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롤챔스로 보는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 공략] 이블린 정글 대비 푸만두의 나미 템트리

/ 1


[패] Jin Air Falconsvs[승]  SKT T1
KDA: 0/4/3 CS: 146Jin Air miso98
154SKT T1 ImpactKDA: 4/1/11 CS: 160
KDA: 0/5/2 CS: 226Jin Air Roar81
미드
61SKT T1 FakerKDA: 6/2/13 CS: 248
KDA: 4/4/1 CS: 95Jin Air Reapered28
정글
59SKT T1 BengiKDA: 2/0/17 CS: 91
KDA: 1/4/2 CS: 177Jin Air Raven96
원딜
67SKT T1 PigletKDA: 9/0/3 CS: 233
KDA: 0/4/4 CS: 8Jin Air Roar53
서폿
267SKT T1 PoohManDuKDA: 0/2/15 CS: 6
304412
606429
▲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서머 8강 3경기 1세트 결과

8월 14일(수), 지난 시즌에 이어 2연속 4강 진출을 노리는 ‘SKT T1’이 ‘Jin Air Falcons(이하, 진에어 팰컨스)'를 상대로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서머(이하, 롤챔스 서머) 8강 3경기 1세트에서 압도적인 경기력 차이를 선보이며 승리했다. 이날 경기는 SKT T1의 모든 선수가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특히, SKT T1 PoohManDu가 진에어 팰컨스의 정글러 이블린을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만드는 효율적인 아이템트리를 선택해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이번 롤챔스 경기에서 독특한 템트리로 진에어 팰컨스의 정글러 이블린을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막은 푸만두의 나미 스킬, 아이템트리를 공개하겠다.


▲ 최근 OP(Over power) 서포터로 불리는 나미

푸만두의 롤챔스 나미 최종 아이템


푸만두의 롤챔스 나미 소환사 주문
  

 



푸만두의 나미 마스터리

푸만두는 라인전 딜 교환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공격1/방어13/보조16 마스터리를 선택했다. 보조에 탐험가와 부유함 특성을 투자해 초반 시야를 밝히고 금전적 우위를 점했고, 방어에 막기로 적 원거리 딜러의 공격을 최소화시켰다. 또한, 탈진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공격에 소환사의 진노를 찍는 것도 잊지 않았다.

▲ 푸만두의 나미 마스터리


푸만두의 나미 룬

푸만두는 딜 교환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마법 관통력 룬과 체력 룬, 그리고 방어력 룬을 사용했다. 또한, 기술을 자주 사용하기 위해 마나 재생 룬을 선택했다.

▲ 푸만두의 나미 룬


아군 원거리 딜러에게 힘을 쏟기 위한 푸만두의 나미 스킬트리

푸만두는 라인 스왑으로 적 탑 라이너인 쉔에게 최대한 많은 견제를 시도하기 위해 파도 소환사의 축복(E)를 선 마스터했다. 그리고 이후로는 아군을 치유하는데 도움되는 밀물 썰물(W)을 차례로 배웠다.

푸만두의 롤챔스 나미 스킬트리






















상대 정글러 이블린을 아무것도 못 하게 만든 푸만두의 나미 템트리

푸만두는 상대 이블린 정글러를 의식해 서포터의 필수 아이템인 ‘시야석’을 조합하지 않고 오로지 '투명 감지 와드’를 구매했다. 그리고 남는 돈으로 ‘현자의 돌’과 ‘케이지의 행운’을 빠르게 구매해 맵 전체에 ‘투명 감지 와드’를 설치했다. 그뿐만 아니라 서포터들의 중반부 필수 아이템으로 손 꼽히는 ‘예언자의 영약’도 섭취하지 않고 오로지 ‘투명 감지 와드’만 계속 구매해 상대 정글러인 이블린이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꽁꽁 묶어 놨다.

푸만두의 롤챔스 나미 템트리


&



&



&







&







&





&&&












: 리그오브레전드 게임메카(lol@gamemeca.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온라인
장르
AOS
제작사
라이엇 게임즈
게임소개
'리그 오브 레전드'는 실시간 전투와 협동을 통한 팀플레이를 주요 콘텐츠로 내세운 AOS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100명이 넘는 챔피언 중 한 명을 골라서 다른 유저와 팀을 이루어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전투 전에... 자세히
이승범 기자 기사 제보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