱으로 자체 개발 외에 새로운 게임을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마지막은 글로벌 동시 출시로 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ego_webmo7_20121017.jpg

ego_webmo8_20121017.jpg
  ‘MU the Genesis’의 캐릭터 원화

김 대표는 웹젠의 인기 IP 활용으로 ‘뮤’의 모바일게임을 선보였다. ‘뮤’의 모바일버전인 ‘MU the Genesis’는 온라인게임 ‘뮤’의 이전 시대인 고대의 뮤 대륙을 배경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3D MORPG로 내년 1분기 서비스 예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웹젠과 자회사 이미르엔터테인먼트의 IP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WM2(가칭)’와 ‘프로젝트 WM3(가칭)’가 개발되고 있다. 이외의 웹젠 IP로는 R2, 썬, 아크로드2, 메틴 등이 있다.

ego_webmo2_20121017.jpg
▲ 웹젠모바일의 라인업

투자 및 퍼블리싱에는 신생 모바일게임 개발사 Electric Monster와 함께 삼국지를 배경으로 하는 횡스크롤 액션 ‘프로젝트 3(가칭)’가 있으며, 연내 서비스 예정이다. 이와 함께 메카닉을 소재로 하는 전략 RPG ‘프로젝트 M(가칭)’, 홍3 캐릭터를 이용한 리듬 액션 ‘프로젝트 SB(가칭)’ 등을 준비 하고 있으며 두 게임은 내년 1분기 서비스 예정이다.

제휴 IP를 통한 모바일게임 2종도 준비하고 있다. 제휴 IP는 기존에 알려진 게임을 활용하는 것이 아닌 일반인들도 쉽고 단순하게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소재를 활용한 모바일게임으로 구체적인 소재는 아직 공개 되지 않았다. 다만, 최근 애니팡과 같이 쉽게 어필할 수 있는 소재가 각광 받고 있는 만큼 게임을 잘 모르는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IP가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웹젠 IP 3종, 퍼블리싱 3종, 제휴 IP 2종을 확보한 웹젠모바일은 올해 말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총 8종의 모바일게임을 선보일 예정이다.

ego_webmo6_20121017.jpg

ego_webmo3_20121017.jpg
▲ 투자를 통해 개발 중인 Electric Monster의 `프로젝트 SB(가칭)`와 `프로젝트 M(가칭)`

한편 모바일게임 시장에서 라인업뿐만 아니라 서비스 플랫폼에도 관심이 쏠리면서, 웹젠모바일 역시 해당 부분에 주안점을 두고 라인, 티스토어, 카카오톡 등 여러 서비스 플랫폼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불어 자사의 개발 및 서비스 게임들을 한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체 플랫폼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