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쿨러와 성능으로 무장한, 에이수스 지포스 GTX 660 Ti 드디어 엔비디아가 GTX 600 시리즈 중에서 가장 중요한 허리 부분을 맞고 있는 퍼포먼스 시장에서 제품을 출시 하였다. 엔비디아에서 밀고 싶은 제품에 훈장 처럼 주고 있는 네이밍인 "Ti" 를 달고 강력한 퍼포먼스 제품인 GTX 660 Ti 가 바로 그것이다. 오늘 소개한 제품은 에이수스의 GTX 660 Ti로 비록 엔비디아가 정식적으로 발표한 레퍼런스 클럭인 915MHz / 980MHz로 동작하는 제품이지만 레퍼런스과 완전히 다른 존재감을 갖고 있는 에이수스의 손길을 거쳤다는 점에서 완전히 다른 제품으로 보는 것이 좋다. 그 점에서 레퍼런스 지포스 GTX 660 Ti와 얼마나 다른 특별함을 보여줄 것인지 오늘 리뷰를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하자.
|
|||||||||||||||||||||||||||||||||||||||||||||||||||||||||||
|
|
인텔의 코어 프로세서의 터보 부스트와 엔비디아의 3D 부스트는 각 제품들의 성능과 효율을 높히기 위한 기술로 그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측면에서 보면 탁월한 기술이다. 단지 조금 테스트 하는 입장에서 보면 아쉬운 점은 프로세서와 그래픽카드의 클럭이 변화는 시점이 계속 달라지기 때문에 테스트 결과의 편차가 커져 자칫 잘못된 결과를 나오게 할 수 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코어 i7 프로세서 테스트 시스템에서는 3DMark11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이 되었는데 프로세서에서 발생하는 변수를 없애기 위해 프로세서의 클럭을 4GHz로 고정하여 테스트를 진행되었다. |
||||||||||||||||||||||||||||||||||||||||||||||||||||||||||||||||||||||
테스트 세팅
전반적인 3DMark11 에서 에이수스 레퍼런스와 엔비디아 페퍼런스 모델의 스코어는 미묘한 차이이긴 하지만 레퍼런스 GTX 660 Ti 보다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부분의 대한 결과는 조금 이상한 부분이었는데, 오타라고 볼 수도 있는 작은 범위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성능 부분 즉, 상위 모델인 GTX 670 보다는 느리지만 AMD의 라데온 HD 7950 보다는 빠른 성능을 보여주는 것에는 차이가 없었다. 자, 이번 결과를 그렇다치고 본격적인 게임에서 GTX 660 Ti의 성능은 어땠을까? 다이렉트X11 기반의 게임인 배틀필드3 에서는 결과를 보도록 하자. |
||||||||||||
실제 게임에서 테스트를 위해 최근 가장 많이 판매가 되고 있는 코어 i5 3570 프로세서가 사용되었는데, 앞에서 먼저 봤던 코어 i7 990X 프로세서 처럼 클럭을 고정시키지 않고 터보 부스트를 활성화 해서 실제 사용자가 그대로 느낄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여 테스트가 이루어졌다. |
||||||||||||||||||||||||||||||||||||||||||||||||||||||||||||||||||||||||||||||||||||||
테스트 세팅
테스트 방법 캐스피안 보더는 보병을 위한 육로도 있지만 다양한 탈 것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처음 배틀필드3를 접하는 사람들이라면 적어도 한번은 경험해봤을 맵이다. 오늘 테스트는 이 맵에서 진행이 되었으며 미국 진영에서 일정 시간 정도 도보로 이동한 프레임 수치를 구했는 데, 동일한 해상도 및 설정에서 3번의 테스트를 통해 엑셀의 매디안 함수를 통해 프레임 수치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
||||||||||||||||||||||||||||||||
가장 낮은 해상도에서 지포스 GTX 660 Ti의 성능 결과는 앞에서 봤던 3DMark11 테스트 결과과 사뭇 비슷하였다. AMD HD 7000 시리즈의 최고 모델인 HD 7970 GHz 에디션과 HD 7970 의 사이에 위치하는 성능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래픽 카드의 프레임은 무려 100 프레임 이상이 나왔는데, 이 수치는 GTX 580 보다 무려 15 프레임 정도 더 좋은 결과였다.
중간 해상도인 1920X1080에서 GTX 660 Ti의 성능도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무려 90 프레임 정도의 수치를 보여주었으며 상위 모델인 GTX 670 보다는 약 17 프레임 정도 낮았으며 전 세대의 최고 제품인 GTX 580 보다는 약 17 프레임 정도 빠른 성능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고 해상도인 2560 X 1600 에서 결과는
앞선 해상도에서 90 프레임 정도 보이던 수치가 무려 반토막이 나는 상황을 보여주었다. 역시 100 프레임 이상의 수치를 보여주는 그래픽카드는 GTX 690 밖에 없었지만 우리가 흔히 이야기 하는 하이엔드 그래픽 카드의 기준이 2560X1600 해상도에서 원할한 게이밍 환경을 주는 것인데, GTX 670 이 역시 발군의 성능을 보이고 있었으며 그 뒤를 GTX 7970 이 따르고 있었다. 또한 HD 7970 GHz 에디션이 GTX 680를 바짝 쫓고 있는 모양세를 보여주었다. |
다이렉트X11 기반의 게임에서 좋은 성능을 기대... 브레인박스에서 준비한 지포스 GTX 660 Ti 출시, 기획 리뷰인 배틀필드3 로 알아본 GTX 660 Ti의 리뷰를 마쳐야할 때가 왔다. 역시 캐플러는 강했다. 올 해초, 여러 게이머들에게 사랑을 받은 그래픽 카드 그리고 배틀필드3 효과라고 불리우며 많은 숫자 판매가 되었던 GTX 560 Ti 와 오늘 출시된 GTX 660 Ti의 성능 차이를 보라.
GTX 660 Ti와 GTX 560 Ti는 무려 40 프레임 정도의 성능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 수치는 거진 두 배에 해당되는 프레임 수치로 세대가 다른 동급의 네이밍을 갖고 있는 그래픽 카드 이지만, 엔비디아의 캐플러가 다이렉트X 11에 어느 정도의 성능 향상을 보이고 있는 것인지 잘 보여주는 예가 아닐까 싶다. 다이렉트X 11 기반의 게임에서의 성능 향상은 무서울 정도로 가공할 만한 수치였다. 2560 X 1600 해상도에서는 역시 한계점을 보여... 하지만 간과해야할 점은 바로 상위 제품인 GTX 670 과의 성능 차이이다. 1920X1080 해상도에서는 GTX 660 Ti 그리고 GTX 670 모두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지만 2560 X 1600 해상도에서는 GTX 670이 60 프레임을 넘은 반면에 지포스 GTX 660 Ti는 넘지 못했다는 점에서 엔비디아가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텍스쳐 필레이드를 조절하여 "넌 퍼포먼스 그래픽 카드 이므로 2560X1600 까지 좋은 성능을 보이면 안되" 라는 가이드 라인을 잘 지킨 것 같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배틀필드3 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구입을 했던 GTX 560 Ti 는 정말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야 할 그래픽 카드임을 엔비디아가 스스로 증명한 그래픽 카드가 바로 캐플러 GTX 660 Ti 인 것 임에는 분명해 보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