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 2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게임계의 강력 파워, 온라인 게임!
그 모든 정보를 모아모아 국내 모든 온라인 게임의 각종 정보 총망라!

1996년 국내 최초로 바람의 나라가 온라인 게임계에 첫발을 내디딘지 어언 5년. 그때 당시는 단거리 종목인 PC게임의 인기가 하늘을 찔러 전 세계의 게이머들이 PC게임에 열광하던 때였다. 이때 한 선수가 나타나 외로이 뛰기 시작했다. 이름하여 바람의 나라 선수. 이 선수가 처음 달리기를 시작할 무렵, 몇몇 제작사들은 "내가 먼저 뛸려고 했는데…" 뒤늦게 무릎을 치며 그 동안 양성했던 선수들을 내보내 추격전을 시작했다. 관중석에서는 "저 선수들은 어느 종목 선수들이지?" "체력이 별로 안좋아 보이는데 끝까지 뛸 수 있을까" 등등 호기심과 의구심이 교차하는 표정을 지었다. 비록 처음에는 비인기 종목이었지만 선수들이 꽤 많아지자 관중들은 차츰 호기심을 느꼈고 관중들의 관심이 모아지자 뛰고 싶어하는 선수들도 점점 많아져 5년이 흐른 지금 마침내 마라톤 종목인 온라인 게임이 확고한 인기 종목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이 종목에는 매우 희한한 점이 있었으니 선수들이 어디 소속이며 각 선수들의 프로필을 물었을 때 이거다 저거다 딱 뿌러지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것이었다. 온라인 게임의 선구적인 잡지로서 어찌 Net POWER가 이런 상황을 좌시하리오!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는 옛사람들의 명언처럼 안타까운 현실을 참지 못한 Net POWER가 국내의 모든 온라인 업체와 국내의 모든 온라인 게임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온라인 게임, 어떤 어떤 게임들이 있나?

1996년 그래픽을 이용한 최초의 온라인 게임(MUG: Multi User Graphic) 바람의 나라가 상용서비스를 시작한지 5년이 지났다. 그 기간 동안 온라인 게임은 2000년도 매출액이 1,200억원에 달하는 거대한 산업으로 자리잡았다. 바야흐로 '게임산업'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숫자적으로도 장족의 발전을 거두어 1996년에는 바람의 나라 단 1개의 게임만 서비스되었었지만 1997년에는 다크세이버, 머그 삼국지, 영웅문 등 3개, 1998년에는 리니지, 미르의전설, 어둠의 전설 등 7개, 1999년에는 레드문, 슬레이어즈, 일랜시아 등 9개가 출시되는 등 해마다 거의 2배의 증가 추세를 보였다.

올해에는 과연 몇 개의 게임이 더 등장할 것인가?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게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게임 종류를 총망라해 보았다. 정식 서비스 중인 게임, 베타 서비스 중인 게임, 개발 중인 게임으로 나누어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들에게 특히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게이머의 입장에서 관심 있는 게임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소개 순서를 게임명을 기준으로 가나순으로 배열했다.


■ 정식 서비스 중인 게임

정식 서비스 중인 게임에 관한 정보에는 실제 게이머들이 게임을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인 이용요금, 게임의 인기도를 짐작해 볼 수 있는 동시접속자수, 미리 게임 분위기를 느껴볼 수 있는 무료이용 한계, 장르, 레벨 개념을 따르는지 스킬 개념을 따르는지의 여부, 게임 홈페이지, 제작사별로 게임문의만 전문적으로 받는 연락처 등을 중심으로 게임에 관한 정보를 소개한다. 이용요금은 다시 1달간 개인정액과 PC방 IP 1개당 요금, 분당 통신이용료로 나누어 조사했다. 단, PC방 IP 요금의 경우 2개 이상 설치했을 경우 대부분의 제작사가 할인혜택을 주는데 할인률이 제작사별로 모두 다르기 때문에 IP 1개 가격을 기준으로 했다.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현재 정식 서비스되고 있는 게임은 총 28개 게임이며 북마크의 '삼국지 온라인'과 사이어스엔터테인먼트의 '라그나돈'은 이 목록에서 제외되었다(게임 나열은 가나다순).

