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2002년도 비디오게임 타이틀 얼마나 팔렸나?

/ 2

2002년도 비디오게임 타이틀 얼마나 팔렸나?

2002년 2월 22일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코리아(이하 SCEK)가 국내 비디오게임 시장에 대한 진출을 공식적으로 선언하고 포문을 연 지도 근 일년이다. 그동안 음성적으로 거래되던 비디오게임을 양지로 끌어내어 많은 국내 게이머들의 기대와 환영을 받았다. 현재 국내의 비디오게임은 플레이스테이션 2와 X 박스, 게임큐브가 모두 진출해 있는 상태이며 선의의 경쟁에 따라 앞으로는 더 많은 양질의 게임이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2002년 한 해 동안 국내에 팔린 비디오게임은 얼마나 될까? 일단 X 박스와 게임큐브는 국내에 정식으로 발매된 시점에서 채 한달이 넘지 않았기 때문에 제외한다면 결국은 플레이스테이션 2에 국한될 수 밖에 없다.

SCEK에서 추산하는 플레이스테이션 2의 국내 보급량은 일본 밀수품을 합쳐 대략 45만여대 수준. 이 수치는 주변기기와 대작 타이틀이 발매되었을 때 판매되는 비율로 추산한 것이며 일본을 비롯하여 다른 나라에서도 유사한 비율을 보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근거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제 음성적인 거래는 그만하자

판매 1위는 철권 태그 토너먼트

2002년도에 가장 많이 팔린 비디오게임은 철권 태그 토너먼트로 판명되었다. 철권 태그 토너먼트는 약 7만장(2002년 12월 31일 기준)이 넘게 팔린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모든 타이틀을 통틀어 가장 많이 팔린 게임이다. 이에 대해 SCEK의 관계자는 “타이틀 자체의 유명세도 있지만 패키지 형태의 판매도 많이 이뤄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즉, 최초로 플레이스테이션 2를 구입할 때 동시에 구입을 하는 타이틀로는 철권 태그 토너먼트가 가장 많으며 각종 쇼핑몰과 판매점에서 제공하는 철권 태그 토너먼트 동봉 패키지의 선호도가 높다는 의미다.

철권 태그 토너먼트의 뒤를 이어 판매 2위를 차지한 것도 역시 철권 시리즈인 철권 4. 철권 4의 경우 약 6만 7천장(2002년 12월 31일 기준)이 팔린 것으로 조사되었다. 게다가 철권 4는 작년 7월 1일 출시되었기 때문에 철권 태그 토너먼트에 비해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적을 기록한 것이며 현재도 철권 4의 인기는 굉장히 높다. 1위와 2위가 모두 대전 액션게임임을 감안하면 국내 게이머들의 성향이 치고 받고 싸우는 것을 가장 좋아한다는 말인가?

1위를 차지한 철권 태그 토너먼트의 당당한 모습

3위는 6만 3천여장이 판매된 그란투리스모 컨셉 2002 도쿄-서울(이하 그란투리스모 컨셉)로 판명됐다. 그란투리스모 컨셉은 원래 그란투리스모 3 A-spec에서 아케이드 요소만 삽입한 일종의 라이트 버전. 하지만 그란투리스모 컨셉으로도 그 명성에 걸맞는 진정한 레이싱의 맛과 느낌을 담아냈기 때문에 국내 게이머들의 선호도가 높은 편이었다. 또한 일본어를 잘 모르면 제대로 된 게임을 즐기기 힘든 원작보다 한글화된 그란투리스모 컨셉에 손이 더 가는 것도 당연지사. 또한 SCEK에서도 그란투리스모 컨셉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실시했기 때문에 높은 판매량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2002년도 비디오게임 타이틀 얼마나 팔렸나?

2002년도 비디오게임 타이틀 판매량 4위는 코에이코리아에서 작년 8월 8일 출시한 진삼국무쌍 2이다. 진삼국무쌍 2의 경우는 일본판으로 플레이한 게이머들의 입소문에 의해 국내 정식 발매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타이틀이었다. 일본에서 출시된 시기는 무려 2001년 9월이었고 가격 또한 다른 타이틀에 비해 높은 편이었으나 현재까지도 꾸준한 판매가 이뤄지고 있는 게임 중의 하나다. 이는 게임 자체에 대한 인기와 함께 음성까지 모두 포함한 한글화가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진삼국무쌍 2는 총 5만 2천여장이 판매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 뒤를 잇는 타이틀은 파이날 판타지 10과 귀무자 2, 반지의 제왕: 두개의 탑(이하 반지의 제왕). 각각 5만여장이 판매되었다. 허나 이들 타이틀은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진다. 우선 발매 시기의 차이다. 파이날 판타지 10은 2002년 6월 5일 출시되었으며 귀무자 2는 7월 5일, 반지의 제왕은 11월 12일 국내에 출시되었다. 반지의 제왕을 제외하면 일본에서 출시됨과 동시에 해외산 버전들이 국내에서도 활발한 판매가 이뤄진 것들이다. 따라서 늦은 국내 발매가 더욱 많은 판매를 막은 형국이며 특히 파이날 판타지 10의 경우는 영문버전을 그대로 국내에 출시하는 오류를 범해 플레이스테이션 2 최고의 게임이라는 명예를 무색하게 만들고 말았다. 게임성과 작품성을 떠나 반지의 제왕과 비교해 볼 때 한글화와 발매 시점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수 있는 부분이다.

