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저그 vs 테란, 바퀴를 활용한 본진 운영 빌드

/ 1

100908sc2_focus-1.jpg

저그는 멀티 확장을 한 뒤 방어를 하는 것이 다른 종족의 비해 쉽습니다. 이 때문에 멀티 이후 많은 자원을 바탕으로 한 운영법이 정석화되었습니다.

하지만 맵에 따라 본진 테크트리 위주로 경기를 풀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한 개의 부화장에서 여왕으로 최대한 애벌레를 늘리고 저글링으로 방어를 하며 바퀴 혹은 뮤탈리스크를 이용해 견제를 하면서 조금은 늦게 멀티를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전작에서 저그가 앞마당 멀티가 늦으면 100% 패배했지만 스타크래프트2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본진 테크트리 운영 방식에는 바퀴 혹은 뮤탈리스크를 활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번 시간에는 바퀴를 활용한 운영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 간단 빌드 오더
14 추출장 → 일벌레 1기 추가 후 산란못 건설 → 15 대군주 생산 → 19 여왕 생산

146.jpg

▲ 산란못에서 대사촉진진화 업그레이드를 하는 모습

일벌레를 계속 생산해주고 산란못이 완성되면 정찰용 저글링 2기와 여왕을 생산합니다. 테란의 소수 해병 러시는 저글링과 여왕을 이용해 방어할 수 있습니다. 가스가 100이 모이면 산란못에서 대사촉진진화 업그레이드를 합니다. 업그레이드가 끝난 저글링은 일명 '발업 저글링'이라고 부르는데요, 발업 저글링은 상대 정찰을 쉽게 끊어줌과 동시에 빠른 이동속도로 상대를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 가치가 높습니다.

147.jpg

▲ 발업 저글링으로 화염차를 발견한 모습

초반에 테란이 화염차를 생산했다면 2 병영 내지 3 병영 러시는 배제할 수 있습니다. 상대의 화염차를 발견했다면 일벌레를 최대한 많이 충원하면서 바퀴 체제로 넘어갑니다. 가스가 다시 100이 모이면 바퀴소굴을 건설하면서 번식지로 업그레이드합니다.

만약 테란이 특별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다면 일벌레를 계속 생산합니다. 반면 테란이 압박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이면 저글링을 조금 더 생산하여 대처하는 것이 좋습니다. 번식지가 완성되면 '신경재구성 진화(바퀴의 이동속도 상승)' 업그레이드를 합니다. 저글링으로는 지속적으로 테란의 체제를 파악하는데 주력하면서 아군 체제가 올인 체제인 것처럼 상대가 속도록 연기하는 움직임을 취해야 합니다.

148.jpg

▲ 바퀴생산을 한 뒤 안정적으로 멀티를 한다

일벌레를 넉넉히 생산했다면 이제 바퀴를 생산합니다. 테란이 화염차 견제를 하면 압박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바퀴를 5기 이상 생산한 후에 앞마당 멀티를 시도해야 합니다.

Tip1) 대사촉진진화 업그레이드의 효과 : 저글링의 스피드가 업그레이드 되면 저글링과 맹독충 올인 러시 등 테란 입장에서는 여러 경우의 수에 대비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테란은 적은 병력으로 저그에게 압박할 수 없습니다. 대사촉진진화에 들어가는 광물 100과 가스 100가 아깝게 생각될 수 있겠지만 업그레이드를 통해 더 부유하게 플레이하면서 상대에게 압박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므로 과감히 투자합시다.

Tip2) 일벌레는 광물에 18 ~ 22기, 추출장에 6기를 투입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숫자입니다.

149.jpg

▲ 상대 본진 중립건물을 파괴하여 뒷길을 만든다

만약 폭염사막, 쿨라스협곡처럼 중립 건물을 파괴하면 뒷 길이 생기는 맵에서 경기 중이라면 미리 생산한 저글링으로 중립 건물을 파괴합니다. 뒷 길이 생기면 나중에 바퀴나 저글링으로 견제할 때 이동 경로가 두 곳이 되기 때문에 테란이 방어하기 어렵게 됩니다.

150a.jpg

▲ 잠복 바퀴를 이용해 공성전차에 근접하여 교전한다

150b.jpg

▲ 잠복바퀴를 양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투하는 모습

바퀴의 이동속도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곧바로 '땅굴발톱진화(잠복시 이동 가능)' 업그레이드와 '잠복' 업그레이드를 합니다. 이제부터 바퀴로 테란에게 강력한 압박을 시작합니다. 땅굴발톱진화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잠복 상태로 움직이면서 상대 유닛을 하나씩 끊어줍니다. 바퀴는 잠복 상태에서 회복 속도가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대미지를 입으면 잠복하여 체력을 회복하고 다시 게릴라 하는 방식으로 상대를 계속 압박할 수 있습니다.

151.jpg

▲ 앞마당쪽 부화장에도 일벌레를 충원하여 더욱 부유하게 운영한다

테란이 많은 수의 벙커와 자동포탑으로 방어에 치중하여 바퀴 잠복 전술이 실패하면 일벌레를 더 확보합니다. 앞마당 멀티에도 일벌레를 본진과 비슷하게 생산하여 후반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합니다. 중, 후반 운영을 할 때 일벌레가 부족하면 자원이 부족하여 적에게 뒷심에서 밀릴 가능성이 큽니다. 테란이 방어에 치중할 때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따라 저그 고수와 하수의 실력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부유하게 운영하면서 고급 유닛으로 테란을 공격하거나, 기본 유닛의 물량 폭발을 통해 힘으로 압도하는 방식으로 승부를 결정짓는 것이 고수의 플레이입니다.

마지막 러시 조합으로는 기본적으로 저글링+바퀴+감염충 조합이 좋습니다. 만약 테란이 바이오닉 체제라면 맹독충을 추가시켜 파괴력을 더욱 높이는 것이 좋고, 탱크 위주의 병력을 조합했다면 뮤탈리스트를 깜짝 생산하여 공격하는 것이 좋습니다.

Tip3) 잠복과 함께 잠복 이동이 업그레이드 된 바퀴는 회복력이 매우 뛰어납니다. 잠복 바퀴만으로 승리하기는 어렵지만 테란이 만약 2 군수공장 체제를 선택했다면 디텍트에 취약해지므로 전작의 럴커 러시처럼 의외의 손쉬운 승리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PC
장르
RTS
제작사
블리자드
게임소개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는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정식 후속작으로, 게임에 등장하는 세 종족 중 '테란'의 이야기를 담은 패키지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이후 이야기를 담았... 자세히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09