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리프트의 핵심 콘텐츠 전장, 저레벨부터 안가면 손해!

/ 1

‘전장’은 필드, 혹은 제한된 공간에서 적대진영과 승부를 겨루는 것을 의미하며, 근래 출시된 대부분의 MMORPG에 존재하는 필수 콘텐츠 중 하나다. 하지만, 리프트에 구현된 전장은 조금 색다르다. 다른 게임에서의 전장이 만레벨 달성 이후 특정 PVP 아이템과 호칭을 얻기 위해 진행되는 반면, 리프트의 전장은 앞서 말한 요소와 함께 레벨업의 수단으로도 이용되기 때문이다.

리프트의 전장은 다양한 관련 퀘스트가 존재하고 전투 종료 후 얻는 경험치 역시 상당한 편이다. 따라서, 캐릭터 육성 기간 동안 전장 신청 후 필드 퀘스트를 진행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 할 수 있다. 가디언과 디파이언스의 진정한 대결이 펼쳐지는 전장, 과연 어떤 형식으로 진행되며 그 보상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 가디언과 디파이언스의 자존심 대결이 펼쳐진다!

 

전장 신청, 원클릭으로 간편하게!

전장 입장 방법은 매우 간편하다. 게임 화면 좌측 하단의 ‘ACTIVITEIS’ 탭에서 Warfronts(전장)를 클릭하면 참여 가능한 전장 목록이 노출되며, 이 중 원하는 전장에 입장 신청을 할 수 있다. (이 일련의 과정은 단축키 K로 손쉽게 진행 가능하다) 유저 편의를 위해 한 곳이 아닌 복수 신청 역시 가능하며, 현재 자신이 파티 중이라면 그룹 신청으로 동료들과 함께 전장에 진입할 수도 있다.


▲ 클릭이 귀찮다면 단축키 K를 누르도록 하자


▲ 전장 입장 UI의 모습. 레벨이 올라가면 입장 가능한 전장이 추가된다

 

단순한 치고 박기는 그만, 전략이 중요한 전장

리프트의 전장은 Black Garden, The Codex, The Battle for Port Scion, Whitefall Steppes 총 4곳이 구현되어 있으며, 각각 입장 가능한 레벨과 승리 조건에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전장은 10~19, 20~29, 30~39와 같이 10레벨 단위로 입장 유저들이 분리되며, 자신의 레벨이 낮으면 일정 수준의 대미지 보정을 받지만 그 증가폭은 크지 않은 편이다.

1.  Black Garden (10레벨 이상부터 입장 가능)
Black Garden은 저레벨부터 입장할 수 있는 전장으로
‘Fang of Regulus’라는 깃발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 가디언과 디파이언스 중 500포인트를 먼저 달성하는 진영이 승리하며, 이 포인트는 상대 진영 유저를 처치(+1~2점)하거나 깃발을 소유(틱당 +1~6점)하고 있으면 조금씩 상승한다.


▲ Black Garden의 전경

전투가 시작되면 맵 중앙에 Fang of Regulus가 생성되며 이것을 클릭하면 깃발을 소유하게 된다. 깃발 소유자는 이동속도가 느려지고 게임 화면에 그 위치와 이름이 표시되므로 순식간에 상대방의 표적이 된다. 따라서, 동료들은 소유자를 생존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고 반대로 상대진영은 일점사를 통해 대상을 빠르게 처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Black Garden 팁 모음 집]

1.  깃발 소유자는 상대의 공포/스톤/넉백 등의 메즈기에 면역이다.

2.  중앙 지역을 둘러싼 외벽 위는 힐러와 캐스터 직업군에게 최적의 장소다. (밀리 공격을 당하지 않는다)

3.  한 타 싸움에서 전멸했을 경우 부활 시간을 맞춰 진형을 갖춘 후 돌격하는 것이 현명하다. 진형을 갖추기 전 개개인이 돌진하는 것은 패배의 지름길이다.

4.  깃발 소유 시 얻을 수 있는 점수는 위치에 따라 다르다. 깃발 소유자가 Fang of Regulus가 생성되는 중앙에 머물 경우 틱 당 6포인트가 상승되지만, 그 외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승치가 점차 감소된다. 따라서, 전력이 월등할 경우 모든 팀원이 중앙 지역에 군집하는 것이 빠르게 승리할 수 있는 비법이다.

