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게임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리면서 동남아시아 시장 또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 중 중국, 인도, 미국에 이어 전 세계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인도네시아가 주요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미 지난 2009년 제페토의 FPS게임 ‘포인트블랭크’을 시작으로 위메이드의 대전액션게임 ‘로스트사가’이 진출해 동시접속자 수 9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신화를 기록한 바 있다. CJ E&M 넷마블은 직접 인도네시아에 지사를 설립하며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모두의 마블’, ‘엘소드’ 등 다양한 게임들을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최근에는 온라인 게임 업체뿐만 아니라 모바일 게임 업체들의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인도네시아가 주목 받는 이유는 지리적으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 동남아시아 주요국가와 밀접해 있으며 K-POP 열풍으로 한국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 게임 진출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포브스 조사 결과 인도네시아 스마트폰 시장이 급성장중으로 지난 2분기에만 스마트폰 판매가 900만대가 증가했으며, 블랙베리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25%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안드로이드가 빠르게 성장하며 시장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게임 마케팅 전문 업체 넥스문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상위 100개 애플리케이션 중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80%에 달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SNG 장르의 비중이 높아 이런 현상은 SNRPG와 SNTCG 같은 코어 게임 시장의 발전 가능성을 반증한다고 설명했다.
넥스문 문두현 대표는 “인도네시아의 인구 90%는 무슬림으로 언어는 물론 문화적인 로컬라제이션이 중요하다”며 “인터넷 인프라가 성장하고 있는 단계임으로 온라인로만 접근하기 보다는 오프라인의 적절한 미디어믹스를 활용해 성공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내 업체가 동남아 진출 시 현지 시장을 잘 파악하고 있는 파트너사와 협업이 필수”며 “인도네시아를 기반으로 동남아시아 전체에 효과적인 진출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 몬길 PD와 사업부장, 프란시스와 린 코스프레 약속
- 지스타 불참사 관계자들이 밝힌 '지스타 패싱' 이유
- 엔씨 신더시티, 멋진 겉모습 뒤 부실한 슈팅게임 기본기
- [포토] 지스타 코스프레, 올해 대세는 체인소맨&레제
- 파판14 업데이트 시차 없앤 요시다 PD "오랜 꿈 실현됐다"
- 콘코드 팬 복원 프로젝트, SIE에 의해 중지
- 디스코 엘리시움과 33원정대 작가의 스토리 철학은?
- 타르코프 스팀판 환불하니, 기존 계정까지 차단 당했다?
- [오늘의 스팀] 쌓인 분노 폭발, 타르코프 혹평 쏟아져
- 33 원정대 싹쓸이? 더 게임 어워드 'GOTY' 등 후보 발표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