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비벤디 식의 롱 텀 파트너쉽

/ 2

관심이 모아졌던 워크래프트 3 확장팩 프로즌 쓰론(이하 프로즌 쓰론)의 판권은 결국 손오공에게 돌아갔다.

그동안 프로즌 쓰론을 둘러싸고 난무했던 각종 설들과 이런 저런 억측들이 한두가지가 아니었고 돈 좀 있고 하는 일 없는(?) 업체는 다 한번씩 판권자 물망에 올랐었기 때문에 손오공 측이 프로즌 쓰론을 가져간 것이 그다지 놀랄 일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그렇다고 손오공이 노는 회사라는 뜻은 아니다 -_-;).

 

한빛소프트(이하 한빛)에서 프로즌 쓰론의 베타테스트를 진행할 때만 해도 당연히 한빛으로 갈 줄 알았던 판권이 막판에 급물살을 타면서 손오공으로 간 이유에 대해서는 이런 저런 이야기가 많지만 결국에는 돈이다. 뭔가 복잡한 것 같지만 결국에 정리하면 아주 간단하게 돈으로 귀결되는 이야기다.

 

워크래프트 3의 판매부진(사실 정상적인 시장이라면 60만장은 결코 적은 수치가 아니다)으로 비벤디가 한빛의 마케팅 능력에 의구심을 가지기 시작한데다가 애초에 고분고분 말을 들을 줄 알았던 한빛이 워크래프트 3로 이만저만한 손해를 본 것이 아니라며 난색을 표시했다. 한빛 측에서는 설마 속편도 아니고 확장팩을 다른 회사가 낼 수 있으랴 싶어 ‘배째라’며 개런티 수준을 낮추려고 한 것이고 비벤디에서는 ’배째주께‘하면서 한빛을 완전히 배제하고 손오공 측에 프로즌 쓰론을 안겨 준 것이다.

 

비벤디와 손오공의 계약 내용이 어떠했는지는 정확히 밝히지 않아 잘 모르겠지만 개당 14불에 150만장 개런티라느니 개당 16불에 100만장이라느니 하는 소리도 들린다. 어떻게 봐도 최소한 200억원은 되는 액수이다. 손오공 측에서 무슨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통상 확장팩이 오리지널의 50~80%가량 판매되는 것으로 보아 프로즌 쓰론을 아무리 열심히 팔아도 현실적으로는 메꾸기 벅찬 액수임에는 틀림없다. 이 때문에 비벤디가 손오공에 차후 유통할 대작들에 대한 어느 정도의 ‘언질’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낳게 한다.

 

뭐 좋다. 게이머의 입장에서는 싼 가격에 게임을 구입하고 적절한 고객서비스만 받을 수 있다면 한빛이 가져가든, 손오공이 가져가든, 프리더가 가져가든, 베지터가 가져가든 별 상관은 없다. 한빛이 스타와 디아, 워 3 등으로 욕을 먹었던 이유도 비싼 패키지 가격에 비해 서비스 받을 부분이 별로 없다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벤디 측이 프로즌 쓰론 판권자 선정과정에서 보여준 태도에는 영 입맛이 쓰다. 최소한 워 3같은 대작의 판권을 선정할 때는 돈뿐만이 아니라 원작과 유기적으로 연계된 지속적인 고객서비스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원작과 확장팩의 유통사가 다른 적이 없던 이유도 바로 이것이다. 예를 들어 확장팩을 설치하고 플레이하다가 에러가 나면 게이머들은 손오공 측에 문의를 해야 하는가 아니면 한빛 측에 전화를 해야 하는가? 이밖에도 배틀넷에 관련된 수많은 게이머들의 항의에 손오공과 한빛의 A/S 혼선은 불을 보듯 뻔하다. 하긴 지난해 사상 최악의 적자를 기록한 비벤디 유니버셜로서는 아무리 파트너쉽이건 고객 서비스건 어떻게 해서든지 적자폭을 메꾸어야 했을지도 모르겠지만 국내에 워 3 리그 등 다른 요인을 고려한다면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일임에는 틀림없다(한빛측에서는 프로즌 쓰론이 플레이되는 리그를 지원할 이유가 없다고 밝히고 있으며 손오공은 로고 사용권 등의 문제로 독자적으로는 리그를 진행하기 힘들다).  

 

만약에 혹시라도 비벤디 측에서 WOW 등의 계약에서 유리한 조건을 주겠다며 국내 여러 업체들 간에 제살 뜯어먹기 가격 경쟁을 부추기고 있는 것이라면(현재로도 그런 징후는 충분해 보이지만), 또 프로즌 쓰론 판권 선정 과정이 이런 비벤디의 향후 사업 계획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라면  가뜩이나 어려운 국내게임시장에 이것보다 더 안 좋은 일은 없다고 본다.

 

비벤디 측은 이번 손오공과의 계약을 체결하면서 손오공과 앞으로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롱 텀 파트너쉽’을 계속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우리는 예전에 비벤디가 한빛과의 사이에서도 여러 차례 ‘롱 텀 파트너쉽’을 강조하는 것을 본적이 있다. 비벤디의 롱 텀 파트너쉽은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