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퍼런스 그래픽카드, 이엠텍 제논 GTX 670 대부분의 엔비디아 혹은 AMD 그래픽카드는 GPU 제조사가 기준으로 만든 소위 "레퍼런스" 제품과 그래픽카드를 생산하는 업체에서 자체적인 설계를 통해 만든 "비 레퍼런스" 제품으로 분류가 된다. 실제 브레인박스 처럼 정확한 정보를 주기 위한 미디어에서는 레퍼런스가 해당 그래픽카드의 정확한 성능을 측정하는데 즉, 경쟁되는 제품과 상, 하위 스펙 제품들과 비교를 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제품이다. 하지만 실제 필드에서는 레퍼런스 제품보다는 비 레퍼런스 제품이 주력이 되거나 유저들의 선호도가 높은데, 이는 오버클럭킹 외에도 쿨러 및 각 제조사들의 독특한 기술로 인해 완전히 다른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오늘 소개될 제품은 (주)이엠텍아이앤씨에서 내 놓은 레퍼런스 형태의 지포스 GTX 670 이다.
GPUZ를 통해 확인해 본, 지포스 GTX 670의 정보이다. 현재 GTX 690과 GTX670 이 베타 버전인 드라이버 301.33 에서 정상 작동한다. 아직 정식 버전이 출시가 되지 않았지만 엔비디아에서 밀고 있는 블리자드의 디아블로3 를 출시가 있기 때문에 이번 달 중에 정식 버전이 나오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자, 이제 (주)이엠텍아이앤씨의 지포스 GTX 670 를 살펴보도록 하자. |
||||||||||||||||||||||||||||||||||||||||||||||||||||||||||
|
|
||||||||||||||||||||||||||||||||||||||||||||||||||||||||||||||||||||||||||||||||||||
5월 15일 부터 정식으로 출시될 디아블로3로 인해 많은 게이머들의 기대는 절정에 달했다. 아직 정식으로 발매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북미 서버에서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었던 0.11.0.9659 베타 버전을 통해 해당 제품의 성능을 측정해봤다. 아무래도 지포스 670 이라는 제품의 라인업을 생각할 때, 전 세대 모델인 지포스 570 성능과 비교해 보면 이해도가 빠를 것이다.
게임 옵션에서 모든 효과 그리고 안티 알리어싱까지 주어도 게임 자체가 상당히 낮은 그래픽카드에서도 원활하게 돌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게임의 화질이나 혹은 효과는 절대 떨어지지 않는다. 우선 1680 해상도에서 GTX670과 GTX570의 성능 차이는 약 10% 정도로 10여 프레임 정도 성능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GTX680, 670은 고 해상도로 갈 수록 그 진면목을 보이니 계속해서 다음 해상도에서의 결과를 보도록 하자. |
||||||||||||||||||||||||||||||||||||||||||
가장 많은 사람들이 게임을 즐기게될 1920 X 1080 에서 지포스 670의 성능을 측정해봤다. 무난하게 100 프레임 이상을 보여주는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
||||||||||||||||||||||||||||||||||||||||||
마지막 해상도인 2560X1600 에서도 무난하게 100 프레임이 넘는 수치를 보여준다. 실제 100 프레임 정도라면 디아블로3를 진행하는데 어떤 환경에서도 무리없이 게임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브레인박스에서는 디아블로3에 대한 다양한 기사를 준비해두었다. 실제 제품이 발표가 되는 5월 15일에 다양한 주제로 여러분들에게 공개해 드릴 것을 약속 드린다. |
||||||||||||||||||||||||||||||||||||||||||
낮은 소비전력, 높은 성능을 보이는 제논 GTX 670... 다음 주에 공식 출시될 디아블로3는 엔비디아가 본격적인 마케팅을 할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로 인해 케플러 기반의 차세대 GPU를 탑재한 GTX600 시리즈 외에도 현재 주력으로 판매가 되고 있는 GTX500 시리즈 역시 높은 사랑을 받을 것을 보인다. 그 점에서 볼 때 추후에 추가적으로 나올 GTX 660 이 나오기 전에 가장 저렴한 제품인 GTX 670은 다양한 게임을 즐기고 있는 혹은 즐기려 하는 게이머들에게 충분한 제품임에는 분명하다. 몇 개의 GTX 670 리뷰를 하면서 가장 많이 지적을 했던 부분이 바로 레퍼런스 제품이 갖고 있는 외형상의 허전함이다. 물론 여러 가지 테스트를 통해 해당 그래픽 카드의 성능이 우수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지만 외형상 느낄 수 있는 부분은 조금은 개선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차라리 쿨러 부분을 보다 강조하는 등의 자기 만의 색깔을 갖고 있는 제품이 보다 장점이 있을 것이다. 물론 엔비디아 레퍼런스가 이런 형태이기 때문에 조만간 제조사들의 자체 PCB를 사용한 비레퍼런스 제품이 출시가 되겠지만 그 때가 되어야 보다 본격적으로 GTX 670 시장에 대한 경쟁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