 

2.  The Codex (20레벨 이상부터 입장 가능)
The Codex는 Codex, Scope, Statue, Vault 4개의 거점을 점령, 유지하는 전장이다. 승리 조건은
먼저 1000포인트를 달성하는 것이며, Codex 점령 시 틱 당 5포인트, 다른 구조물은 틱 당 3포인트가 상승된다. 가장 포인트가 많이 상승되는 Codex는 양 진영의 정 중앙에 위치하며, 이것을 점령하는 진영은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 The Codex의 전경

상대 진영 유저를 처치(+2)해도 포인트는 상승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거점 점령을 위한 기동성과 전략이다. 일반적으로 시작과 동시에 가디언은 Statue, 디파이언스를 Scope를 점령한 후 Codex에서 충돌한다. 이후 필요한 것은 과감한 결단이다. 한 타 전투에서 승리해 Codex를 점령했다 하더라도 이를 지키기 위해 머무는 것은 그다지 좋은 선택이 아니다. 상대 진영이 부활하는 장소는 본진뿐이므로 계속해서 진격해 적을 압박하는 것이 승리를 위한 지름길이라 할 수 있다.

거점 점령을 위해서는 각 지역에 위치한 깃발을 클릭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공격을 당할 경우 점령이 취소된다. 적이 점령한 거점을 탈취 하기 위해서는 깃발을 내린 후 60초 동안 이를 유지해야 하며, 이 시간 내에 적이 다시 깃발을 올릴 경우 거점 탈취는 실패로 돌아간다.

[THE Codex 팁 모음 집]

1.  게임 초반에는 무조건 Codex로 향하는 것이 중요하다. Vault를 점령한다고 1~2명이 빠지는 것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2.  원거리와 힐러 클래스는 높은 언덕 위에 자리를 잡는 것이 유리하다.

3.  Codex는 높은 포인트 상승폭 뿐만이 아니라 다른 거점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고지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4.  은신이 있는 로그 클래스는 적군 거점 탈취와 아군 거점 방어에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단, 단독행동은 위험하므로 적군이 몰려오면 욕심을 부리기 보다는 도망치는 것이 현명하다.

 

3.  Whitefall Steppes (30레벨 이상부터 입장 가능)
Whitefall Steppes은 적 진영의 Sourcestone을 3번 탈취하거나, 제한 시간 동안 더 많이 탈취한 진영이 승리하는 전장이다.
기본적인 진행은 ‘깃발 뺏기’와 같으며, 그 대상이 깃발이 아닌 Sourcestone로 바뀐 것 뿐이다.


▲ Whitefall Steppes의 전경 

Sourcestone은 각 진영의 본진에 생성되어 있으며, 상대방 Sourcestone을 탈취 후 자신의 진영으로 가져오면 득점을 얻게 된다. 다른 전장과 달리 상대 진영 유저를 처치해도 승/패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PVP보다는 어디에 Sourcestone이 위치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주의할 점은 상대의 Sourcestone을 자신의 진영으로 무사히 가져왔다 하더라도 아군의 Sourcestone이 탈취당한 상태라면 득점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것. 따라서, 무작정 진격만이 능사가 아니며, 공격조와 수비조를 적절히 나눈 후 진행을 해야 전장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다.

적의 Sourcestone을 소유하고 있는 유저에게는 치료효과 50% 감소와 이동속도 감소 디버프가 적용되므로 주변 아군의 서포트가 반드시 필요하다.

[Whitefall Steppes 팁 모음 집]

1.  만약, 자신이 이동속도 증가 버프를 시전할 수 있는 클래스라면 아낌 없이 Sourcestone 소유자에게 걸어주도록 하자. 승리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동성이다.

2.  맵 중앙과 양 진영 Sourcestone 생성 장소에서 이동속도 증가 버프를 받을 수 있다.

3.  Sourcestone 생성 장소로 입장할 수 있는 구간은 총 3곳이다. 공격과 수비 시 적절한 인원을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상대 진영 부활 지점에 다가가면 아군 진영으로 강제 이동된다. 주의하도록 하자.

 

4. Port Scion (50레벨부터 입장 가능)
만레벨부터 입장할 수 있는 Port Scion은 AOS 형태로 진행되는 전장이다. 1000 포인트에 먼저 다다르거나, 제한 시간 20분 동안 더 많은 포인트를 획득한 진영, 혹은 각 진영에 배치되어 있는
보스(Enemy Boss)를 먼저 처치하는 쪽이 승리한다.


