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 리뷰

스타크래프트2에 최적의 CPU, GPU 조합[~20만원대] -

/ 1

 한 시대를 풍미했던 스타크래프트가 출시한지 벌써 10여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지금의 20~30대라면 학창시절 스타크래프트를 한 두번 접해보지 않은 이들이 없으며 지금의 10대들도 어린 시절 부모님이 즐기던 스타크래프트는 보며 자랐다. 이런 분위기 때문인지 스타크래프트2는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특별할 수 밖에 없는 스타크래프트2에 대한 관심은 당연할지 모르겠다. 테란, 프로토스, 저그라는 3종족이 등장, 완성도 높은 밸랜스, 뛰어난 그래픽, 전략성으로 국민게임으로 불리던 스타크래프트는 오락성 게임을 스포츠로 발전시키며 국내 게임산업뿐 아니라 문화에도 큰 영향을 끼치며 많은 이들에게 여전히 특별한 게임으로 기억되고 있다.

 2010년 9월 18일. 10년만에 본격적으로 사용화에 돌입한 스타크래프트2는 국내 유저들의 요구를 감안 기존 디지털 패키지 외에 상용화 일정에 맞춰 오프라인 패키지를 판매, 그리고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이용자를 위한 무료 이용을 실시하며 국내 유저들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표시했다. 그러나 국내 여론이 긍정적이지만은 않았지만 해외 게임 미디어 등에서 이례적으로 만점에 가까운 평을 받으며 호평을 받았던 스타크래프트2는 상용화 초기, 우려와 달리 트래픽에 큰 변화 없이 비교적 성공적인 출발을 보이고 있다.

 

▲ CPU 성능에 따라 보게되는 성능 저하 메세지( -_- 뜨끔)

 멀티코어 미지원으로 여러 논란이 있지만, 비교적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고 있는 스타크래프트2는 GPU 벤더들의 드라이버 최적화 및 클라이언트의 완성도 개선을 통해 더욱 안정성 개선 및 하드웨어 성능도 잘 이끌어내고 있다. 물론, 여전히 이미 논란이 되어왔던 멀티코어 미지원 문제는 여전하지만, SC2의 엔진에서 드러나듯 저사양을 타겟으로 최적화 및 엔진을 디자인한 만큼 별다른 무리는 없는 편이다.

 하지만, 여전히 지나치게 높은 CPU 의존성은 시스템 자원의 낭비라는 부분에서도 바람직한 부분만은 아니며 앞으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때론 CPU성능에 의해 느려지고 있다는 경고를 보여줘 게이머들의 마음에 주눅들게 하는 스타크래프트2에 최적의 조합은 무엇인지, 가격대별로 3개의 테마로 나눠 진행될 이번 기획기사를 통해 SC2에 최적의 합리적인 조합을 살펴보도록 하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