파이날 판타지 10은 판매량 면에서 대표적인 국내 출시 실패의 예

데빌 메이 크라이와 메탈 기어 솔리드도 이와 유사한 경우. 데빌 메이 크라이는 2001년 8월 23일 일본에서 출시되어 세계적으로 200만장이 넘는 판매고를 올렸으나 국내에서는 플레이스테이션 2와 동시에 발매되어 약 4만 7천여장 판매에 그쳤다. 역시 마찬가지로 발매시기가 늦었던 점과 한글화가 이뤄지지 않았던 요인이 더 많은 인기를 끌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코코캡콤은 데빌 메이 크라이 2를 준비 중이며 한글화와 함께 한미일 동시 발매를 계획하고 있어 많은 기대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4만 7천장이 판매된 메탈 기어 솔리드의 경우도 데빌 메이 크라이와 유사하다. 국내 유통사인 유니아나는 판매량에 기대에 훨씬 못미침에 따라 향후 코나미의 비디오게임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가 곤란한 상황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외에 2~3만여장이 판매된 타이틀은 귀무자(3만), 피파 월드컵 2002(2만), SSX 트리키(2만), 모두의 골프 3(2만 3천), 건그레이브(2만 1천) 등이 있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타이틀들은 대부분 1만장을 넘지 못하거나 약간 상회하는 정도이며 공개하기가 힘든 수준의 게임도 있다.

어느 정도 인기가 있었던 기타루맨. 그러나 판매량은 9천장


2002년도 비디오게임 타이틀 얼마나 팔렸나?

비디오게임기 본체 보급률이 관건

서울 용산 소매점의 한 관계자는 “현재는 비디오게임이 PC게임보다도 판매가 힘든 상황으로 먹고 사는 것이 걱정”이라고 말하며 “플레이스테이션 2 본체가 100만대는 보급돼야 비디오게임 소매점에서 안정적인 매매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유통사들도 “한글화나 가격 등 게이머들의 요구를 맞추고 싶지만 판매량이 적어 힘든 상황”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으며 “비디오게임 시장이 활성화되고 높은 수준의 퀄리티를 위해서는 본체의 보급률이 더욱 확대되어야만 한다”고 토로하고 있다. 실제로도 일본 캡콤의 관계자는 한글화나 동시발매의 경우는 최소 10만장 팔린다는 보장이 필요하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글화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3~5만장 수준은 곤란하다는 것이 일본 업체들의 공통된 입장이라는 것. 불법 복제와 일본판을 구입하지 말고 정식 발매된 국내판을 구입해달라는 것도 모두 이런 이유에 기인한다.

소매점 : 현재 타이틀 판매량으로는 먹고 살기 힘들어요

한글화와 동시 발매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데빌 메이 크라이 2

결국 모든 무게는 플레이스테이션 2를 국내에 보급하고 있는 SCEK로 쏠린다. 본체가 보급되지 않으면 아무리 양질의 게임이라도 많이 팔릴 수가 없는 것. 또한 SCEK도 이를 잘 이해하고 다양한 사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기에 현재 거론되고 있는 플스방도 그 대안이 될 수 있는데 국내 게임산업과 인터넷을 이끌었던 PC방처럼 플스방의 붐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또한 2003년에는 X 박스와 게임큐브도 보다 많은 보급을 통해 선의 경쟁과 시장 개척에 협력을 기울였으면 한다.

-2002년 비디오게임 판매 순위(12월 기준)

판매순위
타이틀
판매량(단위 : 개)
1
 철권 태그 토너먼트
70,000
2
 철권 4
67,000
3
 그란투리스모 컨셉 2002 서울--도쿄
63,000
4
 진 삼국무쌍 2
52,000
5
 파이날 판타지 10
50,000
5
 반지의 제왕 : 두개의 탑
50,000
5
 귀무자 2
50,000
6
 메탈 기어 솔리드 2
47,000
6
 데빌 메이 크라이
47,000
7
 귀무자
30,000
8
 모두의 골프 3
23,000
9
 건 그레이브
21,000
10
 피파 월드컵 2002
20,000
10
 SSX 트리키
20,000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