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e스포츠

전병헌 협회장, 게임 편견 e스포츠로 타파하겠다

▲ 한국e스포츠협회 신임 회장으로 자리한 전병헌 회장

 

2종의 셧다운제에 이어 지난 8일 새로운 규제 법안이 발의되며 게임업계의 분위기는 위축된 상태다. 업계 측이 부담스러워하는 부분 중 하나는 규제 분위기 지속과 이로 인해 발생한 부정적인 여론이 산업 전체의 이미지에 손상을 입히고 있다는 것이다. 주로 젊거나 어린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한 게임업계에 있어 ‘유해산업’이라는 꼬리표는 치명적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한국e스포츠협회의 5대 회장으로 취임한 전병헌 협회장은 이에 대해 e스포츠의 활성화를 통해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을 타파하는데 앞장서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전 회장은 29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취임식 현장에서 “e스포츠의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되찾아 게임을 대중적인 스포츠로 인식하는 문화가 국민적으로 확산된다면 게임에 대한 오해와 편견도 풀릴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전했다.

 

즉, 전병헌 회장은 e스포츠의 부흥과 동시에 게임업계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타파하는 방안 마련을 꾀하고 있는 것이다. 전 회장은 “게임업계와의 협의체를 내부에 만들어, 해당 분야가 당면한 과제와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활로를 모색해가는 자리를 만들겠다”라며 “업계 내부의 의견을 제도권으로 끌어들이는 창구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라며 e스포츠와 게임업계 전반과 정치권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게임업계 전반이 아닌 e스포츠의 협회장으로 자리한 전병헌 의원이 양 업계 사이에서 과연 균형 잡힌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느냐가 관건으로 남았다. 실제로 해당 현장에는 게임업계를 대표하는 한국게임산업협회의 최관호 협회장이나 김성곤 사무국장 등이 방문했으나, 블리자드나 라이엇 게임즈, 넥슨 등 주요 종목사의 관계자는 보이지 않았다. 반면 정부 관계자와 국회의원, 한국e스포츠협회 관계자들은 다수가 현장에 방문해 자리를 지키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전병헌 회장이 앞으로 구축할 협의체에 얼마나 많은 관련 업체를 끌어 모을 수 있느냐에 따라 파급 효과가 갈릴 것으로 전망된다. 만약 해당 협의체에 다수의 국내 게임업체가 모인다면 한국 e스포츠의 숙원으로 남아 있는 ‘국산 종목 활성화’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대안이 제시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전 회장은 협의체 구성에 대해 “e스포츠와 관련된 다양한 직종과 공동체적인 협의체를 만들고, 서로 성격이 다른 프로와 아마추어가 분리된 조직을 꾸릴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4년 12월호
2004년 11월호
2004년 10월호
게임일정
2025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