1. 가디우스(Godius)
제작사: 이스트엔터테인먼트
서비스일: 2000. 1. 1
개인정액: 27,500원
PC방 IP: 20,000원
분당통신료: 적용안됨
무료이용한계: 일주일(PC방은 IP 1개당 한달)
동시접속자수: 1,500명
장르: RPG
레벨or스킬: 레벨+스킬
홈페이지: www.come2east.com
게임문의처: 02-573-9598


2. 다크 세이버(Dark Saver)
제작사: 위즈게이트
서비스일: 1997. 12
개인정액: 성인 38500원/학생 27,500원
PC방 IP: 77,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시나리오 3까지
동시접속자수: 3,000명
장르: 시뮬레이션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netgame.co.kr
게임문의처: 02-3486-6447


3. 데스티니(Destiny)
제작사: 아블렉스
서비스일: 2000. 2. 21
개인정액: 22,000원
PC방 IP: 전체 IP에 220,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레벨 15까지
동시접속자수: 50명
장르: 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destiny.onlinegame.com
게임문의처: 02-6244-1000


4. 레드문(Redmoon)
제작사: JC엔터테인먼트
서비스일: 1999. 12. 3
개인정액: 35,000원
PC방 IP: 99,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레벨 5까지
동시접속자수: 3,500명
장르: 액션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redmoon.co.kr
게임문의처: diosa@joycity.co.kr/ estella@joycity.co.kr/ aurello@joycity.co.kr(서버별)


5. 리니지(Lineage)
제작사: NC소프트
서비스일: 1998. 9
개인정액: 29,700원
PC방 IP: 90,000원
분당통신료: 10원
무료이용한계: 3일간
동시접속자수: 44,000명
장르: 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lineage.co.kr
게임문의처: 02-2186-3355


6. 리얼 3D 당구 (Real 3D Carom Simulator)
제작사: 네오액
서비스일: 2000. 5. 1
개인정액: 9,900원
PC방 IP: 27,000원
분당통신료: 지원안함
무료이용한계: 30경기 레벨 80까지
동시접속자수: 700명
장르: 스포츠시뮬레이션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http://carom.neoact.com
게임문의처: carom@neoact.com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7. 마제스티(Majesty)
제작사: 팬텍네트
서비스일: 1998년초
개인정액: 49,500원
PC방 IP: 49,5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레벨 800까지
동시접속자수: 1,000명
장르: RPG
레벨or스킬: 레벨+스킬
홈페이지: www.pannet.co.kr
게임문의처: 02-485-0707


2. 다크 세이버(Dark Saver)
제작사: 액토즈
서비스일: 1998. 12
개인정액: 24,000원
PC방 IP: 30,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레벨 30까지
동시접속자수: 6,000명
장르: 판타지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lastkingdom.com
게임문의처: 02-743-8266/ 02-3672-8266/
eskapollone@actoz.com


9. 마지막 왕국 2(Last Kingdom 2)
제작사: 액토즈
서비스일: 2000. 1. 20
개인정액: 24,000원
PC방 IP: 30,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레벨 30까지
동시접속자수: 2,000명
장르: 판타지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lastkingdom.com
게임문의처: 02-3672-8267/
heroine@actoz.com


10. 머그 삼국지
제작사: 애플웨어
서비스일: 1997. 10
개인정액: 100시간 25,000원
PC방 IP: 100시간 25,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능력치에 따라 다름
동시접속자수: 200명
장르: 전략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mugsam.com
게임문의처: 02-716-3970/ 717-3970


11. 미르의 전설: 패왕전(Legend of Mir)
제작사: 웨메이드엔터테인먼트
서비스일: 1998. 11
개인정액: 20,000원
PC방 IP: 40,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레벨 10까지
동시접속자수: 2,200명
장르: 무협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mirmir.com
게임문의처: 02-926-8264


12. 바람의 나라(Nexus)
제작사: 넥슨
서비스일: 1996. 4
개인정액: 29,700원
PC방 IP: 109,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레벨 10까지
동시접속자수: 20,000명
장르: 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baram.nexon.co.kr
게임문의처: baram-help@nexon.co.kr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13. 배틀 드래곤(Battle Dragon)
제작사: 게임웍스코리아
서비스일: 1998. 8
개인정액: 무료
PC방 IP: 무료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무료
동시접속자수: 30명
장르: 액션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battledragon.com
게임문의처: 02-3424-3971


14. 샤이암: 더 서드 스피어(Shayam: The 3rd Sphere)
제작사: SK텔레콤
서비스일: 2000. 4.15
개인정액: 29,700원
PC방 IP: 75,9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가입후 3일까지
동시접속자수: 500명
장르: 액션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shayam.com
게임문의처: 02-2196-4662∼4


15. 스타체이스(Starchase)
제작사: 코디넷
서비스일: 1999. 7. 1
개인정액: 18,700원
PC방 IP: 25,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가입후 2주일까지
동시접속자수: 250명
장르: 액션아케이드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starchase.codinet.com
게임문의처: 02-3452-2093


