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 리뷰

인텔CPU 국내 공인 유통사 코잇을 가다! -

/ 1

인텔 정품 A/S 정책의 변화로 국내 인텔 공인 대리점 삼사(인텍앤컴퍼니, 코잇, 피씨디렉트)는 정품 바코드를 도입하고 실시간으로 정품 확인이 가능한 리얼CPU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정품을 확인하고 구매하면 그레이 제품과는 달리 지난 달 통합된 인텔 D/T 통합 A/S 센터에서 3년 무상 A/S를 받을 수 있다. 서비스 센터 통합과 삼사의 공동 정품 바코드 도입은 사용자들의 정당한 권리를 위한 노력으로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인다. 그러한 노력들은 시장에서 인텔 정품 프로세서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 오고 있다. 

현장에서 함께 노력하고 있는 인텔 국내 공인 대리점 릴레이 인터뷰를 위해 지난번 피씨디렉트에 이어 이번에는 인텔 CPU 국내 공인 대리점 코잇을 찾아갔다. 용산에 위치한 코잇을 찾아가 IA사업부 RP팀 조원용 과장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코잇(COIT)을 만나다.

▲ 회의실에서 코잇 IA 사업부 RP팀 조원용 과장을 만났다.

Q1. 어떤 일을 하시는지 간단한 소개를 먼저 부탁 드린다.

A. 코잇 IA(Intel Architecture)사업부에서 마케팅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올 초부터 인텔 CPU 정품홍보에 주력 하고 있습니다.

 

Q2. 코잇은 어떤 곳인지 간단한 소개 부탁 드린다.

A. 2006년 9월 개업한 코잇은 현재 인텔 공인 대리점, 삼성전자 공인대리점으로서 INTEL CPU, SSD, Server 등과 삼성전자 노트북, 데스크탑, 모니터 등을 유통하고 있습니다.

Q3. 최근 코잇에서 많이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A. INTEL DT CPU 중 주력상품으로는 단연 i5 760 과 i3 530 입니다. Core i5 760 의 경우 지난 분기 750의 폭발적인 수요를 그대로 이어받은 품목이며 Core i3 530 의 경우 출시 초기대비 꾸준히 수요가 상승하고 있는 상황 입니다.

Q4. 인텔 CPU 정품 바코드 정책 시행으로 과거와 달라진 점이 있다면?

A.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소비자들이 정품과 병행수입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정품을 찾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정품 바코드 도입이전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공인대리점을 통해 유통된 정품과 일부 업체를 통해 수입된 병행수입 제품의 차이 모르고 가격만으로 단순 비교했었지만 정품바코드 도입 이후 많은 소비자들이 정품 CPU를 찾고 있는 실정 입니다.

 

Q5. 사용자들은 정품 바코드 정책에 대해 대체적으로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는가?

A.
올 초 정품 바코드 정책이 시행되면서 market 의 반응 및 소비자들의 반응은 기대 이상으로 폭발적이었습니다. 정품 바코드를 통해 간단하게 정품 여부를 realcpu.co.kr 에서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과 최근 공인대리점 3사가 각기 따로 운영하던 고객지원서비스를 통합 운영 함으로서 고객서비스 편의를 극대화 해 현재 대부분의 고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Q6. 정품 바코드 정책의 시행은 시장에서 판매자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판매자들은 어떤 반응들인가?

A.
시행 초 일부 업체들의 반신반의 하는 반응들과 실효성을 두고 의구심을 갖는 분들도 있었으나 현재 대부분의 인텔 채널 담당자들은 매우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정품을 적극적으로 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인터뷰는 회의실에서 진행되었다.

Q7. 인텔 정품 홍보에 대한 고객들의 반응은 어떤가?

A.
대부분의 고객들은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혹시 모를 불량 발생에 대비해 구입시 몇 천원 더 지불하고서라도 정품을 구입하겠다는 고객들이 많은 상황입니다. 정품바코드 시행 이전 정품에 대한 인식이 매우 약했으나 수개월에 걸친 정품 홍보로 인해 정품에 대한 인식은 많이 좋아졌다고 판단 됩니다.

 

Q8. 정품 바코드를 도입함과 동시에 인텔 프로세서 국내 공인 유통 삼사가 합동으로 최근 인텔 D/T 통합 A/S  센터를 열었다. 기존 삼사가 각기 분리된 A/S센터를 제공하던 것에 비해 통합으로 바뀐 점이 있다면?

