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저그 vs 테란, 폭염사막에서의 테란전 해법은?

/ 1

100908sc2_focus-1.jpg

fs100722_152.jpg

폭염사막은 2인용 맵으로 러시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고 본진 옆쪽에 중립건물이 있는 맵입니다. 그런데 중립건물을 파괴하면 두 갈래의 길이 생기는 특징이 있어서 항상 긴장을 늦추면 안되는 맵입니다.

중립건물이 뚫리면 저그의 공격을 테란이 방어하기 굉장히 어렵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 부분을 이용한 플레이와 2인용 맵에서의 정석적인 플레이에 대해서 소개해보겠습니다.

2인용 맵은 초반에 일벌레 정찰을 할 수 있어서 정찰에 성공하면 4인용 맵보다 편하게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상대의 빌드를 보고 맞춰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폭염사막은 대군주의 배치도 용이하기 때문에 정찰에서는 저그가 매우 좋은 맵입니다. 그리고 테란에게 2 ~ 3번 지속적인 가스 러시를 시도하여 테란이 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이점이 있지만 저그가 무조건 유리한 것은 아닙니다.

첫째, 전작과 마찬가지로 장기전으로 갈 수록 테란이 유리합니다. 일명 '땅 따먹기' 싸움이라고 표현하는데요, 후반으로 갈 수록 멀티를 확보하는 데 테란에 비해 저그가 불리합니다. 둘째, 센터 쪽에 공성전차가 자리를 잡으면 강력한 위력을 발휘합니다. 센터가 언덕 지형이고 감지탑을 설치하면 테란은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서 공성전차의 화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데 반해, 저그로 해당 지역을 뚫어내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기본 빌드 오더
10 대군주 → 대군주 생산 직후 일벌레 정찰 → 14 부화장(일벌레 정찰이 성공하여 상대가 정석 빌드일때), 아니라면 14 산란못 후 부화장과 추출장 건설

fs100722_153.jpg

▲ 정찰 중인 일벌레

정찰을 하고 상대가 정상적인 12 병영 빌드라면 일벌레를 1 ~ 2기 정도 더 생산한 뒤 산란못을 건설합니다. 이는 최대한 미네랄 확보를 하기 위함인데요, 겉으로 보기엔 미네랄에 큰 차이가 없을 것 같지만 생각보다 많은 차이가 납니다.

정찰한 일벌레로 병영을 건설하고 있는 건설로봇을 견제해주다가 상대 진영에 두 번째 정제소가 올라가 있지 않았다면 가스 러시를 시도합니다. 가스 러시는 해병이 2기가 나왔어도 건설과 취소를 반복하면서 3 ~ 4번까지 반복하여 시도할 수 있습니다. 가스 러시는 최대 한도까지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fs100722_154.jpg

▲ 가스 러시로 테란을 귀찮게 할 수 있다

Tip. 가스 러시를 시도한 뒤에는 상대방의 올인성 플레이인 해병 벙커 러시를 차단해야 합니다. 테란은 두 번째 가스가 느려서 본진 2 군수공장의 빠른 압박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상대가 벙커 러시가 아닌 가스 러시에 들어간 아군 가스 건물을 공격하여 2 가스를 확보하려 한다면 일벌레를 조금 더 생산해도 됩니다. 그러나 상대가 가스 건물을 공격하지 않는다면 벙커 러시를 대비하여 애벌레를 모아두었다가 러시가 오면 모아놓은 애벌레를 저글링으로 변태하여 막으면 됩니다.

fs100722_155.jpg

▲ 대사촉진 진화 업그레이드하는 모습

가스 러시가 성공했다면 테란의 압박이 덜하기 때문에 최대한 부유하게 플레이하면 됩니다. 테란의 테크 트리가 느리기 때문에 은폐된 밴쉬 공격도 자연스럽게 늦어지므로 빠른 번식지보다는 저글링 대사촉진 진화 업그레이드를 통해 테란을 압박하거나 소수의 화염차 견제를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스 100이 모이면 바로 번식지 업그레이드를 해주고 혹시 모를 공격을 대비해 바퀴 소굴을 건설합니다. 그리고 일벌레를 계속해서 생산하여 원활한 자원 수급 체제를 구축합니다. 또한 대사촉진 업그레이드가 완료될 만한 시간에 저글링을 12 ~ 16기 정도 생산하여 상대방에게 지속적으로 보여주면 테란은 심리적으로 움츠리게 될 것입니다. 테란이 수비적으로 나올 수록 저그는 부유하게 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나쁠 것이 전혀 없습니다.

