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베타 테스트로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분들께 도움을 드리기 위한 기초전략 가이드입니다.
1. 10 산란못 ‘바퀴’ 올인 빌드
처음 소개할 올인 전략은 바퀴 올인 빌드입니다. 프로토스가 대처법을 알고있다면 승률은 30%의 불과하지만 그 외엔 65% 정도의 승률을 거둘 수 있는 빌드오더입니다. 저그는 전작보다 스타크래프트2에서 올인 빌드를 감행하기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에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간단 빌드 오더 |
10/10 일벌레 생산 후 산란못 건설 → 9/10 일벌레 추가 → 10/10 추출장 건설 → 9/10 일벌레 추가 → 10/10 추출장 건설 후 일벌레 추가 → 11/10 미네랄 100 모이면 추출장 2개 건설 → 9/10 일벌레 생산 → 10/10 추출장 건설 후 일벌레 생산 → 11/10 대군주 생산 |
이후 추출장이 완성되면 일벌레는 2마리만 가스를 채취하도록 한 후 저글링을 6기 생산하여 곧바로 프로토스 진영에 러시를 감행합니다. 동시에 바퀴소굴을 건설하고 저글링을 추가로 2기 생산합니다. 인구수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군주를 생산하면서 가스는 100 ~ 125 정도만 채취합니다.
▲ 10/10 산란못을 빠르게 건설하고 있다
▲ 저글링 6기 생산한 뒤 곧바로 바퀴소굴을 건설하자
바퀴소굴이 완성되면 바퀴를 4 ~ 5기 생산합니다. 그리고 이후에는 저글링만 계속 생산합니다. 상당히 빠른 타이밍에 들어가는 저글링 러시이기 때문에 프로토스 본진에 입성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럴 때 일수록 무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퀴보다는 저글링이 아군의 주력임을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 빠른 산란못을 이용해 저글링 6기가 프로토스 진영에 난입에 성공한 장면
승부를 거는 교전 타이밍은 바퀴가 추가되었을 때입니다. 체력과 방어력이 좋은 바퀴를 탱커로 내세우고 저글링으로 대미지 딜링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바퀴가 4 ~ 5기가 생산되면 러시를 감행한다
▲ 수정탑부터 공격하여 관문을 마비시키자
만약 초반 저글링 6기의 본진 난입이 실패했다면 상대방의 입구 쪽에서 저글링의 움직임을 보여주면서 랠리 포인트를 프로토스 입구 진영 쪽으로 찍어 계속 병력이 모이도록 합니다. 그리고 바퀴 5 ~ 6마리가 도착하면 저글링과 바퀴 조합으로 러시를 시도합니다.
이 빌드오더로 저는 60 ~ 70%의 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여러분은 몇 %의 승률이 나올지 궁금하네요. 댓글로 승률을 알려주세요.
Tip1) 초반 빌드오더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컴퓨터와 몇 게임 정도 하면서 익숙해진 후 실전에서 사용하면 큰 어려움은 없을 것입니다.
Tip2) 초반 6기 저글링이 난입에 성공했다 하더라도 무리해서 잃으면 절대 안됩니다. 저글링으로 상대를 이리저리 흔들다가 바퀴와 조합을 이루어 ‘GG’선언을 받아내시길 바랍니다.
2. ‘폭염사막’에서 90%의 승률을 자랑하는 저그 올인 빌드
이번에 소개할 빌드는 정말 높은 승률을 자랑하는 올인 빌드입니다. 저 또한 자주 사용하기도 하고요. 그러나 이 빌드의 대처법을 프로토스가 안다면 승률이 낮아지겠죠? 그렇기 때문에 대처법은 여기서 밝히지 않겠습니다. 높은 승률을 자랑하는 빌드인 만큼 익숙해지면 여러분도 높은 승률을 기록할 수 있을 거라 확신합니다.
