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 그래픽 성능은 올라가고 있다! 그런데 왜? 사무용PC 나 개발자용PC 처럼 강력한 그래픽 성능에 연연하지 않는 시스템의 모니터 출력을 위해 전용 그래픽 카드를 장착하는 것은 꽤나 아까운 일이다. 그 때문에 3D 그래픽 성능을 바라기 힘듦에도 불구하고 내장 그래픽 코어는 언제나 전체 PC 시장의 절반이 넘는 점유율을 차지하며 명맥을 유지해왔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내장 그래픽 코어는 메인보드 칩셋에 내장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APU로 불리는 AMD Llano 및 Intel Clarkdale 프로세서를 기점으로 내장 그래픽 코어가 프로세서(CPU)에 통합되기 시작했다. 굳이 내장 그래픽을 지원하는 메인보드를 찾을 필요 없이, 필요하다면 프로세서의 내장 그래픽 코어를 써도 된다는 점에서 편의성은 높아진 셈이다. ![]() 지금까지는 전용 그래픽 카드를 쓰게되면 필요가 없어지는 내장 그래픽 코어의 가격까지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도입 초기에는 불만의 목소리도 많았다. 하지만 꾸준히 내장 그래픽을 탑재하고 성능이 향상되면서 당연한 일로 여겨지는 한편, 내장 그래픽 코어가 디스플레이 출력뿐만이 아니라 또 다른 활로를 찾으면서 내장 그래픽 코어 개발에 박차가 가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흔히 GPGPU라고 불리는 연산기술이 점점 고개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기상예보나 연구기반 시설에서는 이미 GPGPU 전용 연산카드가 쓰이고 있을 정도다. 물론 데스크탑PC에서 쓰이는 프로그램들 중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강자인 어도비(Adobe) 나 코렐(Corel) 이 내장 그래픽 코어로도 CPU 처리 속도를 능가하는 OpenCL 기반 가속기능 지원을 늘리고 있으며, 흔히 사용하는 오피스 프로그램들도 GPGPU 기술 도입을 시작하고 있다. 세대를 거듭할 때 마다 성능향상 소식이 들려온 인텔 HD 그래픽스. 과연 최초의 1세대 HD 그래픽스에 비해 얼마나 많은 향상을 이루었는지, 1세대 부터 4세대 까지 차근차근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기로 했다. 인텔 코어 i3 프로세서 시리즈, 각 세대별 베스트셀러 모델 제원 ![]()
인텔 코어 i5 프로세서 시리즈, 각 세대별 베스트셀러 모델 제원 ![]()
인텔 코어 i7 프로세서 시리즈, 각 세대별 베스트셀러 모델 제원 ![]()
내장 그래픽 코어 살펴보기 전 워밍업, CPU 성능 살펴보기 내장 그래픽 성능을 들어가기에 앞서 간단히 프로세서 본연의 성능인 CPU 프로세싱 파워를 간단히 짚고 넘어가는 자리를 마련해 보았다. 1세대 코어 프로세서는 과도기적인 형태를 띄지만, 2세대 이후부터는 보급형 코어 i3, 중급형 코어 i5, 고성능 코어 i7 모두 각자의 포지션에 맞춰 균형잡힌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이밍 성능지표를 보여주는 3DMARK 프로세서 성능을 측정하는 PHYSICS 항목에서는 고른 분포를 보였다. 멀티코어 렌더링 성능을 측정해주는 CINEBENCH R11.5 에서는 코어 i3 시리즈가 상대적으로 좀 더 낮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성능 순서는 3DMARK 벤치마크 결과와 동일한 곡선을 그렸다. ![]() ![]()
![]() ![]()
