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핸드소드는 이름 그대로 양손을 이용해 적을 공격하는 검으로 독일어로는 쯔바이핸더(Zweihander)라고 불린다. 양손을 이용하는
만큼 손잡이 부분이 길며, 전체 길이는 180Cm 이상으로 대부분 허리보다는 등에 메거나 직접 손에 휴대하는 경우가 많았다. 투핸드소드는 그 길이나 무게에서 엿볼 수 있듯이 민첩한 기술보다는 위력적인 파괴력을 바탕으로 적을 제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검을 사용하는 사람의 팔힘이나 민첩성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제대로 된 위력을 뽐낼 수 있으며, 공격방법으로는 베기와 찌르기, 휘두르기 등의 다양한 공격이 가능하다. 투핸드소드는 13세기경 독일에서 최초로 등장했으며, 15세기 중엽에서 16세기말까지 독일과 스위스의 보병들이 폭넓게 사용한 무기다. 이 검은 양손을 사용한다는 점과 손잡이가 길다는 점, 양쪽 날이라는 점 이외에 각 국가별 개성은 없었으나 독일 쯔바이핸더의 경우에는 일반 투핸드소드보다 손잡이와 날의 뿌리부분이 길다는 점 때문에 구분되어지기도 한다. 투핸드소드는 게임 상의 도검류 아이템 중에서도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무기다. 실제 무기의 특성상 빠르기 보다는 강한 공격력을 바탕으로 적을 타격하거나 베는 용도로 자주 묘사되지만 다소 대중적인 성격 탓에 중간급 이상의 아이템으로는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다만 아이템에 붙어 있는 갖가지 옵션이나 마법적인 성향에 따라 성격이 180도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 초중반이나 중간급 레벨에서 유용하게 쓰일 때가 많다. 액션 롤플레잉 게임 ‘디아블로 2’에서는 투핸드소드와 쯔바이핸더가 모두 나오지만 공격력은 쯔바이핸더가 다소 강한 편으로 묘사되며, 실제와 마찬가지로 한손검에 비해 높은 힘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MMORPG게임 ‘다크에이지 오브 카멜롯’에서는 아예 한손검과 양손검의 스킬자체가 분리되어 투핸드소드의 성격을 뚜렷이 나타내고 있다.
|
|
클레이모어는 위력적인 힘을 앞세워 상대방을 쓰러뜨리는 투핸드소드와 달리 날카로운 칼날을 이용해 적을 베기 위한 검이다. 손잡이는
십자형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날의 두께가 얇고 탄력성이 있는 점은 롱소드와 흡사한 성격이라고도 할 수 있다. 클레이모어는 게르만어로 ‘거대한 검’을 의미하는 ‘클라제보모어’가 어원으로 스코틀랜드의 정예부대인 하이랜더에 의해 유명해진 검이다. 이 검은 특히 주로 갑옷을 즐겨 입지 않았던 16세기 이후에 베기 목적으로 많이 쓰였으며, 크기가 일정치 않아 1m에서 2m까지 다양한 점 또한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클레이모어는 날의 길이가 길고, 손잡이 또한 양손에 맞게 제작되어 투핸드소드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클레이모어는 여타 이름이 알려진 무기류에 비해 게임에 등장하는 빈도수가 적다. 또한 아이템의 성능 역시 그다지 위력적이지 못한 그저 그런 무기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클레이모어가 강력한 위력을 갖기보다는 대중적으로 널리 쓰였다는 점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지며, 실제 특성과 마찬가지로 게임에서도 찌르기보다는 베기를 목적으로 디자인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클레이모어가 등장한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디아블로 2’를 비롯해 ‘창세기전 3’, ‘프란’ 등이 있으나 대부분의 게임에서 이 검은 중간 이하급의 아이템으로 쓰여지며 상점이나 일반 몬스터를 잡아 손쉽게 얻을 수 있다.