◇ 간단 빌드 오더 |
14/18 까지 일벌레 생산 → 14/18 산란못과 추출장 건설 → 12/18 일벌레를 15마리까지 생산 → 15/18 대군주 생산 |
산란못이 완성되면 여왕을 생산하면서 동시에 2 ~ 4기의 저글링을 생산합니다. 그리고 가스가 100이 모이면 저글링의 ‘대사촉진 진화’ 업그레이드를 합다. 이후, 미네랄이 150이 되면 바퀴소굴을 빠르게 건설합니다. 이 때 가급적이면 상대 탐사정에게 바퀴소굴을 보여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인구수 14/18에 산란못과 추출장을 동시 건설한다
▲ 미네랄 150일 때 상대방에게 들키지 않도록 바퀴소굴을 건설한다
폭염사막은 본진 뒤가 바위로 막혀 있습니다. 이 곳을 파괴하면 프로토스는 두 곳의 진입로를 방어해야 하므로 상당히 까다로워 집니다.
▲ 여기를 파괴시키면 두 개의 러시 루트가 생겨서 프로토스가 방어하기 까다로워 진다
새로 생긴 루트로 공격할 저글링을 8기까지 생산합니다. 초반에 생산한 4기의 저글링으로 바위를 계속 공격하고 추가된 저글링을 합류하여 바위를 파괴합니다. 공격과 동시에 대군주를 미리 1기 생산하여 바퀴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 저글링 8기로 바위를 파괴한다
8기 저글링 압박 이후 바퀴소굴이 완성되면 바퀴를 7 ~8기 생산합니다. 동시에 모든 애벌레는 저글링 생산에 사용합니다. 추출장에서 가스를 채취하던 일벌레도 미네랄을 채취하도록 돌립니다. 여왕의 첫 애벌레는 바퀴에, 두 번째 애벌레는 저글링 생산에 사용합니다.
바퀴가 바위 근처에 도착할 때 쯤 바위가 파괴되는데 이 때 저글링과 바퀴를 무리하게 사용하면 안됩니다. 철저하게 광자포 사정거리 밖에서 건물만 파괴하면서 상대에게 피해를 누적시키기만 하면 반드시 이길 수 있습니다.
▲ 바퀴가 합류되면 러시를 감행한다
▲ 광자포 사거리 밖에서 건물만 공격한다
Tip1) 프로토스가 본진에서 광자포로 수비하려 한다면 건물만 공격하세요. 필승입니다!
Tip2) 프로토스가 이 맵에서 앞마당 입구 전진 2관문으로 출발해서 압박을 많이 하는데 이럴 땐 저글링을 뒤로 돌려 추가되는 병력의 랠리 포인트를 상대 앞마당으로 지정한 뒤 나와있는 광전사를 양방으로 둘러싸 처리한 뒤 바퀴와 저글링으로 마무리 하면 됩니다.
- 플랫폼
- PC
- 장르
- RTS
- 제작사
- 블리자드
- 게임소개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는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정식 후속작으로, 게임에 등장하는 세 종족 중 '테란'의 이야기를 담은 패키지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이후 이야기를 담았... 자세히
- 공주는 어려운 게 싫어! ‘실크송’ 이지 모드 다수 출현
- 실크송, 헬 난이도 열리는 ‘코나미 커맨드’ 있다
- 엔씨 명운 달린 아이온 2, 그 뒤에 펼쳐진 우려의 그림자
- 개발자 번아웃, 발라트로 1.1 업데이트 무기한 연기
- [겜ㅊㅊ] 스팀 정치 시뮬 축제, 구매할 가치 있는 신작 4선
- 닌텐도 '서브 캐릭터 소환해 전투하는 방식' 특허 취득
- [이구동성] 게임시장 1위 미국의 '게임 죽이기'
- 넷플릭스 시리즈 급, 실사 인터렉티브 게임 '성세천하'
- '근본'이 온다,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올든 에라
- [오늘의 스팀] 극사실적 소방관 시뮬레이터, 판매 상위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