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방법 소개 1. GTX460 SLI 시스템 성능 테스트 기존 브레인박스 리뷰를 통해 사용하던 전력량계는 초기 모델로 측정 데이타를 PC에 저장할 수 없어 다른 계측 장비인 METEX M-3860M을 대여해 진행했다. 기존 제품과 입력 전력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으므로 테스트 장비로 활용했다.
2. 로드기 성능 테스트 해당 로드기는 SunMoon 제품으로 장비 업체를 통해 2주간 유상 대여해 진행했다. 1800W 출력까지 측정할 수 있어 고용량 파워서플라이 효율 측정에 유리하다. 해당 로드기를 가지고 아래 3가지 테스트를 진행했다. 국내 전기가 220V인 것을 감안해 220V로만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10종 제품 중 80PLUS 인증을 받은 스카이디지탈 제품만 추가로 115V 테스트를 했다. 80PLUS 인증은 115V를 기준으로 테스트를 받아 인증 받기 때문이다.
a. 효율 효율 테스트는 20, 50, 70 ,100%에서 실제 효율을 측정했으며,입력값은 각 제조사 스티커에 명시되어 있는 전류(A)를 사용했다. 테스트 제품 중 빅빔, 에이원 제품은 콤바인드 출력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120W, 400W를 기본값으로 책정해 사용했으며, 상황에 따라 일부 값을 밑으로 내려 테스트 했다. 아래 사진은 테스트에 사용한 입력값을 보여준 것으로 수동 테스트가 아닌 항목을 입력한 후 자동으로 진행하는 방식을 사용해 보다 정밀한 측정이 되는 장점이 있다. b.과부하 회로 실제 사용해서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 회로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로 출력 전력을 얼마까지 내보냈을 때 회로 보호가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의 회로 보호을 위해 허용하는 전류가 특정 수치를 넘길 경우 제품이 꺼지도록 하는 기능이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이다. 이 부분은 케이블이 과전류가 흐를 경우 화재의 위험으로까지 번질 수 있는 부분이므로 중요한 성능 중의 하나라 하겠다. 일부 제품들은 단가를 이유로 해당 기능을 빼는 경우가 있으니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압 변동률 테스트를 측정장비가 1개 채널만 측정할 수 있어 여러 시간을 필요로 하는 테스트이다. 윈도우 부팅 후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고 대기 상태로 있을 경우의 전압 변동값과 NVIDIA 최신 그래픽카드인 GTX570을 가지고 OCCT Power Shader Compelxity 8로 로드를 걸고 전압 변동값을 측정했다.
4. 소음 및 RPM 테스트 외부 소음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사무실 환경을 고려, AV평론가로 활동중인 황문규씨 사무실에 준비되어 있는 방음 처리된 음향실을 대관했으며 35~100dB까지 측정할 수 있는 TES사의 TES1350A 사운드 레벨 미터기를 사용했다. 일체의 소음도 없는 상태의 음향실 소음도는 TES1350A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 수치인 35dB를 기록했으며 사운드 레벨 미터기의 측정 범위를 넘어갈 만큼 방음 시설은 우수했다. RPM 측정은 손쉽게 구할 수 있는 CEM AT-8 계측기를 사용했다.
소음과 rpm 측정은 25cm 간격을 두고 측정했으며, 모든 파워 서플라이는 사전에 팬그릴을 제거하고 rpm 측정을 위한 발광 스티커를 부착해 진행했다.
5. 가격 비교
제품 판매 가격은 선택 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에 가격차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다나와 현금 최저가격과 카드 최저 가격을 비교했다. |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일정
2025년
07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