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3장 윈도우와 관련된 FAQ - 1회 Q: 동영상 재생이 안되네요. 어떻게 해야 하죠? A: 관련 코덱이 설치되지 않아서입니다. 통합 코덱을 설치해보세요 코덱이란 일종의 압축 해제기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압축을 하지 않은 순수한 음원, 영상 데이터는 크기가 엄청나게 클 수밖에 없지요. 여기서 사람이 감지할 수 없는 부분을 제거하고 압축을 시킨 파일이 요즘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 Mpeg4, DivX 등이죠. 이걸 풀어줄 수 있는 코덱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컴퓨터는 해당 영상을 인식할 수 없습니다.
Winzip이 설치되어야 Zip 압축파일을 풀 수 있듯이 말이죠. 보통 근래에 업데이트 되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는 대부분의 코덱이 설치되어 있지만 새롭게 등장하는 압축방식 때문에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동영상 화면이 뒤집혀서 나오는 증상 역시 구버전의 코덱이 파일형식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서입니다.
|
▶ 제 3장 윈도우와 관련된 FAQ - 1회 Q: 언제부턴가 CD 자동인식이 안됩니다 A: 시디 자동 인식 체크를 확인해 보세요
체크가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CD의 자동인식이 안된다면
|
▶ 제 3장 윈도우와 관련된 FAQ - 1회 Q: 파란 화면이 너무 자꾸 떠요 A: 다음과 같은 항목을 체크해 보자구요 ① CPU의 온도체크 파워업 자료실에 등록되어 있는 CPU 온도체크 프로그램으로 CPU의 현재 온도를 측정해 봅니다. 혹시 오버클러킹을 하신건가요? 아니면 쿨링팬에 먼지가 많이 낀 건 아닌지 확인해 보세요. CPU의 온도가 약 60도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기 시작합니다. 때문에 윈도우가 처리해야 할 작업을 처리하지 못해 다운되는 증상이 일어나지요. 오버클럭 이후 자꾸 다운되는 현상이 일어난다면 다시 정상의 클럭으로 전환하셔야 합니다. 오버클럭을 한 경우가 아니라면 쿨러를 빼내 먼지를 닦아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② 하드웨어의 충돌문제 윈도우 9X/ME 버전에서는 하드웨어의 특정 인터럽트 충돌에 의한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 편입니다. 대략적으로 드라이버가 잘못 설치되거나, 시스템자원(IRQ, Address, DMA 등)이 충돌해서 다운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죠. 우선 하드웨어 동의보감 2장의 사운드카드 충돌관련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판-시스템-장치관리자를 열어봅니다.
|
▶ 제 3장 윈도우와 관련된 FAQ - 1회 Q: 자신의 IP주소는 어떻게 확인하죠? A: 운영체제별로 확인방법이 다릅니다 배틀넷 등의 서버를 운용하지 않는 게임의 경우 직접 서버를 개설하여 클라이언트쪽에서 IP 주소를 입력하여 즐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서버측의 IP 주소를 알 수가 없다면 복장이 터지는 일이겠지요? * IP주소 확인방법 - 윈도우 9X/ME
* IP주소 확인방법 - 윈도우 2000/NT 계열 ① 윈도우 9X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행(R)’창을 띄운 뒤 ② 'ipconfig'를 입력합니다 ③ 그럼 윈도우 9X버전의 확인방법과 같이 자신의 IP주소가 나타나죠 |
▶ 제 3장 윈도우와 관련된 FAQ - 1회 Q: 왜 하드디스크 조각모음이 끝도 없이 실행되죠? A: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모두 닫아야합니다 하드디스크 조각모음은 실행 중 다른 프로그램 모두 닫아두고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각모음 중 고유의 메모리 영역이 침범되거나 하드디스크의 파일 위치가 바뀌면 모든 동작을 중단하고 처음부터 작업을 다시 시작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잠자기 전 조각모음을 실행해두고 아침에 일어나 5% 작업처리에 머물러 있는 화면을 보면서 경악하는 게이머들이 많은 편입니다 ^^
특히 트레이창에 떠 있는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V3 백신 등)의 경우 주기적으로 컴퓨터를 점검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조각모음을 실행하기 전엔 반드시 닫아두어야 합니다. 타이머로 동작하는 화면 보호기 역시 기능을 해제합니다. 그래도 계속 조각모음이 반복되는 현상이 일어난다면 ‘안전모드’로 부팅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 제 3장 윈도우와 관련된 FAQ - 1회 Q: 윈도우 종료가 안돼요 A: 하드디스크 관련 정보를 알아봅시다
