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삼성의 칠링고의 마이클 루덴, 크리스 비야트, 조위 공동 설립자
삼성이 모바일 오픈 마켓인 삼성앱스에 적극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를 유치하기 위해 GDC에 나섰다.
삼성은 26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Game Developer Conference 2013, 이하 GDC 2013)에 '삼성 + 개발자' 세션을 열어, 미국 개발자들에게 EA와 함께 제휴하는 '100%인디'를 알리는 시간을 가졌다.
'100% 인디'는 삼성이 자사의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오픈 마켓인 삼성앱스의 영향력을 키우기 위해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이미 막강한 경쟁 마켓 사이에서 영향력과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방침으로 삼성앱스는 다른 마켓보다 훨씬 유리한 조건을 개발자에게 제시하고, 그 대신 양질의 콘텐츠를 발굴하겠다는 취지다.
삼성은 오픈마켓 시장에 늦게 뛰어든 만큼 할 수 있는 한 많은 앱을 출시하고 성공시켜야 애플의 앱스토어나 구글의 플레이 스토어와 경쟁할 수 있는 상황에 놓였다. 삼성의 마케팅 매니저인 마이클 루덴이 진행한 세션 동안, 특별 패널로 칠링고 공동 설립자 크리스 비야트, 조 위가 참여하여 인디 개발자 유치를 위한 노력을 보였다. 특히 앱스토어의 지배력이 절대적으로 강한 미국에서 세션이 열린 만큼 개발자들의 질문은 현실적이고 직접적이었다.
▲ 삼성의 '100%인디' 프로젝트는 초반에 100% 수익 회수를 보장한다
▲ 100%인디 마진 변화표
칠링고의 조 위 대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갤럭시 기종의 판매량이 늘고 있음을 강조하며, "삼성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스마트폰 개발사다"며, "100% 인디에 참여하는 것은 안드로이드 개발사에게 좋은 기회를 줄 것"이라 말했다.
아직 삼성앱스가 미국에서 대중적인 오픈 마켓이 아니다 보니 평균 다운로드 수치에 대한 궁금증도 제기됐다. 이에 크리스 비야트는 "지금은 기회를 보는 시간이다. 개발사에게 수익을 100% 보장하는 이유도 그때문이다. 게임이 어느 정도 생명력을 지속할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신생 개발사나 인디 개발사에게 100%인디는 이러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절대적인 기회다"고 답했다.
이중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타이젠 OS와 관련된 언급도 나왔다. 마이클 루덴은 어디에서 타이젠OS를 얻을 수 있냐는 질문에 "지금 나에게 말해주거나 혹은 트윗을 보내 달라"면서 "100% 인디에 참여하는 업체의 경우 서로 협의 후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타이젠 OS를 미리 제공하여 앱을 개발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사를 도울 테니 많은 참여를 부탁한다"고 전했다. 삼성이 '100% 인디'를 통해 단순히 수수료 면제로 개발사의 부담을 덜어 줄 뿐 아니라 개발사와 유통사가 함께 가는 협력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의지를 전달한 것이다.
한 개발자는 타이젠OS를 '안드로이드 킬러'라고 부른다고 전하자, 삼성은 "퍼포먼스가 좋은 OS일뿐이지 안드로이드를 타겟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는 재치를 보이기도 했다.
'100% 인디'는 삼성과 EA의 제휴로 운영되며, EA의 자회사인 칠링고가 모바일게임 영입에 적극 나선다. 칠링고는 '앵그리버드', '컷 더 로프' 등을 발굴한 업체로 좋은 개발사를 고르는 안목을 가졌다고 평가 받는다. 필링고는 개발사와 접촉해 게임 콘텐츠를 삼성앱스에 출시하는 역할을 맡는다.
- 멈추지 않는 사후지원, 스타듀 밸리 1.7 업데이트 발표
- '코유키 사태' 블루아카, 외부 접속 원천 차단 등 보안 강화
- 이스케이프 프롬 타르코프, 마침내 스팀 출시 확정
-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 중국어 '비추천' 이어진 이유는?
- 왕이 볼 때만 일하는 ’더 킹 이즈 워칭‘ 한국어 패치
- 신라 배경 소울라이크 ‘남모’ 스팀 상점페이지 열었다
- [이구동성] 코유키의 넥슨 안방 침입
- 인디게임협회, 한국인공지능게임협회로 명칭 변경
- 모호한 인디게임 기준 논쟁, '페르시아의 왕자'에서 재점화
- 스타듀 밸리 개발자,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에 성우 참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