16. 스타체이스: 파이트존(Starchase: Fight zone)
제작사: 코디넷
서비스일: 2000. 3. 2
개인정액: 무료
PC방 IP: 무료
분당통신료: 적용안됨
무료이용한계: 무료
동시접속자수: 60명
장르: 액션아케이드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fightzone.codinet.com
게임문의처: 02-3452-2093


17. 슬레이어즈(Slayers)
제작사: 태울
서비스일: 1999. 10
개인정액: 29,700원
PC방 IP: 55,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레벨 5까지
동시접속자수: 800명
장르: 액션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slayers.co.kr
게임문의처: 02-522-9009(게임팝)


18. 신세계: 천지인의 서
제작사: 아트마인드
서비스일: 1999. 10
개인정액: 12,000원
PC방 IP: 40,000원
분당통신료: 지원안함
무료이용한계: 레벨 29까지(PC방만)
동시접속자수: 120명
장르: 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artmind.co.kr
게임문의처: 031-495-9218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19. 아크메이지(Archmage)
제작사: 마리텔레콤
서비스일: 1999. 9
개인정액: 무료
PC방 IP: 무료
분당통신료: 적용안됨
무료이용한계: 없음
동시접속자수: 75,000명
장르: 전략시뮬레이션
레벨or스킬: -
홈페이지: www.archmage.co.kr
게임문의처: 02-572-4295


20. 어둠의 전설(Legend of Darkness)
제작사: 넥슨
서비스일: 1998. 1
개인정액: 29,700원
PC방 IP: 109,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레벨 10까지
동시접속자수: 8,000명
장르: 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lod.nexon.co.kr
게임문의처: lod-help@nexon.co.kr


21. 영웅문(The Lord of Heroes)
제작사: 태울
서비스일: 1997. 12. 1
개인정액: 47,300원
PC방 IP: 99,000원
분당통신료: 25원
무료이용한계: 레벨 10까지
동시접속자수: 2,000명
장르: 무협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heroes.co.kr
게임문의처: 02-522-9009(게임팝)


22. 워바이블(Warbible)
제작사: JC엔터테인먼트
서비스일: 1998. 6
개인정액: 33,000원
PC방 IP: 66,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레벨 15까지
동시접속자수: 2,500명
장르: SF액션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http://www.warbible.com/
게임문의처: warbible@joycity.co.kr


23. 일랜시아(Elancia)
제작사: 넥슨
서비스일: 1999. 7
개인정액: 29,700원
PC방 IP: 109,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능력치에 따라 다름
동시접속자수: 300명
장르: RPG
레벨or스킬: 스킬
홈페이지: www.elancia.com
게임문의처: elancia-help@nexon.co.kr


24. 조선협객전(The Hero of Chosun)
제작사: 토미스
서비스일: 1999. 6. 26
개인정액: 25,000원
PC방 IP: 55,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레벨 10까지
동시접속자수: 1,800명
장르: 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chosun.tomis.co.kr
게임문의처: 02-785-0003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25. 천년
제작사: 액토즈소프트
서비스일: 2000. 4. 20
개인정액: 20,000원
PC방 IP: 40,0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접속 후 3일까지
동시접속자수: 5,800명
장르: 무협RPG
레벨or스킬: 스킬
홈페이지: www.1000y.com
게임문의처: 02-743-6263∼4/ year1000@actoz.com


26. 퀴즈퀴즈(Quizquiz)
제작사: 넥슨
서비스일: 2000. 1
개인정액: 7,700원
PC방 IP: 16,500원
분당통신료: 20원
무료이용한계: 아이큐 60까지
동시접속자수: 7,000명
장르: 퀴즈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quizquiz.com
게임문의처: quizquiz@mplay.co.kr
(패스워드 분실)


27. 포트리스2
(Fortress 2)
제작사: CCR
서비스일: 1999. 10
개인정액: 무료
PC방 IP: 무료
분당통신료: -
무료이용한계: 무료
동시접속자수: 57,000명
장르: 슈팅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x2game.com
게임문의처: fortress@ccr.co.kr


28. 헬브레스
(Helbreath)
제작사: 시멘텍
서비스일: 1999. 10. 1
개인정액: 19,800원
PC방 IP: 49,500원
분당통신료: 적용안됨
무료이용한계: 레벨 20까지
동시접속자수: 3,500명
장르: 판타지
레벨or스킬: 레벨+스킬
홈페이지: www.helbreath.com
게임문의처: 02-3424-4582∼3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베타 서비스 중인 게임