① 하드디스크 IDE 설정 체크
② 업데이트 방식으로 윈도우를 설치했을 경우 윈도우 출시 이전의 프로그램과 충돌 문제 때문에 종료가 안될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윈도우 95시절(약 1995년에서 1997년 사이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 레지스트리 부분에서 자료가 엉키는 경우가 많죠. 이럴 땐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하고 파워업 자료실에서 레지스트리 정리기를 받아 시스템을 안정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③ 노트북에서 윈도우 종료가 안될 경우 항상 자동으로 파워가 꺼지던 시스템이 XP 업데이트 후 AT 보드처럼 수동 전원 차단방식으로 바뀌게 되었다면 전원옵션을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① 제어판의 전원옵션을 열고 ② apm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legacy battery' 하드웨어가 설치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 제 3장 윈도우와 관련된 FAQ - 1회 Q: 메신저에서 파일 보내기/받기가 안되요 A: 방화벽 문제 때문입니다 특히 XP 인스톨 후 자동으로 설정에 체크가 되는 ‘방화벽’ 때문에 메신저나 소리바다 등의 P2P 방식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땐… 네트워크 연결 - 속성 - 고급 선택 후 ‘인터넷 연결 방화벽의 체크’를 해제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Q: 대체 Kernel32.dll 에러가 뭔가요? A: 윈도우 시스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DLL 파일입니다 어떤 프로그램은 설치나 제거시 kernel32.dll 파일을 임의로 바꿔버리는 기능을 가진 것이 있습니다. 그러한 프로그램에 의해 DLL 파일이 변경되면 시스템에 이상한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죠. “kernel32.dll에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라는 에러메시지로서 컴퓨터가 먹통이 되어버리는 증상입니다. 오버클럭에 의해서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문제는 파일 자체에 이상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오동작으로 인해 윈도우의 커널(시스템을 운용하는 관리 프로그램)이 멈춰버렸다는 뜻입니다. 이 에러는 레지스트리 외 많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자꾸 발생한다면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편이 좋습니다. ※ 커널 에러 간단한 해결방법 ① 오버클럭한 CPU를 사용한다면 다시 정상으로 되돌립니다 ② 램을 빼냈다가 소켓 부분의 먼지를 불어내고 정확하게 다시 삽입합니다 ③ 운영체제 시디의 설치 디렉토리(이 문제는 대부분 win98에서 발행하는겁니다)인 'win98' 폴더를 찾아 win98_29.cab, mini.cab 파일의 압축을 윈집(Winzip)을 이용하여 풀도록 합니다. 그 다음 kernel32.dll, kernl386.exe 파일을 c:windowssystem에 복사합니다. |
▶ 제 3장 윈도우와 관련된 FAQ - 1회 Q: 윈도우를 시작할 때 *.vxd 파일이 없다며 자꾸 에러메시지가 뜹니다 A: 레지스트리의 정보가 지워지지 않아서입니다 윈도우의 사용에는 전혀 지장을 미치지 않는 에러이지만 부팅 때마다 텍스트가 나타나기 때문에 상당히 귀찮은 문제가 되죠. 이 에러는 레지스트리에서 해당 vxd 파일이름, 즉 부팅시 나타나는 메시지를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찾아 삭제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 "약속 위반" 엔씨, 아이온2 P2W 상품 논란 일자 철회
- 타르코프 스팀판 환불하니, 기존 계정까지 차단 당했다?
- 발등에 불 떨어진 아이온2, 게임 완전히 뜯어고친다
- 최대 96%, 다이렉트 게임즈 ‘블랙 프라이데이’ 할인 시작
- 게임 과금에 '배송 실패'가 웬 말? 아이온2의 미숙한 오픈
- 출시 2일 만에 PvP ‘뉴비 제초’ 문제 터진 아이온2
- 모바일 '불가능'·PC '실망', 두 마리 모두 놓친 아이온2
- [순정남] '대책 없는 쓰레기'지만, 평가는 좋은 악당 TOP 5
- 호요버스, 언리얼 엔진 5 사용한 신작 ‘바르사푸라’ 공개
- 콘코드 팬 복원 프로젝트, SIE에 의해 중지
게임일정
2025년
11월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