▲ Port Scion의 전경  

전장 내에는 여러 퀘스트가 존재하며 이 중 4가지를 아군 진영 보스에게 받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퀘스트를 완료하면 평판이 상승되며, 이 중 상대방 진영 NPC 10명을 처치하는 퀘스트는 완료 시 정예 기사와 마법사가 전장에 투입되므로 전략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전장에 배치된 교회와 공터에는 Sourcestone이 생성되며, 이를 아군 진영으로 가져오면 30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Sourcestone은 교회에 3개, 공터에 1개가 리젠된다) 단, 변수는 존재한다. 각 진영에는 Idol과 Planars라는 구조물이 존재하는데, 만약 이 구조물이 파괴될 경우 Sourcestone 회수 시 획득하는 포인트가 감소된다. (하나 파괴 시 -10, 둘 모두 파괴 시 -20) 또한, 구조물 파괴 시 보스에게 적용되는 `받는 대미지 감소 버프`가 삭제되고, 보스를 호위하는 부관이 복구를 위해 해당 장소로 이동하므로 적의 공격으로부터 보스를 지키기 어려워진다.

포인트를 얻는 또 다른 방법으로 교회와 공터에 배치된 몬스터 사냥이 있다. 교회 2층에 위치한 ‘리치’는 100 포인트, 공터의 드래곤은 사냥 시 50 포인트를 얻을 수 있으며 그 주변의 정예 몬스터(10포인트)와 일반 몬스터(1포인트) 역시 사냥 시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리치 사냥에 성공하면 아군 진영에 ‘돌격대장’이 소환되어 전투에 도움을 준다. 돌격대장은 상당한 공격력을 가지고 있지만 생존력이 높지 않으므로 유저들의 호위가 있어야만 진정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Port Scion의 격전지는 전장 중앙의 다리다. 이 지역은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는 직접적인 구조물은 아니지만, 앞서 말한 교회와 공터를 확보할 수 있는 요충지이자 적의 Idol과 Planars와 가까워 진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장 큰 장점은 다리를 점령할 경우 이 곳에서 아군의 부활이 이루어 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리를 점령하는 진영이 Port Scion에서 승리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 Port Scion 팁 모음 집]

1.  상대 진영 유저 처치 시 2포인트가 상승된다.

2.  다리 아래에 흐르는 물은 탈 것을 타고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깊지 않다.

3.  전장이 상당히 복잡한 만큼 팀워크와 역할 분배가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역할 분배는 러너(Runner)라 불리우는 Sourcestone 회수 팀과 적의 구조물과 보스를 노리는 공격조, 적 진영의 진격을 막는 수비조로 나뉜다.

4 Idol은 힐러의 치료 스킬이 적용된다. 따라서, Idol의 체력이 많이 소모되었을 경우 잊지말고 치료하도록 하자.

5.  상대 진영 Idol과 Planars를 파괴할 경우 100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단, 부관이 복구한 Idol과 Planars는 다시 파괴해도 포인트가 상승되지 않는다.

 

전장으로 얻을 수 있는 포인트와 그 사용처

전장 종료 후 승/패 결과에 따라 일정량의 FAVOR 포인트와 PVP PRESTIGE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것을 사용해 PVP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다. 이 중 FAVOR는 꾸준히 전장에 참여했다면 저 레벨 때부터 쌓을 수 있는 반면, PVP PRESTIGE는 만레벨을 달성한 후에 활성화 되는 특징이 있다. 두 포인트의 차이는 이를 각각 ‘화폐’와 ‘등급’이라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가능하다.

FAVOR는 PVP 아이템을 구매할 때 사용하는 포인트다. 즉, PVP 아이템 구매 전용 골드라 이해하면 된다. 하지만, FAVOR만 높다고 무작정 고랭크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고랭크의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이 필요하며, PVP PRESTIGE가 바로 그 척도다. 즉, 자신에게 아무리 많은 FAVOR가 있다 하더라고 PVP PRESTIGE가 낮다면 절대 상위 등급의 PVP 아이템을 구매할 수 없는 것이다.

: 게임메카 허진석 기자 (쌀밥군, riceboy@gamemeca.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온라인
장르
MMORPG
제작사
트라이온월드
게임소개
'리프트'는 우주와 판타지가 공존하는 세계 '텔라라'를 무대로 삼은 MMORPG다. 행성과 행성을 연결하는 '리프트'를 통해 벌어지는 방대하고 치열한 전투를 다뤘으며, 유저는 다양한 자연 환경과 유적 등이 존재하... 자세히
게임잡지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4년 12월호
2004년 11월호
2004년 10월호
게임일정
2025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