다음은 6월 10일 현재 베타 서비스를 중인 게임이다. 대부분 베타 서비스 기간을 1개월∼3개월 정도 잡기 때문에 이 게임들은 올해 안에는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베타 서비스 중인 게임으로 2000년에 출시될 게임 수를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베타 서비스는 게임 상용화 이전에 각종 버그를 체크하거나 서버를 안정화하기 위한 일종의 테스트 기간으로 약 1개월에서 3개월 정도 서비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베타 서비스 이전에 알파 서비스부터 공개하는 경우도 많으며 베타 서비스는 다시 클로즈드 베타와 오픈 베타로 나뉜다. 클로즈드 베타란 일정한 수의 테스터를 선발해 테스터에게만 서비스하는 것으로 주로 디버깅을 위한 테스트이다. 오픈 베타는 일반 게이머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로 주로 서버가 몇 명의 동시접속자를 수용했을 때 가장 안정적인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베타 테스트를 하고 있는 게임의 특징으로는 게임 프로그램의 용량이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약 300∼400Mb 정도로 프로그램의 용량이 날로 커진다는 것은 온라인 게임이 그래픽이나 사운드 면에서 그만큼 많은 발전을 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프로그램의 대용량화에 따라 과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 형식에서 최근에는 프로그램 CD를 제작, 배포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1. 게임 에버랜드
(Game Everland)
제작사: 위즈게이트
베타서비스일: 1999. 12
동시접속자수: 600명
장르: 퓨전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http://game.everland.com
게임문의처: 02-6244-1114


2. 드래곤라자 온라인(Dragonraga Online)
제작사: 이소프넷
베타서비스일: 2000. 4. 15
동시접속자수: 800명
장르: RPG
레벨or스킬: 레벨+스킬
홈페이지: http://dr-online.rco.kr
게임문의처: 02-565-7449


3. 레가시(Legacy)
제작사: 아블렉스
베타서비스일: 2000. 1. 30
동시접속자수: 100명
장르: RPG
레벨or스킬: 스킬
홈페이지: legacy.onlinegame.com
게임문의처: 02-6244-1000


4. 보드사커
(Board Soccer)
제작사: 미켈란 코리아
베타서비스일: 2000. 4. 15
동시접속자수: 10명
장르: 시뮬레이션
레벨or스킬: 점수
홈페이지: www.boardsoccer.com
게임문의처: 02-324-2431


5. 엘리멘탈 사가(Elementalsaga)
제작사: 넥슨
베타서비스일: 2000. 3
동시접속자수: 200명
장르: 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elementalsaga.com
게임문의처: elsagm@elementalsaga.com


5. 엘리멘탈 사가(Elementalsaga)
제작사: 넷틀러
베타서비스일: 2000. 5. 8
동시접속자수: 250명
장르: 육성RPG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emailpet.com
게임문의처: webmaster@nettler.com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7. 조이시티(JoyCity)
제작사: JC엔터테인먼트
베타서비스일: 2000. 3
동시접속자수: 아직 미비
장르: 퓨전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joycity.co.kr
게임문의처: 02-3489-1199


8. 카페 9(Cafe 9)
제작사: 오즈 인터미디어
베타서비스일: 2000.1.1
동시접속자수: 4,500명
장르: 가상현실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cafe9.com
게임문의처: 02-3469-1050


9. 택티컬 커맨더스
(Tactical Commanders)
제작사: 넥슨
베타서비스일: 1999. 8
동시접속자수: 400명
장르: 전략시뮬레이션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tcommanders.com
게임문의처: tcs@nexon.co.kr


10. 택틱스 머시너리(Tactics Mercenary)
제작사: 팬텍네트
베타서비스일: 1999. 3
동시접속자수: 100명
장르: 슈팅
레벨or스킬: 점수
홈페이지: http://www.pannet.co.kr/
게임문의처: 02-485-0707


11. 트윈헥사
(Twin Hexa)
제작사: CCR
베타서비스일: 2000. 2
동시접속자수: 250명
장르: 퍼즐
레벨or스킬: 레벨
홈페이지: www.x2game.co.kr
게임문의처: 02-755-1133


12. 판타지 포 유(Fantasy for You)
제작사: 이야기@@@@@@
베타서비스일: 2000. 5
동시접속자수: 2,000명
장르: 액션RPG
레벨or스킬: 레벨+스킬
홈페이지: http://web.f4u.co.kr
게임문의처: support@f4u.co.kr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현재 개발중인 게임