A. 통합A/S 오픈 이전은 공인대리점 (인텍,코잇,피씨디렉트) 각 사에서 개별 처리해오던 것을 현재 통합하여 운영 함으로서 어느 공인대리점 제품이든지 한 곳에서 서비스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며 고객들은 각 공인대리점 제품 구별 없이 통합 A/S 센터로 방문하면 질 높은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Q9. A/S 센터 통합으로 눈에 띄는 이점이 있다면?

A.
각 공인 대리점 제품을 한곳에서 편하게 서비스 받을 수 있으며 방문이 어려운 고객들을 위해 택배 무상 지원 서비스도 실시 하고 있습니다.

 

Q10. 과거에는 코잇 에서도 A/S를 했다고 들었다. 아직도 여기로 A/S를 받으러 오시는 고객들이 있는지 궁금하다. 보통 그럴 때는 어떻게 대처 하는가?

A.
통합A/S 센터 오픈 이후 당사로 방문하는 고객들은 현저히 줄었으나 통합A/S 센터의 존재를 모르시고 방문하시는 고객 분에 한해서는 불편을 최소화 하기 위해 서비스를 제공 해드리고 있습니다. 서비스 이후 통합A/S 센터의 위치, 연락처 공지해드리며 차 후 불량 발생시 통합 A/S 센터로 방문하실 것을 권유 하고 있습니다.

 

Q11. 컴퓨터 부품의 경우 주로 어떤 환경의 영향을 받아 수요/공급 상황이 달라지는가?

A.
주로 신제품 또는 대작 게임의 출시, OS 변화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며 계절적으로는 방학시즌 또는 연말 연초에 수요가 증가한다고 보여 집니다. 특이할 만한 내용으로는 작년 3분기 이전까지는 주로 Pentium Dual Core 나 Core 2 Duo 제품 군이 메인 품목이었다면 Core i5 750 출시 이후 중고가 이상의 제품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Q12. 스타2가 많은 기대와 이슈를 안고 발매 되었다. 업계에서도 스타2 발매로 컴퓨터 구매와 업그레이드 호조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반면 스타2의 경쟁자들이 많아서 그렇지 않을 것이다 라는 입장들이 대조를 이루고 있는 듯하다. 그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다.

A.
스타크래프트 출시 이전 많은 PC업계 종사자들이 침체된 PC시장에 활력소가 될 것 이다 라는 이야기를 많이 했습니다. 그러나 현재 기대에 못 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스러운 목소리도 들리고 있는 것도 사실 입니다. 개인적으로 스타크래프트 2의 성공여부는 게임미디어 채널들이 얼마나 발 빠르게 스타크래프트2 리그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지와 PC방의 빠른 대응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런 조건들만 충족된다면 전작의 인기를 이어갈 수 있으며 침체된 PC시장에도 어느 정도 좋은 활력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 코잇 사무실 전경

Q13. 현재 인텔 CPU와 삼성 제품 군을 취급하고 계신데, 새로 다른 품목을 취급할 계획이 있는가?

A.
현재 당사는 인텔 데스크탑 CPU 이외에 인텔 서버 제품 군, 인텔 SSD, 삼성 데스크탑PC, 노트북, 모니터 등을 유통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아이템에 대한 개발은 계속 노력 중에 있으며 구체적인 아이템의 윤곽이 드러나면 고객 분들께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Q14. 앞으로 코잇이 나아갈 방향이나 목표가 있다면?

A.
철저한 시장 분석과 끈임 없는 신제품 개발을 통하여 다가올 변화에 대비하고 세계화 시대를 이끌어가는 Total Solution Provider 로 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코잇의 모든 영업 사원들은 변화 무쌍한 시장 흐름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체계적인 채널 관리 및 보다 정확한 시장 분석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 코잇 홈페이지

Q15. 마지막으로 브레인박스 및 사용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A.
고객이 있어 우리가 존재한다는 철저한 고객 중심 마인드로 여러분께 다가서고자 합니다. 강한 신뢰와 상호 믿음으로 급변하고 있는 IT 시장 환경 속에서 미래를 제시하고 발전의 길을 함께 걸을 것을 약속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코잇  /   대표전화: 02)716-7303~4   /   홈페이지 : http://www.coit.co.kr/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