fs100722_157.jpg

▲ 테란이 수비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저글링으로 중립건물을 파괴한다

멀티 번식지가 완성되면 앞마당 가스를 채취하기 시작하고 바퀴 소굴에서 바퀴의 이동속도 업그레이드를 합니다. 추가적으로 대군주의 이동 속도 업그레이드를 개발합니다. 대군주를 이용하면 테란의 체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생산한 저글링으로는 상대방 중립 건물을 파괴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방어하기 까다롭게 합니다. 세 번째 멀티 부근에 있는 중립 건물은 미리 파괴하여 곧바로 멀티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fs100722_158.jpg

▲ 이리저리 테란을 압박하는 저그

일벌레를 충분히 확보하여 본진과 앞마당에 배치했다면 바퀴를 생산하면서 세 번째 멀티를 시도합니다. 바퀴를 10 ~ 12기 생산한 후에는 테란에게 압박을 하면서 남은 중립 건물을 파괴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 멀티에서 활동할 일벌레를 생산합니다. 일벌레를 생산하는 타이밍에는 유닛을 무리해서 움직이지 말고 적에게 압박만 가하는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fs100722_159a.jpg

▲ 맹독충 둥지에서 원심 고리 진화 업그레이드를 한다

fs100722_159b.jpg

▲ 병력 수송을 위한 배주머니 업그레이드

fs100722_159c.jpg

▲ 바퀴의 신경 재구성과 땅굴 발톱을 업그레이드하여 더욱 강력한 공격력을 확보한다

세 번째 멀티를 활성화시킨 뒤에는 테란의 러시를 대비하여 맹독충 둥지를 건설, 맹독충의 이동 속도를 업그레이드하고 이어서 대군주의 '배주머니(수송 능력)'와 맹독충의 '잠복'을 업그레이드하여 맹독충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Tip. 대군주의 이동 속도,수송 능력을 업그레이드하면 맹독충을 대군주에 태워서 테란 병력 사이사이에 드랍,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fs100722_160.jpg

▲ 샛길로 견제 다니는 저글링

정면으로 바퀴를 이용해 러시하는 것처럼 상대를 속인 후 중립 건물을 부순 뒤 생성된 본진 샛길을 이용해 기동력이 빠른 저글링으로 일꾼 견제를 합니다. 정면 싸움은 되도록이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성전차의 강력한 대미지 때문에 유리한 전황이 불리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세 번째 멀티는 자원이 풍부한 지역이므로 미네랄을 많이 확보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부화장을 1 ~ 2개 더 건설하고 테란의 공격을 유도할 수 있는 시선 끌기용 멀티를 여러 군데 건설하여 상대의 시선을 분산시켜 줍니다.

fs100722_161.jpg

▲ 공성전차 위에 드랍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fs100722_162.jpg

▲ 맹독충을 태운 대군주로 해병 위에 드랍하는 모습

앞에서 언급했듯이 폭염사막은 중앙에 두 군데 언덕 지형이 있습니다. 테란은 공성전차의 공성 모드로 지상을 장악하고 이곳 저곳을 왔다갔다하는 전술적인 움직임이 많은데, 이럴 때 저그는 무리하지 말고 비어 있는 본진으로 가는 움직임을 계속 보여주면서 저글링과 바퀴를 태운 대군주를 이용한 공성전차 테러 드랍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감염충 2 ~ 3마리로 진균번식을 적절하게 사용합니다. 공성전차의 공격력은 매우 강력하므로 정면 대결은 피하고 상대의 추가 병력을 끊거나 본진 공격을 계속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속적으로 상대를 흔들어준 뒤, 지금까지 모은 자원을 바탕으로 생산한 자신의 유닛이 상대를 압도한다고 판단되면 상대 병력을 앞뒤로 포위하여 교전을 펼칩니다. 대군주 드랍을 이용하면 더 쉽게 상대를 압도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맹독충을 테란 바이오닉 유닛 사이에 하나씩 드랍하면 엄청난 파괴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Tip1. 테란이 바이오닉에서 토르, 공성전차 위주의 메카닉으로 체제 전환을 하면, 감염충의 신경기생충을 이용하여 상대 토르, 공성전차를 빼앗아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때 재빠른 감염충 컨트롤이 중요하므로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Tip2. 맹독충이 해병이나 공성전차 등에게 파괴되면 맹독충 주위에 있는 병력도 함께 죽습니다. 그러므로 맹독충을 최대한 해병 근처로 접근시키면 의외의 소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PC
장르
RTS
제작사
블리자드
게임소개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는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정식 후속작으로, 게임에 등장하는 세 종족 중 '테란'의 이야기를 담은 패키지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이후 이야기를 담았... 자세히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