1998년을 기점으로 계속되고 있는 온라인 게임의 호황으로 많은 제작사와 유통사들이 온라인 게임 제작에 뛰어들고 있다. 여기에는 리니지 하나만을 단일 서비스하고 있는 NC소프트가 1년여만에 총매출 65억원, 그중 35억원의 순이익을 올린 사실이 기폭제가 되었으며 이러한 NC소프트의 성공적인 도약에 희망을 건 많은 신생 업체들이 온라인 게임쪽으로 몰리고 있다. 또 하나의 이유는 국내 PC게임 시장의 불황을 들 수 있다. 또한 PC게임 산업의 고질적인 문제인 불법복사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되므로 PC게임보다는 온라인 게임 제작쪽으로 선회하는 경향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 게임은 앞서 살펴보았듯이 평균 제작비가 5억에서 10억 정도 들기 때문에 영세업체들은 제작비를 감당하기가 쉽지 않으며 또한 서버의 안정성이 게임 성공의 관건이기 때문에 특별한 서버 운영 노하우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게임 열풍은 나날이 뜨거워져 현재 많은 게임들이 제작되고 있다.


제작사 게임명 베타예정일 장르 홈페이지
나스정보기술 유레스 6월말 전략 www.ures.co.kr
넷틀러 메르카바 10월 RPG 없음
뉴톤미디어 모노리스 7월 SF
전략
2202-4770
마리텔레콤 아크메이지: 스타뱃 마테르
아크스페이스
6월중순

8월
전략 www.stabatmater.co.kr www.archspace.co.kr
메트로텍 다크에덴 6월 15일 전략+
호러
www.darkeden.com
손노리 강철제국 온라인
포가튼사가 온라인
12월

12월
전략 RPG www.sonnori.co.kr www.wzsoft.com
CCR 마에스트로 미정 RPG 없음
아발론 흑우 10월 RPG www.avalon.co.kr
아이소프트 아타나이사 조사 조사 www.athanasia.com
애플웨어 머그 삼국지: 리믹스 8월중순 전략 www.mugsam.com
위메이드 미르의 전설 2 6월 20일 무협 www.hero.wemade.com
위즈게이트/ 아일소프트 소마신화전기 6월말 RPG www.netsoma.com
유즈드림 용비불패
추 더 리퍼
8월
8월
RPG RPG www.uzdream.com www.uzdream.com
이소프넷 N.Age 2001. 3 RPG 없음
이스트 가디붐 미정 액션아케이드 없음
인터코리아앤모야 리뉴얼 8월 SF renewal.moya.net
KRG소프트 드로이얀 2 온라인
열혈강호
8월
12월
RPG RPG www.krgsoft.co.kr www.krgsoft.co.kr
코디넷 스타체이스: 어썰트 6월중 액션아케이드 assult.codenet.com
태울 메크로드
신영웅문
12월
8월
액션 무협 없음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제작사 게임명
넥슨 비트댄스
더존 네트워크 에테르
유즈드림 사이버 아시아드
아이돔넷 EX러브
애니미디어 리볼버 1774
NC소프트 리니지 2
인터코리아앤모야 사무라이 온라인
토미스 월광
트리거소프트 퇴마전설 2 온라인
한빛소프트 왕건

이 자료에 의하면 기존 온라인 게임 제작업체였던 NC소프트, 넥슨, 태울, JC엔터테인먼트, 넷틀러, 애플웨어, CCR, 코디넷, 마리텔레콤, 토미스 외에 메트로텍, 인터코리아앤모야, 밀레니엄소프트, 유즈드림, 아이소프트, 나스정보기술, 아이돔넷 등 신생 업체들이 많이 등장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PC게임 업체들의 진출도 눈에 띄는데 역시 엄청난 제작비와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하기 때문에 한빛소프트나 트리거소프트, 애니미디어, 손노리, KRG소프트 등 PC게임 업체 중 큰 규모의 업체들이 주로 진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장르가 다양해진 점도 주목할 만하다. 기존 온라인 게임들이 롤플레잉 중심이었던데 반해 액션, 전략, 호러, 무협, 퓨전 등 롤플레잉에 또 다른 장르를 가미한 다양한 장르가 등장하고 있다. 이는 상용 서비스되고 있는 게임들 중 인기를 끌고 있는 게임들이 주로 RPG 장르이기 때문에 비슷한 장르로 승부를 걸기에는 후발업체들의 데미지가 크기 때문이겠지만 게이머들이 보다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기회의 폭이 넓어졌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추세라고 생각된다.