|
|
플랑베르주는 프랑스어로 ‘불꽃 모양’을 의미하는 ‘플랑브와양(Flamboyant)'에서 유해된 검으로 칼날이 물결모양으로 생겨 상처를
넓게 입히는데 유용한 무기다. 겉모습은 화려하게 디자인되어 의식용으로 자주 쓰였던 플랑베르주는 독일 플람베르그(Flamberg)와
비슷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프랑스의 경우에는 양손검, 독일의 경우에는 물결모양을 한 래피어의 이름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 검은 베기와 찌르기를 모두 만족하는 무기로 상대를 베었을 경우에는 살점이 떨어져나가 상처 부위를 도려낸 듯한 위력을 선보이며, 찌를 경우에도 검을 빼낼 때 상처 부위가 더욱 커져 아름다운 이면에 잔인함을 내포하고 있는 무기로 유명하다. 플랑베르주의 칼날은 14세기말에서 15세기 사이에 전성기를 이룬 프랑스 후기 고딕 건축의 양식에서 유래되었으며, 17~18세기에 검에 도입되면서 기사들의 사랑을 받았던 무기다. 플랑베르주는 앞서 설명한 클레이모어와 마찬가지로 그다지 많은 게임에서 사용되지 않은 무기다. 물론 몇몇 판타지 온라인게임과 롤플레잉 게임에서 등장하기는 했지만 최고의 아이템이라는 표현을 붙이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또한 베기와 찌르기가 모두 가능했던 실제와는 달리 게임에서는 주로 베기 공격만 강조된 경우가 많으며, 베기와 찌르기 스킬이 따로 묘사된 몇몇 작품에서는 쓰임새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 플랑베르주는 ‘디아블로 2’, ‘다크에이지 오브 카멜롯’, ‘헬리키아’, '창세기전 3‘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
베기보다는 찌르기 전용으로 상대방을 공격하는 레이피어는 16세기를 대표하는 검으로 유명하다. 전체 길이는 80~90Cm, 무게는
1.5~2Kg으로 가벼운 편이며, 최초로 고안된 곳은 프랑스였으나 스페인에서 더 발전된 형태로 제작되어 ‘에스파다 로페라(Espada
Ropera)'라는 레이피어의 형태가 생겨나기도 했다. 하지만 프랑스에서 생겨나 스페인, 이탈리아를 거친 레이피어는 다시금 17세기
초를 프랑스에서 진화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화기의 발달로 무거운 갑옷보다는 검으로 공격과 방어를 한꺼번에 구사하는 기술이 번성해
레이피어를 이용한 공격, 방어, 반격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했다. 그리고 이러한 레이피어의 응용 기술은 기사들 사이에서도 일대일 결투에
자주 쓰여 기사라면 반드시 배워야할 기술의 하나가 되었으며, 이는 후에 펜싱이라는 검술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초창기의
레이피어는 두꺼운 칼날이 유행했던 당시의 상황에 맞게 다소 날의 폭이 넓었으나, 시간을 거치면서 점점 얇아져 결국에는 날카롭고 예리한
찌르기 전용의 검으로 변하게 되었다. 레이피어는 외형적으로 펜싱칼의 모습을 한 채 여러 롤플레잉 게임에 자주 등장하는 단골손님이다. 본래의 뜻에 맞게 베기 스킬보다는 찌르기 스킬 위주로 표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등장하는 빈도수에 비해 다소 위력은 약한 편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레이피어는 발더스게이트, 네버윈터 나이츠, 창세기전, 악튜러스를 비롯한 대부분의 판타지 롤플레잉 게임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최근에는 리니지, 뮤, 라그나로크, 드래곤라자 등의 온라인게임에서도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아이템이다.
|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 [순정남] '대책 없는 쓰레기'지만, 평가는 좋은 악당 TOP 5
- 아이온2 출시와 함께 엔씨소프트 주가 15% 급락
- 라운드8 이상균 디렉터의 소울라이크 신작, 윤곽 드러났다
- 타르코프 스팀판 환불하니, 기존 계정까지 차단 당했다?
- 돈 스크림 투게더, 친구가 비명 지르면 내가 죽는다
- "약속 위반" 엔씨, 아이온2 P2W 상품 논란 일자 철회
- 게임 과금에 '배송 실패'가 웬 말? 아이온2의 미숙한 오픈
- 골든 조이스틱 GOTY '33 원정대', P의 거짓 '최고 확장팩'
- 발등에 불 떨어진 아이온2, 게임 완전히 뜯어고친다
- 모바일 '불가능'·PC '실망', 두 마리 모두 놓친 아이온2
게임일정
2025년
11월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