본격 iGPU 성능측정,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 살펴보는 성능지표 오랫동안 개발해 온 CPU 프로세싱 파워와 달리, 제대로 된 iGPU 설계는 불과 4년 전인 2010년 클락데일(Clarkdale) 부터 시작한 만큼 세대가 변할 때 마다 성능 분포가 달라지는 모습이 다. 인텔 1세대 코어 프로세서인 클락데일의 내장 그래픽 코어는 미래를 위한 실험작 수준이며, 2세대 코어 프로세서인 샌디브릿지(Sandybridge)부터 본격적인 인텔 HD 그래픽스 시리즈의 시작이 라고 볼 수 있겠다. 확실한 것은 보급형 모델인 코어 i3 프로세서들은 해당 세대에서 가장 낮은 성능을 보여주며, 최상위 모델 코어 i7 프로세서들은 가장 높은 성능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중급기인 코어 i5 프로세서만 세대에 따라 성능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각 세대별로 가장 높은 판매고를 올린 2500K(2세대), 3570(3세대), 4670(4세대)에 내장된 그래픽 코어의 성능이 i3 급과 i7 급을 오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GPU 성능에 차등을 두는 기준의 변화로 보인다. 2세대와 3세대 Non-K 프로세서들의 그래픽 코어는 대부분 하위 라인업인 인텔 HD 2000/2500 그래픽스를 썼으며, K 프로세서나 코어 i7 급 제품들만 상위 그래픽 코어인 인텔 HD 3000/4000 그래픽스를 탑재했다. 하지만 4세대 코어 프로세서부터는 가장 저렴한 코어 i3-4130만 인텔 HD 4400 그래픽스를 썼고, 이를 제외한 모든 라인업이 인텔 HD 4600 그래픽스를 써서 내장 GPU 성능을 상향 평준화 시킨 모습이다. ![]() ![]()
![]() ![]()
![]() ![]()
![]() ![]()
내장 그래픽 코어. 인텔에게 득이 될 것인가, 실이 될 것인가? 결과적으로 인텔의 내장 그래픽 코어의 성능이 세대를 거듭할수록 진화하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다만 그 방향성은 아직까지 미묘한 느낌을 준다. OpenCL 가속을 측정하는 Basemark 테스트에서 1세대 및 2세대에 내장된 HD 그래픽스 코어는 지원되지 않는다거나, 최신 Cinebench R15 버전에서 모든 인텔 HD 그래픽스가 드라이버의 문제로 레퍼런스 이미지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해 OpenGL 테스트가 불가능한 문제도 있었다. 물론 세대를 거듭할수록 이러한 문제들을 수정하거나 추가하는 속도도 점차 빨라지고 있을 뿐 더러, 앞선 공정을 활용해 경쟁사가 애를 먹고 있는 전력당 성능 향상도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
인텔이 내장 그래픽을 도입한 이유가 초기에는 단순히 그래픽 연산 코어를 내장한 경쟁사의 프로세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을지도 모르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그래픽 연산과 더불어 OpenCL 로 기능이 확장되는 등 프로세서에서 내장 그래픽 코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차츰 증가하는 모양새다. 이미 시작된 OpenCL 연산의 발전을 고려하면 내장 그래픽을 마냥 덤으로만 생각할 수 없을때가 올 것으로 보인다. 아직은 시기상조일지도 모르지만 기왕 같은 값이라면, 앞으로는 내장 그래픽 코어의 성능도 무시하지 않고 따져보는 현명한 시각을 가져보기를 조심스럽게 권해보는 바이다. ![]() |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 공주는 어려운 게 싫어! ‘실크송’ 이지 모드 다수 출현
- 실크송, 헬 난이도 열리는 ‘코나미 커맨드’ 있다
- 료스케 PD “디지몬 450종 모델링 리뉴얼, 애정으로 완료”
- 엔씨 명운 달린 아이온 2, 그 뒤에 펼쳐진 우려의 그림자
- 조선 사이버펑크 '산나비', 새 주인공 외전 무료 배포 발표
- [겜ㅊㅊ] 스팀 정치 시뮬 축제, 구매할 가치 있는 신작 4선
- [오늘의 스팀] 노 맨즈 스카이 '제 2의 전성기'
- 닌텐도 '서브 캐릭터 소환해 전투하는 방식' 특허 취득
- [이구동성] 게임시장 1위 미국의 '게임 죽이기'
- 넷플릭스 시리즈 급, 실사 인터렉티브 게임 '성세천하'
게임일정
2025년
09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