연도별로 본 온라인 게임 출시 개수

다음은 현재 정식 서비스 중인 게임을 출시된 연도별로 정리한 것이다. 해마다 몇 개의 게임이 새로 나왔는지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게이머들의 게임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얼마나 넓어졌는지를 알기 위해 누적된 표도 함께 작성하였다. 아래 표를 보면 1996년 바람의 나라로 시작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가 1997년에는 3개 타이틀로 늘어났으며 1998년부터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에 힘입어 1999년에는 9개의 타이틀이 발표되었으며 1999년을 기점으로 매출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올해는 아직 상반기가 채 지나지 않았는데도 8개 타이틀이 나와 올해말까지는 20여개 이상의 게임이 새로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르면에서는 최근 베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들이 다양한 장르의 분화를 시도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정식서비스 중인 온라인 게임은 단연 RPG 장르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연도별로 본 온라인 게임 출시 개수]





[장르별 분포수]-정식 서비스 중인 게임을 기준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온라인 게임 개발사 현황 - 1

업체명 서비스 게임명 제작인원 운영인원 해외진출 계획
게임웍스코리아 정식 배틀 드래곤 11 3 대만
  베타 배틀 드래곤 2 - - -
나스정보기술 개발중 유레스 12 - 없음
네오액트 정식 리얼 3D 당구 10 3 미국
넥슨 정식 바람의 나라 46 70 미국, 일본
  정식 어둠의 전설 - - 미국, 일본, 프랑스, 싱가폴
  정식 일랜시아 - - 일본
  정식 퀴즈퀴즈 - - 일본
  베타 엘리멘탈 사가 - - 일본
  베타 택티컬 커맨더스 - - 미국, 프랑스, 일본
  개발중 비트 댄스 - - -
넷틀러 베타 이메일펫 8 - 미국, 일본
  개발중 메르카바 - - -
뉴톤미디어 개발중 모노리스 - - -
더존 네트워크 개발중 에테르 - - -
마리텔레콤 정식 아크메이지 39 6 미국
  개발중 아크메이지: 스타뱃 마테르 - - -
  개발중 아크스페이스 - - -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온라인 게임 개발사 현황 - 2

업체명 서비스 게임명 제작인원 운영인원 해외진출 계획
메트로텍 개발중 다크 에덴 30   미국, 일본
미켈란코리아 베타 보드 사커 ? - -
손노리 개발중 강철제국 온라인 10 - -
시멘텍 정식 헬브레스 15 7 미국, 유럽, 대만, 중국
CCR 정식 포트리스2 29 7 미국, 일본, 중국 예정
  베타 트윈 헥사 - - 없음
  개발중 마에스트로 - - 미국, 일본
아발론 개발중 흑우 14 - -
아블렉스 정식 데스티니 - 10 동유럽(불가리아, 루마니아)
  베타 레가시 - - 미정
아이돔넷 개발중 EX러브 15 - 대만
아이소프트 개발중 아타나시아 20 - 미국
아트마인드 정식 신세계: 천지인의 서 6 없음 없음
애니미디어 개발중 리볼버 1774 - - -
애플웨어 정식 머그 삼국지 확인불가 - 일본서비스중
  개발중 머그 삼국지: 리믹스 16 - 일본, 미국
액토즈 정식 마지막 왕국 1 6 5 미국
  정식 마지막 왕국 2 10 3 없음
  정식 천년 11 8 대만
SK텔레콤 정식 샤이암: 더 서드 스피어 15 12 -
NC소프트 정식 리니지 23 43 미국, 대만
오즈엔터테인먼트 베타 카페 9 30 - 일본, 미국
위메이드 정식 미르의 전설: 패왕전 21 8 없음
  개발중 미르의 전설 2 - - 없음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온라인 게임 개발사 현황 - 3

업체명 서비스 게임명 제작인원 운영인원 해외진출 계획
위즈게이트(구메닉스) 정식 다크세이버 20명 12명 대만, 중국, 일본
  베타 게임 에버랜드 - - -
  개발중 소마신화전기 - - -
  개발중 드로이얀 2 온라인 - - -
유즈드림 개발중 사이버 아시아드 30 - 비공개
  개발중 용비불패 - - 비공개
  개발중 추 더 리퍼 - - 비공개
이소프넷 베타 드래곤라자 30+? 7 없음
  개발중 N.Age - - -
이스트 정식 가디우스 15 15 대만, 일본예정
  개발중 가디붐(기획중) - - -
이야기 베타 판타지포유 12 5 대만, 일본, 미국
인터코리아앤모야 개발중 리뉴얼 35 10 대만, 미국
  개발중 사무라이 온라인(기획중) - - -
JC엔터테인먼트 정식 영웅문 36 자회사 대만
  정식 슬레이어즈 - 게임팝 미국, 대만, 일본
  개발중 영웅문 2(가제) - - -
  개발중 메크로드 - - -
토미스 정식 조선협객전 9+? 6 없음
  개발중 월광(기획중) - - -
트리거소프트 개발중 퇴마전설 2 온라인 - - -
팩텍네트 정식 마제스티 13 8 일본, 미국
  베타 택틱스 머서너리 - - 없음
한빛소프트 개발중 왕건(기획중) - -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온라인 게임 제작과 운영에 얼만큼의 투자가 필요한가?

