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게임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리면서 동남아시아 시장 또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 중 중국, 인도, 미국에 이어 전 세계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인도네시아가 주요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미 지난 2009년 제페토의 FPS게임 ‘포인트블랭크’을 시작으로 위메이드의 대전액션게임 ‘로스트사가’이 진출해 동시접속자 수 9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신화를 기록한 바 있다. CJ E&M 넷마블은 직접 인도네시아에 지사를 설립하며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모두의 마블’, ‘엘소드’ 등 다양한 게임들을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최근에는 온라인 게임 업체뿐만 아니라 모바일 게임 업체들의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인도네시아가 주목 받는 이유는 지리적으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 동남아시아 주요국가와 밀접해 있으며 K-POP 열풍으로 한국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 게임 진출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포브스 조사 결과 인도네시아 스마트폰 시장이 급성장중으로 지난 2분기에만 스마트폰 판매가 900만대가 증가했으며, 블랙베리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25%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안드로이드가 빠르게 성장하며 시장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게임 마케팅 전문 업체 넥스문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상위 100개 애플리케이션 중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80%에 달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SNG 장르의 비중이 높아 이런 현상은 SNRPG와 SNTCG 같은 코어 게임 시장의 발전 가능성을 반증한다고 설명했다.
넥스문 문두현 대표는 “인도네시아의 인구 90%는 무슬림으로 언어는 물론 문화적인 로컬라제이션이 중요하다”며 “인터넷 인프라가 성장하고 있는 단계임으로 온라인로만 접근하기 보다는 오프라인의 적절한 미디어믹스를 활용해 성공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내 업체가 동남아 진출 시 현지 시장을 잘 파악하고 있는 파트너사와 협업이 필수”며 “인도네시아를 기반으로 동남아시아 전체에 효과적인 진출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 '인디게임계의 GTA' 실크송 피해 대거 출시 연기
- 팀 스위니 에픽 대표 “에피드게임즈에 소송 의사 없다”
- 생동감 넘치는 거리, 인조이 첫 DLC 스팀서 '매긍' 호평
- 포켓몬 레전드 Z-A, 실시간 전투의 효과는 굉장했다
- [오늘의 스팀] 실크송 대비, 할로우 나이트 역대 최대 동접
- ‘세키로’ 애니 제작사, 생성형 AI 의혹 전면 부정
- 첫 공식 시즌 맞춰, 패스 오브 엑자일 2 나흘간 무료
- 돌아온 초토화 봇,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업데이트
- [오늘의 스팀] 동접 4배 증가, 데드록 신규 캐릭터 화제
- 태양의 여신 아로나, 블루아카 한정판 바이시클 카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