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모바일

카카오톡, 스팸차단 시스템 '스마트 링크 차단기술' 도입

/ 1

▲ 스마트 링크 차단기술을 도입한 '카카오톡' (사진제공: 카카오)


스마트폰 사용자를 노리는 스미싱이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카카오톡이 스팸 메시지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스마트 링크 차단기술'로 방어체계를 강화하며 안전한 사용환경 구축에 팔을 걷어부쳤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친구가 아닌 사람으로부터 각종 정보로 위장한 악성 링크 메시지를 받은 경우, 링크를 클릭해도 즉시 연결되지 않고 주의 안내 팝업을 띄워주는 '스마트 링크 차단기술'을 전격 도입했다. 앞서 친구를 사칭하며 접근하는 스팸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한 '스마트 인지기술'에 이어 이번 '스마트 링크 차단기술'까지 도입하며, 나날이 진화하는 스팸에 맞서 또 한번 강력 대응에 나섰다.

카카오가 국내 모바일 스팸 사례 분석 결과, SMS을 통해 악성 URL을 유포하고 클릭과 동시에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악성코드를 심어 보안 문제를 초래하거나, 사용자도 모르는 사이 휴대폰 소액 결제까지 이어지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카카오는 이 같은 수법이 모바일 메신저로 확산되기 전에, 스팸 링크 연결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프로세스를 개발, 적용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각종 악성앱, 음란물, 불법홍보물이 유포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각종 보안 위협으로부터 사용자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됐다.

사용자는 링크 클릭시 화면에 뜨는 팝업창의 연결 주의 안내 문구를 확인한 후, ‘취소’ 버튼을 터치하면 채팅방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만약 신뢰할 수 있는 링크정보라고 판단될 경우 ‘확인’ 버튼을 터치하면 해당 페이지로 즉시 연결된다. 클릭을 유도하는 문구에 실수로, 혹은 습관적으로 링크를 클릭해도 바로 연결되지 않아 안심할 수 있다. 단 플러스친구, 선물하기 등 카카오 공식 서비스에서 보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URL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안내 팝업이 뜨지 않는다. 

카카오는 “나날이 진화하는 악성 스팸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전방위로 힘쓰고 있다. 이번 '스마트 링크 차단기술' 도입으로 스미싱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비스를 악용하는 스팸머들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강력히 대응해나갈 것이며, 계속해서 안심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안전한 사용환경 제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스마트 링크 차단기술'은 안드로이드 버전부터 적용되며, 이달 중 iOS 버전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임태천 기자 기사 제보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