온라인 게임은 일반적으로 PC게임에 비해 개발비,운영비가 많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과연 하나의 온라인 게임을 만들려면 몇명의 인원이 얼마 동안 투입되며 제작비는 어느 정도 들어가는가? 또한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운영자를 두고 지속적인 사후 관리를 하게 되는데 인력은 평균 몇명인지 조사해 보았다.

아래 표 중 무응답으로 표시된 부분은 제작사의 사정상 비공개 처리된 부분이다.

[제작기간]-무응답:2개(7.15%)




[제작자수]-무응답:3개(10.7%)




[제작비]-무응답:11개(39.3%)

설문에 응한 업체 :13개 -토미스,코디넷,네오액트,태울,액토즈,NC소프트,위메이드 엔터테인먼트,이스트,JC엔터테인먼트,위즈메이즈,마리텔레콤,시멘텍,펜펙네트




[운영자수]-무응담:2개(7.1%) 자회사가 운영:2개(7.1%)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해외에 진출할 것이냐, 외국 게임에 먹힐 것이냐 ?

온라인 게임의 시장의 열기는 해외쪽도 만만치가 않다. 해외 온라인 게임시장 역시 울티마 온라인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넓혀지고 있는 상태이다. 97년 울티마 온라인이 처음 서비스되었을 때 가입자수가 10,000명이 되지 않았으나 현재 16만명을 넘어섰고 차세대 온라인 게임으로 불리우는 에버퀘스트는 가입자수가 21만명을 돌파한 상태이다. 또한 전세계적인 온라인 게임 개발사도 미국을 벗어나 프랑스, 루마니아 등 북유럽 등지에서 제작되고 있으며 남미쪽에서도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군다나 아시아쪽에서는 대만정부가 지난 2월 IP사업에 대한 법적 제재완화를 발표함으로써 상당히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에 유입되는 해외 온라인 게임의 강세도 만만치가 않다.

현재 국내에 수입돼 유통되거나 유통예정인 게임은 울티마 온라인, 애쉬론즈 콜, 에베 퀘스트 등이다. 울티마 온라인의 경우 한글화와 함께 그 인기가 꾸준히 늘고 있어 국내 가입자들을 위한 샤드(서버)를 오리진측에 만들정도로 울티마 온라인의 인구수는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이후 국내에 유통될 에버퀘스트나 애쉬론즈 콜 역시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국내 온라인 게임들이 압도적으로 우세 속에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게임이 바로 NC소프트의 리니지. 리니지는 전체 가입자수가 6월 현재 300만명을 돌파했으며 동시사용자 수도 평균 3만명, 최고 4만 5천명을 웃돌아 타의 추종을 불허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바람의 나라', '어둠의 전설', '영웅문', '다크세이버' 등 각양각색의 온라인 게임들이 선보이면서 아직까지는 국내 온라인 게임들이 우세승을 거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온라인 게임의 관건이 게이머간 커뮤니티인 만큼 언어와 정서의 공유가 쉬운 국산 게임이 각광을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98년 SI업체로 인식되어 왔던 NC소프트의 리니지 게임매출 급속적인 성장은 온라인 게임 개발사뿐 아니라 일반 PC시장에도 크게 어필해 기존 PC 게임 개발사들도 온라인 게임개발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문제점은 많이 남아있다. 현재 국내 온라인 게임들은 대부분이 국내 게이머들의 입맛에 맞는 게임만을 주력하고 있을 뿐 해외 진출쪽에는 아직 미비한 상태라는 점이다. 아무리 국내 시장이 넓다해도 그 한계는 나타나게 될 것이고 현재와 같이 우후죽순처럼 온라인 게임 개발사들이 대거 참여하게 된다면 결국 국내 게임 개발사들이 제살을 깍아먹는 경쟁이 될 것이고 풍부한 자본과 기술력이 지닌 해외 유수 게임 개발사들이 국내 시장으로 눈을 돌리게 된다면 상황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될 것이다.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국내 온라인 게임의 해외 진출은 어떠한가?

