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e스포츠

공업에서 문화도시로, 중국 쿤산 게임으로 젊어지다

/ 1

▲ WCG 2013에 방문한 일반 관람객들

본격적인 이야기를 꺼내기 전, 중국의 쿤산이라는 도시에 대해 알고 있는지 물어보고 싶다. 기자가 출장을 앞두고 지인들에게 '쿤산으로 WCG를 취재하러 간다'라고 말했을 때, 돌아오는 반응은 '거기가 어디냐'는 것이었다. 상하이나 베이징, 항주와 같은 대도시가 아닌 쿤산이라는 곳에서 WCG가 열린다는 사실을 의아하게 여긴 사람도 많았다.

공업을 목적으로 조성된 신도시인 쿤산은 사실 중국 현지에도 잘 알려지지 않은 작은 도시다. 한국으로 치면 경기도 일산과 비슷한 도시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따라서 출퇴근하는 직장인을 제외하면 도시에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 사람은 사업을 하는 30~40대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쿤산이 WCG 2013을 유치하며 한층 젊어지고 있다. 중국 쿤산시 당공안 첸 이 부주임은 "게임을 통해 쿤산시가 건강하고 발전된 문화 트랜드를 선도하고 있다는 평을 얻었다. 특히 젊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며 대회를 보기 위해 많은 청년들이 쿤산에 방문했다"라고 밝혔다. 실제로 WCG가 개막한 지난 28일, 현장에 방문한 대부분의 관람객은 10대에서 20대 사이의 청년층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 중에는 WCG를 관람하기 위해 커뮤니티를 통해 모인 100여명 규모의 팬들도 있었다. 


▲ 중국 쿤산시 당공안 첸 이 부주임

사살 쿤산은 중국 현지에서도 '공업도시'라는 이미지가 강하며 도시의 60~70%의 사람들이 다른 도시에서 일을 하러 오는 외지인이다. 이러한 공업도시가 수많은 젊은이들을 끌어 모았던 원동력은 WCG를 개최하며 e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문화도시라는 이미지를 가져갔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부분은 공업도시라는 평가에 그쳐 있던 쿤산시 자체도 앞으로 '문화 콘텐츠 도시'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수 있는 힘을 얻은 셈이다.

상하이와 항주 사이에 자리한 쿤산, WCG로 전 세계에 이름을 알린다

쿤산이 WCG를 유치하며 얻은 또 다른 효과는 도시의 인지도를 끌어올린 것이다. 사실 쿤산 근처에는 대표 상업도시로 유명한 상하이와 문화도시로서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항주가 있다. 이러한 대도시 사이에 위치한 쿤산은 타 도시에 비해 국제적으로 이름을 알릴 기회가 많지 않았다. 그러나 WCG를 2년 연속 개최하며 전 세계 방송을 통해 '쿤산'이라는 도시가 대내외적으로 소개되며 중국에 이러한 도시가 있으며, 이 곳이 어떠한 장소인가를 알게 된 사람들이 많아졌다.

WCG 이수은 대표는 "쿤산은 기존 산업도시에서 e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활기찬 도시로 전환하고 싶다는 뜻을 전해왔다. WCG를 통해 공업도시라는 이미지를 쇄신하고, e스포츠를 사랑하는 활기찬 문화도시로서의 모습을 세계적으로 알릴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특히 쿤산은 공업 중에도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최신기술을 다루는 영역에 특화됐다. 실제로 삼성과 LG 등 한국 기업들도 쿤산에 관련 공업단지를 조성해 자사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은 첨단 하드웨어 기술을 밑바탕으로 한 e스포츠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 쿤산시 개발국 당공안 장 위린 부서기

쿤산시 개발국 당공안 장 위린 부서기는 "e스포츠 올림픽으로 불리는 WCG는 전세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쿤산의 전자 정보 산업의 질과 효율성의 성장과 더불어 쿤산시는 WCG 그랜드 파이널을 위한 최고의 게임 플랫폼을 구축하면서 관계자, 투자자 그리고 방문객들을 위한 교류와 협력의 장을 마련할 것이다. 이는 곧 e스포츠와 첨단 IT 기술, 그리고 관련업계의 동반성장과 WCG의 국제 브랜드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믿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청년층을 비롯한 많은 외지인이 WCG를 보기 위해 쿤산에 방문해 수일 동안 머물며 호텔이나 식당, 교통과 같은 지역 상권이 활성화되는 부분 역시 긍정적인 부분으로 지목됐다. 특히 구매력이 있는 젊은 사람들이 쿤산에 장기 투숙하며 일시적인 매출 증가는 물론 앞으로의 서비스 발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부분은 WCG와 같은 글로벌 행사를 또 다시 유치할 때 도시에 방문한 사람들에게 한층 더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많이 본 뉴스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