99년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국내 온라인 게임의 해외 진출은 상당히 미비했다. 99년 한해동안에 해외에 수출한 온라인 게임개발사는 NC소프트와 넥슨, 애플웨어 3곳뿐일 정도로 국내 온라인 게임의 해외진출은 어두웠다. 반면 올해부터는 국내 온라인 게임의 해외진출의 강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 개발사들은 미국이나 일본 등지에 진출을 모색하거나 이미 진출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지난 2월부터 대만의 IP사업이 완화되면서 국내 온라인 게임들이 대거 대만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눈에 띄게 많아졌다. NC소프트의 경우 지난 2월 22일 대만의 감마니아 인터렉티브와 서비스 계약 체결후 6월말 현재 베타서비스를 앞두고 있으며 SK텔레콤의 샤이암, 이스트의 가디우스, 시멘텍의 헬브레스 등이 진출을 앞두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넥슨, NC소프트, 시멘텍, 애플웨어 등이 미국, 중남미, 싱가포르 등 전세계각지로 진출할 예정으로 국내 온라인 게임 산업의 전망을 상당히 밝게 하고 있다.


<해외온라인게임의 국내 진출 현황>

게임명 해외제작사 국내유통사 유통시기와 일정
울티마 온라인 오리진 EA코리아 999년 상반기 유통시작
포스 커밍 빌컴 위즈게이트 현재 베타서비스중
에버퀘스트 버런트 한빛소프트 2000년 하반기 예정
에쉬론즈 콜 터바인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출시중
섭스페이스 버진 미정 해외 베타서비스중
아케인 온라인 사이오닉스 사이오닉스 2001년 상반기 예정
울티마 온라인 2 오리진 EA코리아 2001년 상반기 예정
쉐도우 밴 울프팩스튜디오 미정 2000년 하반기 예정
포트리스 텔레스 컴 미정 2001년 상반기 예정
아나키 온라인 펀컴 미정 2001년 상반기 예정


<국내 온라인게임 해외 진출 현황>- 해외 진출 중이거나 진출 예정인 게임 포함한 것임





여기에 모든 정보를 담았다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국내 온라인 게임의 현주소

국내 온라인 게임은 국내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서서히 인정받고 있어 국가 기간 산업의 한 기둥으로서 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온라인 게임 개발사들의 안일한 대처와 온라인 게임심의가 문제이다. 국내 온라인 게임은 현재 30여개가 넘게 서비스되고 있지만 일반 사용자들의 게임에 대한 만족도는 상당히 낮다고 평가받는다. 그 이유는 게임의 재미나 완성도를 떠나 차후 서비스, 즉 게임 운영방식에 대해 이용자는 상당한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특히 게임의 불안정한 게임 서비스, 빈번한 업그레이드, 잦은 게임 끊김(일명 렉 현상) 현상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불만의 소리를 높여가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설상가상으로 국내 온라인 게임 심의가 게임 개발사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현재 국내 온라인 게임 심의는 지난 4월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서 영상물 등급위원회로 이전됐지만 아직도 많은 온라인 게임개발사들은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서 심의를 받고 또 영상물 등급위원회에서 다시 심의를 받는 2중 심의를 받는 형편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현재 온라인 게임 심의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근거법규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정보통신 윤리위원회에 온라인 게임 심의에 관한 법률은 전기통신법에 근거에서 심의가 이루어지며 기타 제제법률같은 경우는 형법, 청소년보호법 등 여기저기서 빌려 심의가 이루지고 형편이다.

또한 차후에 온라인 게임 심의를 맡게될 영상물 등급 위원회의 온라인 게임 심의법규도 마찬가지이다. 현재 영상물 등급위원회에 온라인 게임을 담당하게 됐다고는 하지만 온라인 게임 심의를 할만한 관련 법규가 없다. 현재로서는 '음반·비디오 및 게임물에 관한 법률'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이 법률 역시 온라인 게임 심의에 대한 구체적인 법률안이 없는 형편이다. 이런 관련 법규의 미비로 인해 생기는 문제는 지난 5월 25일 열렸던 리니지에 대한 재심의였다. 이미 97년에 '적합'판정을 받았던 NC소프트의 리니지는 사이버 민원에 탄원이 밀려들자 다시 재심의를 받아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다. 따라서 국내 온라인 게임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국내 게임 개발사들의 확실한 개발 의욕과 서비스 정신이 필요하고 여기에 국내 온라인 게임 심의 법안을 확실히 갖추어만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